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한 음악교육론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한 음악교육론

최미영, 이수진, 정재은, 오지향, 정진원, 최은식, 석문주, 권덕원 (지은이)
교육과학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0% 0원
570원
18,4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한 음악교육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한 음악교육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예체능교육 전공
· ISBN : 9788925417110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2-08-25

책 소개

음악교육의 중요성과 문화예술교육의 취지를 바탕으로 하고,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업무를 주관하고 있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정한 교육과정 내용에 근거하여 구성되어 있다. 음악교육의 가치와 본질 위에서 의미 있는 문화예술교육, 그리고 가치 있는 음악교육을 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목차

■ 머리말 3

제1장 문화예술교육과 음악교육•11
1.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중요성과 가치 / 13
가. 음악교육의 중요성 / 15
나. 음악교육의 가치 / 20
2.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이유 및 경험 / 24
가.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이유 / 24
나. 음악적 경험 / 30
3.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총괄목표 / 31

제2장 음악교육의 목적과 역할•33
1. 음악 체험 / 35
가. 개인적 관점에서의 음악 체험 / 35
나. 공동체·사회적 관점에서의 음악 체험 / 36
2. 음악교육의 목적과 역할 / 39
가. 음악교육의 목적 / 39
나. 음악교육의 역할 / 45

제3장 음악교육 이해를 위한 기초 1•49
1.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목적 / 51
가. 음악교육의 목적 / 51
나. 음악교사의 역할 / 52
2. 교육대상의 삶을 바탕으로 한 음악교육 / 55
가. 아동의 삶과 음악교육 / 56
나. 청소년과 음악교육 / 59
다. 성인과 음악교육 / 62
3. 과정 중심 음악교육 / 66
가. 음악의 특징으로서의 ‘과정’ / 66
나. 음악의 과정과 결과 / 67
다. 과정 중심의 음악교육의 특징 / 67
4. 지역 중심 음악교육 / 70
가. 음악교육에서 ‘지역’의 개념 / 70
나. 음악의 보편성과 특수성 / 70
다. 학교와 지역사회의 역할 / 71
라. 공동체 중심의 음악교육 / 73

제4장 음악교육 이해를 위한 기초 2•77
1. 놀이를 통한 음악교육 / 79
가. 놀이교육의 특성 / 79
나. 음악교육에서 적용하는 놀이 / 80
2. 다중지능을 통한 음악교육 / 83
가. 다중지능이론의 특성 / 83
나.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아츠프로펠 / 85
3. 협동학습을 통한 음악교육 / 89
가. 협동학습의 특성 / 89
나. 협동학습을 통한 음악교육 / 91
4. 인지적 도제이론을 통한 음악교육 / 95
가. 인지적 도제이론의 특성 / 95
나. 인지적 도제학습 이론을 적용한 음악수업 / 96
5. 통합적 원리를 적용한 음악교육 / 104
가. 음악학습 내적 차원에서의 통합적 접근 / 104
나. 다른 영역과의 연계 차원에서의 통합적 접근 / 106

제5장 음악교육의 철학적 이해•111
1. 음악교육철학의 이해 / 113
가. 예악론 / 113
나. 리머의 음악교육철학 / 116
다. 엘리엇의 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 / 121
2. 학교음악교육 / 127
가. 유치원 음악교육 / 127
나. 초등학교 음악교육 / 132
다. 중·고등학교 음악교육 / 141
3. 사회음악교육 / 146
가. 성인 대상 음악교육 / 147
나. 노인 대상 음악교육 / 148
다. 소외계층 대상 음악교육 / 150
4. 문화예술교육사의 역할과 책무 / 152
가. 문화예술교육의 전문가 / 152
나. 학교와 지역사회 간 문화예술교육 메디에이터 / 153
다. 문화예술 관련 프로그램 기획 및 진행 / 154
라. 문화예술 관련 연구자 / 155

제6장 달크로즈 교수법•157
1. 달크로즈 교수법의 개관 / 159
가. 달크로즈 교수법의 교육철학 / 159
나. 달크로즈 교수법의 원리 / 162
2. 달크로즈 교수법의 내용 / 164
가. 유리드믹스(eurhythmics) / 164
나. 솔페이즈(solfege) / 167
다. 즉흥연주(improvisation) / 170

