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95623624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5-11-02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1장|고흥으로 가는 길
1. 고흥 땅, 그리고 고흥 사람
인구가 계속 줄어드는 고흥 | 애잔한 그 이름, 고흥 | 섬이 되지 못한 반도 | 간척으로 변한 고흥의 지형
2. 고흥으로 가는 길
고흥으로 가는 버스길과 철도길 | 100년 전 고흥 길
2장|고흥의 옛날
1. 고흥과 흥양
다양한 갈래의 고흥지역 | 역사 속에서 보는 고흥 | 고흥의 특산물 청낭간 | 고흥에 침입한
왜구와 수군기지의 변천
2. 임진왜란과 고흥
을묘왜변과 고흥 | 임진왜란 직전의 고흥 | 임진왜란 시기의 고흥
3. 근대의 고흥
조선 후기의 고흥 | 일제 강점기 시절 고흥의 사회경제적 구조 | 고흥의 부자들 | 고흥의 보통 사람들 | 해방, 그리고 좌우 대립 | 베이비붐 시대 이후의 고흥
3장|고흥을 만든 사람들
1. 고흥 땅의 후예들
고흥을 본관으로 삼은 성씨들 | 고흥을 중시조의 관향으로 삼은 성씨들
2. 고흥의 정체성을 만든 사람들
고흥의 이름을 만들어준 류청신 정승 | 고흥 땅을 구획한 황희 정승 | 고흥의 대성 신송유정 | 신송정 문중의 인물들
3. 고흥의 인물들
임진왜란 시기 고흥의 인물들 | 월파 서민호 선생 | 고흥이 낳은 예술가들 | 고흥 출신의 체육인들
4장|고흥을 떠난 사람들의 삶
1. 살기 위해 떠난 사람들
가난을 벗기 위해 떠난 사람들 | 객지에서 만나는 고흥 사람들 | 이름 없는 사람들의 모임
고흥향우회
2. 베이비붐 시대의 이주자들
정해년생들의 작은 승리 | 풍양초등학교 42회 동창들 | 겨울 국화꽃, 상태와 상채 이야기
5장|고흥을 찾은 사람들
1. 벼슬길로 고흥에 왔던 사람들
임진년의 이 충무공 | 난중일기 속 막료들 | 조선 말기의 김홍집 | 자명종을 보러 온 실학자 홍대용과 그 일행들
2. 고흥으로 온 유배자들
권력과 불화한 사람들 | 당쟁의 희생자들 | 조선 말 격량기의 유배자들 | 녹도에 몰세불망비를 남긴 친일파 민형식 | 고흥의 유배문학을 만든 사람들
3. 근대에 왔던 사람들
소록도에 왔던 사람들 | 이름 없는 투자자들 | 낚시를 하러 온 LG 구본무 회장
4. 고흥을 찾아온 외국인들
섬에 불시착한 외국인들 | 일제 강점기 시대의 일본인들
6장|고흥에서 만난 풍경들
1. 녹동에서 풍남까지
녹동항 풍경들 | 옛사람이 본 녹동 | 오마도 간척지의 슬픈 이야기 | 쇠락한 항구 풍남항 |
천등산을 오르다
2. 도화면 발포 이야기
도화헌 이야기 | 발포만호진 | 발포의 박한수 님이 남긴 소중한 기록들
3. 나로도에서 해창만으로
나로도의 하얀노을 모텔 | 이건명의 죽음과 덕양서원 | 바지락은 복숭아꽃이 필 때 가장 맛있다 | 오취마을의 할머니들 | 빗속의 해창만
4. 팔영산 남쪽
영남면 금사리 | 갑장을 만나다 | 양화에서 남열리까지 | 남열에서 신성까지 | 우두행 버스의 할머니들 | 우두에서 여호진까지 | 여호리 밖 원주도
5. 고흥 동북부
백일도로 가는 버스의 여인 | 대마을의 굴 까는 할머니들 | 남양리로 가는 길의 풍경들 |
남양리와 동강장 | 월정리 선정 꼬막마을 | 벌교로 가는 밤길, 그리고 짱뚱어탕
6. 고흥의 서북부 해안
장선포 바닷길 | 우도 가는 길 | 남양의 신작로와 옛길 | 노일리로 가는 버스 | 추억의 고흥만 | 두원면 풍류리와 대금리
7. 금산면 일주
금진항에서 오천리까지 | 오천리-신평-그리고 금산의 인물들 | 금산 명천리 바닷가 | 시산도 이야기
8. 녹동에서 풍양면으로
녹동식당 아주머니 | 녹동 전망대에서 얻어먹은 밥 | 녹동에서 학동까지 | 학동에서 풍양면
으로 가는 길 | 풍양초등학교의 그리운 얼굴들
7장|함께 걷는 길, 고흥
1. 젊은 동행자들
2. 고려대학교 학생들
광주 청년 윤현철 | 예천군의 희망 이상규 | 미래의 강원도지사 이규택
3. 또 다른 청년들
한양대생 안정욱 | 질문이 많은 권남형 | 언제나 듬직했던 고광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