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88925414850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0-05-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2
제1장 통합문학치료의 수퍼비전 이론 11
1. 수퍼비전 이론 13
1) 임상사례 보고 이론화 과정 13
(1) 현상학적 체험 보고 기술 14
(2) 이야기 형식 체험 보고 기술 18
2) 평가 기술 21
(1) 자기 평가 21
(2) 그룹 평가 23
3) 참여자의 콘텍스트 이해 25
(1) 메타해석학적 접근 25
(2) 시공간적 관점과 연속성 27
4) 삶의 여정-통합치료에서 생애 발달 과정에서의 삶의 수레 33
5) 다관점적 수퍼비전 모델 42
6) 수퍼비전의 방식 고찰 Ⅰ(직접 수퍼비전 vs 간접 수퍼비전) 44
7) 수퍼비전의 방식 고찰 Ⅱ(Team 수퍼바이저 사례 소개) 47
제2장 통합문학치료 수퍼비전의 실제 49
1. Petzold의 수퍼비전 실습 과정 51
1) 치료사의 전문영역 구축 51
2) 프로토콜 작성 기술 52
3) 스스로 프로젝트가 되기 위한 규칙 52
4) 치료사 자신의 매력 찾기 57
5) 치유 및 치료의 장에 대한 이해: 한국 사회 구조 변화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57
2. 치료사의 태도 관련 수퍼비전 59
1) 치료사의 감정 표현 60
2) 치료사 목소리의 중요성 64
3) 치료사의 활력도 체크 65
4) 치료사 셀프 체크 리스트 66
5) 프로세스 작업 67
6) 수퍼바이저의 역량 68
7) 참여자 특성에 따른 구분 70
(1) 청소년 70
(2) 노인 72
(3) 전문직 종사자(경찰관 심리지원) 73
(4) 특수교육 대상자 77
3. Petzold의 수퍼비전 예시 78
1) 수퍼비전 관계도 78
2) 치료사의 트라우마(역전이) 80
3) 치료사의 불안 84
4) 치료사 삶의 경험에 대한 수퍼비전 85
제3장 통합문학치료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시연 사례 89
1. Petzold의 수퍼비전 시연 91
1) 참여가 두렵다고 표현하는 아이 91
2) 아버지와 함께 와서 불편한 아이 92
3) 트라우마로 인한 불면증, 불안증세 환자 97
4) Petzold 교수의 조언-수퍼바이저가 지켜야 하는 기본 지침 103
(1) 문화이해(통역사가 포함될 때 유의사항) 103
(2) 성별과 결혼 여부 104
(3) 참여자의 숨은 의도 파악 105
2. Petzold의 간접 수퍼비전 시연 106
1) 간접 수퍼비전 Ⅰ 106
2) 간접 수퍼비전 Ⅱ 109
제4장 통합문학치료 수퍼바이저의 핵심역량 수련 과정 117
제5장 5가지 정체성 관련 수퍼비전 실습과 이론 137
1. 5가지 정체성과 문학치료사의 역할 139
〔실습 1〕139
1) 제시어에 반응하는 몸과 마음 139
(1) Top down-Bottom up 과정과 레조난스 139
(2) 수용적-긍정적 시각의 문학치료 142
(3) 통합문학치료의 치유 요소-깊은 상호 공감 146
(4) 문학치료사의 관심과 선택, 그리고 참여자와의 연대 150
(5) 치료사의 자기 바라보기를 통한 현장 개입 152
2) 5가지 정체성 작업 153
(1) 5가지 정체성에 머물기 153
(2) 내적 대상과 대화하는 치료사 157
3) 작업과정의 레조난스 158
(1) 5가지 정체성을 통한 삶 전반에 대한 평가와 참여자의 자원 활용 158
(2) 심화와 확장을 위한 접근 166
(3) 문학치료사의 태도, 그리고 시 한 편의 위로 171
4) 소그룹 작업과정의 공감과 지원 173
(1) 자기 서사에서 정체성 찾기, 재부모화와 재사회화 174
5) 문학치료의 리소스 176
(1) 긍정적 기억과 리소스 체험 176
2. 5가지 정체성 중 ‘관계 정체성’ 179
[실습 2] 179
1) 관계 정체성: 운트(und, 그리고) 시 활용 통합문학치료 179