제7장 코다이 교수법•175
1. 코다이 교수법의 개관 / 177
가. 코다이 교수법의 교육철학 / 178
나. 코다이 교수법의 원리 / 180
2. 코다이 교수법의 내용 / 181
가. 이동도법 계명창(movable do solfa) / 181
나. 손기호(hand signs) / 182
다. 리듬음절(rhythm syllables) / 184
라. 내청과 음악적 기억력 / 186

제8장 오르프 접근법•189
1. 오르프 접근법의 개관 / 191
가. 오르프 슐베르크(Orff Shulwerk)의 철학 / 191
나. 오르프 접근법의 원리 / 193
2. 오르프 접근법의 내용 / 194
가. 학습매체(Orff media) / 194
나. 교수법적 요소(Orff pedagogy) / 200

제9장 포괄적 음악성 접근법•207
1. 포괄적 음악성 접근법의 배경 / 209
가. 신진 작곡가 프로젝트 / 209
나. 현대음악 프로젝트 / 210
다. 맨해튼빌 음악교육과정 연구 / 211
2. 포괄적 음악성 접근법의 원리 / 213
가. 공통요소(Common Elements) / 213
나. 음악적 기능 / 215
다. 교육적 전략 / 217
3. 포괄적 음악성 접근법의 적용 / 218
가. 수업목표 / 218
나. 악곡 선택 / 219
다. 악곡 분석 / 220
라. 기대 결과 / 220
마. 교수전략 / 221
바. 평가 / 222

제10장 음악교육의 방법과 평가•223
1.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방법 / 225
가. 음악에 대한 인지적 이해 / 225
나. 음악활동과 음악표현 기능 / 227
다. 음악에 대한 태도와 가치화 / 230
2.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구조화 / 232
가. 목표의 설정 / 232
나. 수업 설계 / 233
다. 수업 실행 / 239
라. 음악평가의 원리와 방법 / 240
3.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특성과 평가 / 249
가.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음악교육 / 249
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음악평가 / 254
4.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특성과 평가 / 257
가. 사회문화예술교육과 음악교육 / 257
나.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음악평가 / 260

제11장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현황•263
1. 국내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 사례 / 265
가. 학교 문화예술교육 / 265
나. 사회 문화예술교육 / 268
2. 자신이 희망하는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음악교육 유형과 선택의 이유 / 274

제12장 해외 문화예술교육 사례•275
1. 해외 문화예술교육 정책 / 277
가. 미국 / 277
나. 독일 / 277
다. 영국 / 278
라. 프랑스 / 278
마. 일본 / 279
2. 해외 문화예술교육 사례 / 280
가. 미국 / 280
나. 독일 / 283
다. 영국 / 285
라. 프랑스 / 287
마. 일본 / 288

제13장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비전과 과제•291
1.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현실과 변화 필요성 / 293
가. 학교문화예술교육의 배경 / 293
나. 학교문화예술교육 현황 / 295
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변화 필요성 / 301
2. 사회문화예술교육의 현실과 변화 필요성 / 305
가. 현대사회의 변화와 문화예술교육에의 기대 / 305
나. 사회문화예술교육 현황 / 309
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과제 / 316
3.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능성과 방향 / 319
가.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능성 / 319
나. 문화발전 동인으로서 음악교육의 방향 / 321

■ 참고문헌 324
■ 찾아보기 329

저자소개

정진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기악과 졸업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음악교육학 박사 현) 춘천교육대학교 교수 <저서> 음악교육연구방법, 예비교사와 현장교사를 위한 초등 음악교육, 음악수업 모형의 이론과 실제, 음악교육의 기초,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한 음악교육론
펼치기
이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작곡과 졸업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음악교육학 박사 현) 국민대학교 조교수 <저서> 효과적인 음악교수법, 음악적 이해를 위한 교수법, 현대의 음악교수법, 실천주의 음악교육 철학, 음악교육의 기초,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한 음악교육론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