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사회/심리학
· ISBN : 9788925412429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9-04-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3
01 교육체계의 성장과 교육학 11
지난 세기의 학문적 성찰 11 / 사회공학으로서의 교수학 15 / 부분에서 전체로 19 / 교육현상에 대한 전환적 접근 22 / 문명사의 흐름과 복잡계로서의 교육체계 28 / 낮의 기술과 밤의 학문이라는 두 개의 손 33
02 교육현상: 활동과 체계 43
교육학 개론의 위상 43 / 연구 대상으로서의 교육현상 46 / 교육의 정의 1: 활동의 범주적 특성에서 출발 52 / 교육의 정의 2: “교육적 활동”과 학습의 연속성 56 / 교육의 정의 3: 가치와 현실의 복합계 61 / 교육의 정의 4: “학습의 제도화”와 교육체계 64 / 표준화된 교육체계: “형식이 곧 교육이다” 68 / 교육연구 74
03 교육의 생물학적 토대: 뇌와 마음 81
뇌와 신경계 83 / 뇌: 패턴과 맥락 87 / 중간뉴런: 마음의 플랫폼 89 / 작동적 폐쇄성으로서의 뇌 92 / 마음의 창발성: 생물체계에서 사회체계로 95 / 마음의 확장적 경계 101 / 마음은 간단한 기능들의 복잡계 106 / 개념학습: 마음의 중간지대 108 / 마음이 개념을 다루는 방식 111 / 마음, 문자, 학습: 책 읽는 뇌 114 / 마음발달에 학교는 필수적인가? 119
04 사회는 하나의 학습하는 체계 123
인간활동의 근본으로서의 학습 124 / 문화진화와 학습 128 / ‘활동’으로서의 학습: 사회학습 131 / 사회적 활동체계(activity system)와 학습 138 / 활동이론 141 / 확장학습과 그 층위적 복합성 144 / 사회학습체계의 학습과정 151 / 학습체계에 대한 교육학적 접근 155 / 사회화로부터 교육의 분화 160 / 활동체계와 학교체계: 그 근본적 차이점 163
05 개인학습과 사유의 탄생 171
문자와 학습 172 / 글자와 사유양식 175 / 문자와 개인의 탄생 178 / 개인학습을 촉진하는 학교교육의 틀거리 180 / 개인학습과 현대교육학 184 / 이론, 시뮬레이션, 마음 189 / 학교교육학 192
06 교육의 조직화와 수업형식의 생성 199
학제의 등장: 코메니우스의 예언 199 / 헤르바르트와 수업연구 203 / 문자, 수업, 교과 207 / 강의와 수업 214 / 수업: 교육을 구성하는 기본셀 217 / 학교, 학제, 교사: 교육체계의 중층화 222 / 교육체계의 초안정성 226 / 요약: 교육체계의 논리 228
07 교육이 체계로 진화하다 233
시스템 233 / 체계로서의 교육현상에 대한 주목 236 / 니클라스 루만과 교육의 자기조직화체계 241 / 생물적 과정과 사회적 과정의 교차 245 / 교육체계의 자기참조성 대 타자참조성 249 / 교육체계의 자기조직화 추론 252 / 개념학습을 전유하는 전문체계로서의 학교 259 / 교육체계의 내부경계와 재특화되는 인간상 265
08 학교사회의 형성 269
시간의 궤적과 교육의 퇴적물 269 / 전근대: 서양 학교의 기원 273 / 전근대: 동아시아 교육의 범주 280 / 근대: 학교체계의 세 가지 특징 286 / 학교사회의 탄생: “학교가 만든 사회양식” 295 / 탈근대: 학교담론의 해체와 학습주의의 등장 300 / 근대교육관리체제의 해체 305
09 학습사회의 등장과 교육체계의 재영토화 307
학습사회: 차세대 교육양식 309 / 학습사회연구의 흐름 312 / 지식, 학습, 학습사회 317 / 단순에서 복잡으로 321 / 학습기능의 전면화 325 / 학습도시 사례: 교육체계를 넘어선 사회체계의 학습 330 / 학습사회: 지식에서 공론으로 334
10 교육이론의 전환 339
지나온 길 340 / 교육이론의 기본 개념 바꾸기 345 / 교육학의 기초학문적 접근에 대하여 357 / 평생교육론의 시각에서 교육학 돌아보기 361
참고문헌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