(1) 운트(und, 그리고) 시 활용 통합문학치료 실습 179
(2) 시 활용 통합문학치료 실습 질의-순간순간 달라지는 우리 181
[실습 2에 대한 이론 ] 183
1) 인간의 정체성 발달 183
2) 문학치료에서의 몸의 의미 189
3) 문학치료에서의 개인 작업 189
3. 5가지 정체성 중 ‘일과 여가 정체성’ 191
[실습 3] 191
1) 일 정체성 실습 Ⅰ: 명상 활용 통합문학치료 191
2) 일 정체성 실습 Ⅱ: 삶의 파노라마 관점 206
3) 문학치료 활용기법: ‘옛날 옛날에~’ 글쓰기 217
[실습 3에 대한 이론] 224
1) 그룹 역동의 수용 224
(1) 작업 전 치료 그룹의 분위기와 역동을 파악 224
(2) 치료 그룹의 정보는 질문을 통해서 파악 225
(3) 공동 연대와 상호 공감을 통한 정체성 발전 226
2) 도입 단계의 구조화와 유연성 226
(1) 도입 단계의 구조화가 필요한 경우 226
(2) 도입 단계의 비구조화 228
3) 참여자를 이해하는 관점 228
(1) 판단 없이 호기심을 가지고 참여자 이해 228
(2) 참여자를 경이로운 시선으로 보기 229
(3) 다름의 인정과 거리 두고 바라보기 229
4. 5가지 정체성 중 ‘몸의 정체성’ 230
[실습 4] 230
1) 몸을 활용한 실습(Bottom-up) 230
2) 언어를 활용한 실습(Top-down) 231
3) 몸과 관련된 정체성 작업(자전적 글쓰기) 실습 233
[실습 4에 대한 이론] 239
1) 즉흥 동작 정보기술 239
2) 긍정적 언어와 부정적 언어에 대한 몸의 반응 239
3) 정체성의 의미 240
4) 언어로 표현함으로써 치유력이 생긴다. 242
5) 좋은 시 읽기에서 오는 치유 체험 242
6) Top-down과 Bottom-up에 대한 이해 244
7) 몸의 파노라마를 활용한 몸 정체성 작업 247
8) 몸의 정서를 언어 및 그림 그리기로 표현하기 248
9) 심층 해석학적 관점 250
10) 어린 시절의 환경이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251
11) 환기 작업 기법 252
12) 내러티브적 자기 정체성 찾기 255
제6장 수용적 문학치료와 능동적 문학치료 수퍼비전 실습과 이론 259
1. 수용적 문학치료와 능동적 문학치료를 통한 레조난스 찾기 261
[실습 5] 261
1) 시 활용 통합문학치료 실습 Ⅰ 261
2) 음악 활용 통합문학치료 실습 263
3) 호흡으로 감각 활성화 실습 266
4) 시 활용 통합문학치료 실습 Ⅱ 272
5) 시 활용 통합문학치료 실습 Ⅲ 278
[실습 5에 대한 이론] 281
1) 문학치료에서 역할극의 활용 281
2) 정체성 작업을 통한 통찰과 공동 연대 282
3) 문학치료와 창의성 283
4) 문학을 통한 애도 작업 284
5) 그룹 작업을 하는 이유 285
6) 수용적 이해와 능동적 이해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286
7) 14가지 치유요소의 이해 286
8) 문학치료는 목적이 자유롭다. 289
2. 통합문학치료의 수용적 기술과 수퍼바이저의 역할 292
[실습 6] 292
1) 상황 그림카드 활용 통합문학치료 292
2) 음악과 시 활용 통합문학치료 실습 Ⅰ 293
3) 시 활용 통합문학치료 실습 Ⅳ 302
4) 음악과 시 활용 통합문학치료 실습 Ⅱ 307
[실습 6에 대한 이론] 314
1) 메타적 자기 성찰(Meta-Reflection)-자아 초월적 내면 들여다보기 315
2) 심층 기술(Deep Description) -해석학적 심층적 표현으로써의 ‘한 마디 한 문장’ 316
3) 치료사의 명료한 제시어 317
4) 상호지지, 상호 공감, 그리고 반향 321
5) 상호 영향력(Co-Effective) 322
6) 통합문학치료의 두 가지 과제(역할): 문제 해결, 성장 324
7) 공동 창의적 연결 325
8) 참여자의 리소스 326
찾아보기 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