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예체능교육 전공
· ISBN : 9788925415697
· 쪽수 : 756쪽
· 출판일 : 2021-01-30
목차
역자 서문 3
감사의 글 6
서언 10
제1부 기본적 논점들
1장 서론 / 23
1. 중요한 문제들 28
2. 예비적 관찰 31
3. 목적 37
4. 전제 40
5. 세 가지의 주요 개념: 간결한 서문 43
6. 이 책의 독자를 위하여 49
7. 특징 50
8. 서장의 끝맺음 51
ㆍ 토의 주제 51
ㆍ 더 읽을 거리 52
2장 철학과 음악교육 / 53
1. 철학: 서론 54
2. 음악교육철학: 짧은 서론 70
3. 철학과 변론: 그 차이는 무엇인가 72
4. 실천, 실천적, 그리고 관련 개념들 82
5. 결론 94
ㆍ 토의 주제 96
ㆍ 더 읽을 거리 96
3장 음악 / 99
1. 들어가기 102
2. 제한점 103
3. 개요 104
4. 단계 1: 음악의 개념을 향한 첫걸음 105
5. 단계 2: 기본적인 결론과 작동적 개념 116
6. 음악: 두 가지의 넓은 범주 118
7. 음악의 기원과 진화에 대하여 130
8. 단계 3: 사람, 음악, 그리고 맥락 147
9. 단계 4: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음악 165
10. 결론 173
ㆍ 토의 주제 175
ㆍ 더 읽을 거리 176
4장 교육 / 177
1. 개요 180
2. 목적과 범위 181
3. 단계 1: 왜 교육을 생각해야 할까? 181
4. 단계 2: 교육의 개념으로 가는 첫 번째 단계들 188
5. 단계 3: 역사적인 관점들 199
6. 단계 4: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교육 225
7. 결론 236
ㆍ 토의 주제 238
ㆍ 더 읽을 거리 238
5장 인간다움 / 239
1. 목적과 범위 242
2. 개요 243
3. 기본 개념과 용어 245
4. 인격체와 인간다움의 총체적 개념 247
5. 매티와 모린 257
6. 의식 262
7. 체화 및 실연적 인격체 266
8. 뇌 273
9. 뇌: 완벽한가 그렇지 않은가? 276
10. 음악적 뇌의 중추가 있을까? 278
11. 마음 281
12. 바디 매핑과 거울 뉴런 282
13. 정서와 느낌 286
14. 음악교육을 위한 시사점 292
ㆍ 토의 주제 293
ㆍ 더 읽을 거리 294
제2부 맥락 안에서의 음악적 과정과 산출물
6장 음악적 이해 / 297
1. 음악적 이해: 일반적인 대답과 심각한 누락 303
2. 목적과 범위 309
3. 논의 계획 311
4. 음악적 이해의 실천적 개념: 체화적 개념과 실연적 개념 311
5. 음악적 이해=음악가적 자질+감상자적 자질 314
6. 과정적 음악 사고와 지식 322
7. 언어적 음악 사고와 지식 330
8. 경험적 음악 사고와 지식 334
9. 상황적 음악 사고와 지식 336
10. 직관적 음악 사고와 지식 338
11. 감식적 사고와 지식 341
12. 윤리적 음악 사고와 지식 342
13. 통제적 음악 사고와 지식 344
14. 음악적 이해(재논의) 347
15. 음악교육을 위한 시사점 350
ㆍ 토의 주제 355
ㆍ 더 읽을 거리 356
7장 맥락 안에서 음악하기와 듣기 / 359
1. 목적과 범위 361
2. 맥락 안에서 연주하기 363
3. 음악적 해석 368
4. 음악적 해석의 확장 372
5. 맥락 안에서 작곡하기 377
6. 맥락 안에서 즉흥연주하기 382
7. 맥락 안에서 편곡하기 386
8. 맥락 안에서 음악듣기 389
9. 문화-이념적 영향의 추가 사례들 392
10. 선호, 비선호, 그리고 다른 음악적 문제들 395
11. 문화로서의 음악 397
