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키에르케고르S. Kierkegaard의 간접전달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로 키에르케고르의 교육이론과 그의 실존윤리학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초등학교 도덕과교육론(교육과학사, 1998, 공저), 키에르케고르의 간접전달(성경재, 2003), 도덕과교육방법론(교육과학사, 2019, 공저) 등이 있고, 주요 번역서로는 키에르케고르의 교육이론(R. J. Manheimer, 교육과학사, 2003, 공역), 키에르케고르의 철학: 이 시대의 자기기만과 비겁(J. D. Mullen, 아바벨출판사, 2017, 공역)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윤리학: 도덕교육의 이론으로서의 윤리학”, “소크라테스와 키에르케고르: 교육원리로서의 아이로니”, “키에르케고르의 자아이론: 자아실현의 계기로서의 절망”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재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에서 비고츠키(L. S. Vygotsky)의 도덕심리학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와 리쾨르(P. Ricoeur)의 해석학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012년부터 광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에 부임한 이래 예비교사와 함께 가르침과 배움을 함께 하면서 도덕철학과 도덕심리학에 기반한 도덕(과)교육의 이론과 방법론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19학년도에는 해외파견교수의 자격으로 캘리포니아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at Riverside)로부터 초청받아 방문학자로서 학술교류 및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서로는 「도덕철학과 도덕교육」(2021),「학생과 소통하는 행복한 학급 만들기」(2021), 「도덕과교육방법론」(2019), 「초등학교 인성교육 살리기」(2011), 「리쾨르와 현대 도덕교육」(2010)이 있고, 역서로는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 도덕성 발달의 이해」(2022, M. B. Tappan & M. J. Packer)가 있으며, 도덕철학과 도덕심리학, 그리고 도덕(과)교육에 관한 다수의 학술논문이 있다.
펼치기
박준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에서 피터즈R. S. Peters의 동기이론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스피노자B. Spinoza의 윤리학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세종 조치원중학교 도덕 교사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교원대학교와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서양윤리사상, 초등도덕교육론 등을 강의하였다. 윤리학과 도덕교육이론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교과서 윤리와 사상(비상출판사, 2019, 공저), 주요 논문으로는 “도덕발달의 최종국면에 대한 탐색: 스피노자 윤리학을 토대로”, “도덕교육에서 습관화의 의미” 등이 있다.
펼치기
한찬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에서 마리탱J. Maritain의 인격 이론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토마스 아퀴나스T. Aquinas의 자기인식이론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광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현대 사회가 제기하는 윤리적 문제들과 도덕교육에 관련된 이론적 질문들을 토미즘Thomism의 관점에서 해명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여가schola의 도덕교육적 의미: 아리스토텔레스와 토마스 아퀴나스”, “마리탱 인격 이론에 비추어 본 인격과 지식의 관계”, “도덕교육의 내용으로서의 ‘가치’” 등이 있다.
펼치기
박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주교육대학교에서 칸트(I. Kant)의 윤리학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한국교원대학교에서 헤르바르트(J. F. Herbart)의 교육학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청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로 도덕교육이론과 도덕과교육방법론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도덕철학과 도덕교육」(2021)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인격형성의 원리로서의 교학상장”, “도덕과교육과 부정적 수업”, “헤르바르트의 교육적 슬기 개념: 교육이론의 메타프락시스적 성격”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