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AAIDD 12판 지적장애

AAIDD 12판 지적장애

(정의, 진단, 분류, 및 지원체계)

Robert L. Schalock, Ruth Luckasson, Marc J. Tasse (지은이), 박승희, 박윤희, 한선영 (옮긴이)
교육과학사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000원 -0% 0원
510원
16,490원 >
17,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1,7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AAIDD 12판 지적장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AAIDD 12판 지적장애 (정의, 진단, 분류, 및 지원체계)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특수교육학
· ISBN : 9788925416625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2-02-15

책 소개

11판의 내용과 2010년 이후 진전들과 역사적 표지들을 함께 통합하고, 이론적 및 개념적 완결성과 독자의 가이드로서 실제적 측면들을 결합하는 독자에게 친절한 매뉴얼을 개발한다.

목차

역자 서문 14
저자 서문 20
지적장애의 정의와 그 적용에 대한 가정 27

1장 12판 매뉴얼의 개관 29
12판 매뉴얼의 목표 29
12판 매뉴얼의 내용 31
독자에게 친절한 자원 34
인간 기능성에 대한 다차원적 모델 36
AAIDD 매뉴얼 12판의 가치 38

2장 지적장애의 정의 41
정의의 실행에 대한 가정 43
정의의 일관성 44
AAIDD, 미국정신의학회, 및 세계보건기구의 지적장애 정의의 제휴 45
지적장애 정의에서 변한 부분과 변화하지 않은 부분 51
실제 지침 51

3장 지적장애의 진단 53
도입 및 개관 54
지적 기능성과 적응행동의 구인, 및 시작 연령에 대한 현재의 이해 55
지적장애 진단에서 지적 기능성과 적응행동 사이의 관계 67
적응행동 및 지적 기능성 점수의 해석 69
지적장애 진단에서 전문가의 책무성 70
지적장애 진단에서 임상적 판단의 역할 72
지적 기능성과 적응행동의 평가 및 지적장애 진단에 대한 실제 지침 79

4장 지적장애 분야에서 분류 83
도입 및 개관 84
지적장애에서 하위집단 분류를 위한 명시적 틀과 체계적인 과정 88
지원요구 강도의 분류 90
개념적, 사회적, 및 실제적 적응기술에서 제한성 정도의 분류 92
지적 기능성에서 제한성 정도의 분류 96
하위집단 분류에서 임상적 판단의 역할 99
실제 지침 104

5장 지원의 체계 107
도입 및 개관 109
개인 중심성: 개인적 지원요구의 평가 111
종합성: 지원체계의 요소 114
협응됨: 개인적 지원 계획 126
성과 지향성: 인간 기능성 성과 틀 128
맥락의 중요성 131
지원체계에서 임상적 판단의 역할 133
지원체계에 관한 실제 지침 133
6장 지적장애에 대한 통합적 접근 137
도입 및 개관 138
총체적 틀 142
정밀한 용어 145
증거기반 실제 149
임상적 판단 기준 154
인간 기능성에 대한 이해의 증대 156
가치 있는 성과에 대한 공유된 비전 164
지적장애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전문가 책임 167
실제 지침 169

용어 해설 172
참고문헌 201
찾아보기 221
역자 소개 226

저자소개

Ruth Luckasson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박승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 교수 1992년 이래로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학위를, 미국 Syracuse 대학교 특수교육 및 재활학과에서 지적장애 전공으로 석사학위, 특수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876년에 창립된 ‘미국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학회(AAIDD)’는 지난 100년에 걸쳐 ‘지적장애의 새로운 개념화’를 정의 매뉴얼로 출판해왔다. 박승희와 동료는 AAMR(1992) 9판 매뉴얼을 1994년에, AAMR(2002) 10판 매뉴얼을 2003년에, AAIDD(2010) 11판 매뉴얼을 2011년에, AAIDD(2021) 12판 매뉴얼을 2022년에 한글 번역서로 출판함으로써 ‘지적장애 구인’과 ‘장애 개념화’의 지난 30년간 연구와 실제의 진보와 그 함축성을 알리고 있다.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에 초점을 둔 연구 외에 통합교육, 기능적 교육과정, 지원고용, 장애학, 및 장애분야 척도개발 관련 다수의 논문과 저서 및 역서를 출판해왔다. 지적장애인과 발달장애인 교육과 고용을 위한 현장교육 및 옹호활동을 지속하고 있으며, 2018-2020년에 한국특수교육학회 회장으로 봉사하였다. 2022년에는 AAIDD가 주는 ‘2022 International Award’ 수상자로 결정되어 146번째 연차학술대회에서 상을 수여받는다.
펼치기
박윤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하면서 유아교육을 복수전공하여 2001년에 학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 소재공립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로 재직 중이다. 동 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특수교육 전공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동 대학교 특수교육학과에서 박사과정(지적장애 전공) 중이다. 특수교사로서 특수교육 여가교육연구회 활동을 지속적으로 하면서, 매년 도깨비 캠프에 놀이 교사로 참여하였다. 2015년에는 서울시교육청 통합교육 중점학교에서 가족통합캠프를 운영했다. 주요 관심 주제는 학령기 지적장애 학생의 통합교육 및 여가교육이다. 주요 연구 논문은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인기 장애학생의 인기요인 분석」(2007)이 있다.
펼치기
한선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를 2000년에 졸업하고, 대전 소재 공립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로 재직 중이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에서 특수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에서 박사과정(지적장애 전공) 중이다. 2000년부터 특수교사로서 서울 소재 공립 발달장애 특수학교 초등부에서 근무한 이후에, 지금까지 대전 소재 공립 초등학교의 특수학급에서 근무하고 있다. 주요 관심 주제는 지적장애, 통합교육, 교사교육이다. 『2015 기본교육과정 초등 3∼4학년 음악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와 『장애학생을 위한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공동 집필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