12. 맥락적 음악하기와 음악듣기의 윤리 399
13. 맥락 안에서의 예술적 시민의식 402
14. 음악교육을 위한 시사점 406
ㆍ 토의주제 420
ㆍ 더 읽을 거리 421
8장 맥락 안에서의 음악적 산출물 / 423
1. 목적과 범위 424
2. 개요 427
3. 산출물 428
4. 음악의 형식과 내용의 관계 429
5. 연주-해석 차원 433
6. 음악적 디자인 433
7. 실천-특정적 양식 속성 434
8. 음악적 표현 435
9. 음악적 표상 441
10. 문화-이념적 측면 446
11. 서사적 차원 448
12. 자전적 차원 449
13. 윤리적 차원 451
14. 음악교육을 위한 시사점 452
ㆍ 토의 주제 455
ㆍ 더 읽을 거리 456
9장 음악-정서적 경험 / 457
1. 들어가기 458
2. 목적과 범위 461
3. 개요 462
4. 음악적 경험에 대한 철학 462
5. 음악적 경험에 대한 심리학적 관점들 479
6. 음악-정서적 경험 개념 481
7. 음악교육을 위한 시사점 491
ㆍ 토의 주제 493
ㆍ 더 읽을 거리 493
10장 맥락 안에서의 음악적 창의성 / 495
1. 목적과 범위 497
2. 개요 497
3. 창의성의 개념 498
4. 창의성의 어원과 간략한 역사 502
5. 독창성과 음악적 의미 505
6. 즉흥적 독창성 512
7. 창의적 성향과 창의적 과정 514
8. 창의적 성취의 기초 516
9. 창의성과 상상 521
10. 창의성에 대한 재고 523
11. “유익하고 위대한” 음악 525
12. 음악교육을 위한 시사점 530
ㆍ 토의 주제 534
ㆍ 더 읽을 거리 535
11장 음악의 가치 / 537
1. 목적과 범위 539
2. 개요 539
3. 자아와 정체성 540
4. 인간의 성향과 관심 542
5. 의식에 대한 재검토 543
6. 자아성장 547
7. 자아성장과 즐거움의 조건 550
8. 자아성장의 특징과 결과 553
9. 자아존중감과 인간다움 556
10. 안전, 자아존중감, 인간다움 558
11. 인간의 성향과 관심사(재논의) 563
12. 음악만들기의 가치 565
13. 음악듣기의 가치 568
14. 음악-정서적 경험과 사회적 자본 570
15. 음악교육을 위한 시사점 572
ㆍ 토의주제 577
ㆍ 더 읽을 거리 578
제3부 음악과 교육
12장 음악교육과 교육과정 / 581
1. 목적과 범위 582
2. 개요 582
3. 교육과정의 개념 583
4. 전통적 교육과정 만들기 586
5. 전통적 교육과정 만들기에 반대하여 588
6. 교사와 교육과정 만들기 596
7. 교육과정 만들기의 대안적 개념 601
8. 교육과정 공통 구성요소 602
9. 음악교육과정 만들기 603
10. 교육과정 만들기의 네 단계 605
11. 실천주의 음악교육과정 608
12. 실천적 지향 609
ㆍ 토의 주제 621
ㆍ 더 읽을 거리 622
13장 음악 교수ㆍ학습 / 623
1. 목적과 범위 624
2. 개요 624
3. 반성적 음악교육 실습 625
4. 음악교육 실습을 위한 준비와 계획 629
5. 음악 교수ㆍ학습 647
6. 학교 음악교육 평가의 실천적 관점 654
7. 포용적 음악교육과정 655
ㆍ 토의 주제 663
ㆍ 더 읽을 거리 663
14장 음악교육과 학교 교육 / 665
1. 목적과 범위 666
2. 개요 666
3. 교육과 학교 제도 667
4. 학교교육의 기능 671
5. 학교교육의 원리 673
6. 학교교육의 필연적인 결과 675
7. 근원적 문제 676
8. 미래를 향해: 단기적 관점 678
9. 미래를 향해: 장기적 관점 679
10. 미래를 향해: 전문적 음악교육자와 CM조력자 684
ㆍ 토의 주제 686
ㆍ 더 읽을 거리 687
NOTES 688
찾아보기 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