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표준화 교육에서 복잡성 교육으로

표준화 교육에서 복잡성 교육으로

(지식, 학습, 교수의 진화사)

브렌트 데이비스, 데니스 수마라, 레베카 루스 케플러 (지은이), 한숭희, 강영숙, 양은아, 이현경, 정혜령 (옮긴이)
교육과학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0% 0원
570원
18,4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표준화 교육에서 복잡성 교육으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표준화 교육에서 복잡성 교육으로 (지식, 학습, 교수의 진화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25415963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1-05-31

책 소개

오늘날 공교육의 지형을 규정하고 있는 다양한 이념과 실천현장을 탐색하는 책이다. 총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마다 각각 이런 프레임의 역사, 인식론, 그리고 교수방법 등을 설명하는 3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일러두기 3

들어가며 11
이 책의 구조 14
왜 언어에 주목하는가 17
용어의 문제 20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23

제1부 표준획일화교육
1.1 표준획일화교육의 출현 27
근대 학교의 전신으로서의 고대 교육 30
학교의 목적에 대한 대립된 주장들 33
근대학교의 전신으로서의 종교기반 교육시설들 37
산업화와 표준화 40
중산층의 등장-모두를 위한 교육 43
결론적으로 46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48

1.2 표준획일화교육 모형에서의 지식과 학습 49
지식이란 무엇인가? 51
규율과 질서: 지식의 숨은 기하학 56
학습이란 무엇인가? 61
학습자는 누구인가? 68
지능이란 무엇인가? 73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76

1.3 교수활동과 표준획일화교육 77
교사 역량 86
수업 계획하기 87
학생 평가하기 93
학급 관리하기 97
교과내용 알기 99
연구가 주는 함의 101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108

제2부 개별진정성교육
2.1 개별진정성교육의 출현 111
어떻게 변화가 일어나는가? - 새로운 관점의 탄생 115
학습은 진화하는 정합성 119
발달은 정합성의 진화과정 124
관념에서 실제로 128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131

2.2 개별진정성교육 모형에서의 지식과 학습 133
그렇다면, 지식은 무엇인가? 138
당신이 안다는 것을 알 수 있을까? 144
학습 150
발전하는 학습자 155
능력 159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163

2.3 교수활동과 개별진정성교육 165
어떻게 우리는 제대로 가르칠 수 있을까? 168
표층학습과 심층학습 171
‘의식적 연습’과 메타인지 176
피아제의 보존개념 182
진정성 평가 188
교사의 교과지식 191
연구를 통해 들여다보기 194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195

제3부 민주시민성교육
3.1 민주시민성교육의 출현 199
편파성, 윤리성, 다양성 202
참여와 의식화 209
네버 엔딩 프로젝트 216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218

3.2 민주시민성교육 모형에서의 지식과 학습 219
집단성과 앎 222
상황적 앎과 학습 229
존재하기, 참여하기, 의식적으로 참여하기 239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245

3.3 교수활동과 민주시민성교육 247
학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250
교수활동의 내용 및 방법으로서의 집단성 254
상황적 교수활동의 테크놀로지 260
다양성 (그리고) 교육 266
비판 교수학 270
매우 진보적인 반응들 276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278

제4부 체계지속성교육
4.1 체계지속성교육의 출현 281
시스템적으로 사고하기 284
서브퍼스널(subpersonal)과 수퍼퍼스널(superpersonal) 300
결국은… 304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306

4.2 체계지속성교육 모형에서의 지식과 학습 307
과잉행동의 초현상성 310
양극화된 담론 재사유화 314
이 프레임에서 지식과 학습이란 무엇인가? 321
첨단의 초현상 연구 324
테크놀로지라는 특이 사례 333
프랙탈(홀로그래픽) 의식 338
종합해보자면… 345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346

4.3 교수활동과 체계지속성교육 347
교수활동은 개별의식을 집단적으로 확장하는 일 352
디자인된 것과 창발하는 것 사이 355
테크놀로지, 의식, 그리고 교수활동 363
관계를 신뢰하고 경험을 연결하기 369
이것은 정말로 새로운가? 374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378

나오며 379
준비… 땅! 388
심화학습을 위한 질문 389

저자소개

브렌트 데이비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캘거리대학교(University of Calgary)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교수이다. 2006~2009년에는 캐나다 밴쿠버 소재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University of Columbia) 사범대학 수학, 과학 그리고 기술교육과 교수이자 David Robitaille 재단의장이었다. 최근 그는 인지과학과 복잡성과학 분야 안에서의 교육적 관련성과 연결되는 최근연구 발전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그는 <공조: 복잡성과 교육 국제 학회지 Complicity: An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lexity and Education>의 창립자이고, 수학 학습과 교육, 교육과정, 교사교육, 인식론 그리고 교육 현장 연구 등의 여러 분야에서 많은 저서와 논문을 집필하였다.
펼치기
레베카 루스 케플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퀸스대학교(Queen’s University) 사범대학 학장이다. 그녀는 문학적 실제의 통합적 역할에 대해서 특히 인간 의식과 정체성 발달에 있어서의 글쓰기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이 연구 분야는 문화적 형식의 규범적인 권력을 파악하고, 생성적 학습 및 교수(teaching)를 위한 해석적 읽기 및 글쓰기 실제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해왔다.
펼치기
데니스 수마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캘거리대학교 사범대학 학장이다. 그 전에는 캐나다 밴쿠버 소재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정 연구부 수석교수였다. 그의 최근 저서인〈왜 학교에서는 여전히 문학작품 읽기가 중요한가: 상상력, 해석, 통찰력 Why Reading Literature in School Still Matters: Imagination, interpretation, insight〉이 국립독서협회(National Reading Association) Ed Fry Book Award를 수상한 바 있다.
펼치기
한숭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 주 관심은 평생학습과 교육체계 개혁, 평생학습체계화와 글로벌 교육 지형 변화, 포스트-평생학습 연구 등이다.
펼치기
이현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의사소통 전문가. 교육학 박사. 대학 시절 사회 현실에 눈떠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고 노동교육 발전에 힘썼다. 그 후 인간관계의 갈등 해결에 주목하여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강의하였다. 갈등의 근본적 해결을 고민하면서 인간 내면의 변화가 중요함을 깨달았다. 이를 위해 몸과 마음과 영혼의 통합적 성장을 다룬 가르침들을 섭렵하며 마음공부를 해 왔다. 《온전함에 이르는 대화》, 《영혼을 깨우는 책읽기》, 《영혼을 깨우는 시읽기》를 썼다. 몇 년간 교육센터 마음의 씨앗에서 ‘마음비추기 피정’을 진행하였으며, 현재 의사소통 교육 및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email_ hklee108@naver.com
펼치기
강영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28년차 EBS PD다. 〈육아일기〉 〈생방송 60분 부모〉 〈EBS 다큐프라임‐인간과 애니메이션〉 등을 연출했고 EBS PD협회장, 수능교육부장, 정책기획본부장을 지냈다.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를 졸업하고, 일하면서 방송 전공으로 석사를, 동대학원에서 교육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계를 넘나드는 전공은 저자의 삶에 대한 태도를 고스란히 보여준다. 인생의 중요한 순간에 다가온 학문적 호기심을 쫓아 스스로의 한계를 시험하며 도전해왔다. 두 아들을 둔 엄마로서 자녀를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키워내야 한다는 강한 책임감을 갖고 있고, 어른으로서 동시대를 살아가는 청년들의 삶을 어떻게 응원해야 할지를 늘 고민하고 있다. 저서로는 『엄마가 행복한 육아』(공저)와 『표준화 교육에서 복잡성 교육으로』(Engaging Minds, 공역)가 있다.
펼치기
정혜령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University of Georgia 대학원 성인교육 전공(Ph.D.) 경력: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한국인적자원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서울대학교·고려대학교 등 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책임연구위원
펼치기
양은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나사렛대학교 교육학부 특수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평생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같은 대학에서 미술경영 전공으로 두 번째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평생교육학회 이사, 한국성인교육학회 이사, (사)한국평생교육사협회 이사, 아시아태평양학습도시연맹(APLC) 자문위원, (재)한국지역사회교육재단 자문위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연구·사업관리심의위원회 위원, 충청남도 아산시 인사위원회 위원 등을 맡고 있다. 저서로 『평생학습: 내 삶의 행복레시피』(박영스토리, 2024), 『표준화 교육에서 복잡성 교육으로』(교육과학사, 2021), 『마음과 학습: 교육학의 복잡계적 접근』(교육과학사, 2017), 『대학로: 교육공간에서 문화공간으로』(교육과학사,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