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특수교육요구 학습자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특수교육요구 학습자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증거기반 교수전략의 적용)

David Mitchell (지은이), 박승희, 최하영, 김은하, 박은영 (옮긴이)
교육과학사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000원 -0% 0원
780원
25,2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특수교육요구 학습자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특수교육요구 학습자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증거기반 교수전략의 적용)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특수교육학
· ISBN : 9788925412603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18-03-15

책 소개

증거기반의 특수교육요구 교수 전략에 관심이 있는 교사들에게 바로 교실 실제에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증거기반 전략을 제공하는 책이다. 27개 각각의 전략들은 충분한 연구 기반, 강한 이론적 근거 및 실행에 있어 명료한 지침뿐 아니라 필요한 부분에서 경고성의 충고를 담고 있다.

목차

· 역자 서문 9
· 저자 서문 17
· 저자 감사의 글 22
1장 들어가는 장 23
2장 교수 및 학습 모델 49
3장 전략 1: 협동집단 교수 ‘학습자들이 서로에게 배우는 것을 돕기’ 75
4장 전략 2: 또래교수와 또래영향 ‘또래들이 서로 가르치고 지원하도록 활용하기’ 93
5장 전략 3: 사회성 기술 훈련 ‘학습자에게 다른 사람과 긍정적인 상호작용방법 가르치기’ 109
6장 전략 4: 협력 교수 ‘효과적인 팀원이 되기’ 127
7장 전략 5: 부모 참여와 지원 ‘가족의 권리, 기술, 요구 존중하기’ 141
8장 전략 6: 인지전략 교수 ‘학습자에게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기’ 163
9장 전략 7: 자기조절 학습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을 통제하도록 돕기’ 179
10장 전략 8: 기억 전략 ‘학습자가 중요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돕기’ 193
11장 전략 9: 복습과 연습 ‘연습이 완벽을 만든다’ 209
12장 전략 10: 상보적 교수 ‘학습자가 자신이 읽는 것을 이해하도록 돕기’ 221
13장 전략 11: 행동주의적 접근 ‘행동 변화를 위한 선행사건과 후속결과의 통제’ 233
14장 전략 12: 기능적 행동 평가 ‘선행사건과 후속결과의 변화를 통한 문제행동의 변화’ 251
15장 전략 13: 인지행동치료 ‘학습자가 자신의 부정적 사고를 바꾸도록 돕기’ 263
16장 전략 14: 직접교수 ‘고도로 구조화된, 활발한 진행의 성공적인 수업 만들기’ 281
17장 전략 15: 형성평가와 피드백 ‘학습자의 진보를 정기적으로 체크해 알려주기’ 295
18장 전략 16: 보조공학 ‘학습자의 기술을 향상시키기’ 307
19장 전략 17: 보완대체 의사소통 ‘의사소통 기술 개발을 위해 모든 수단 활용하기’ 323
20장 전략 18: 음운 인식과 음운론적 처리 ‘소리 읽기 전략 사용하기’ 339
21장 전략 19: 실내 물리적 환경의 질 ‘학습이 가능한 물리적 환경 제공하기’ 353
22장 전략 20: 보편적 학습설계 ‘모든 학습자가 학습의 모든 측면에 늘 접근하도록 보장하기’ 371
23장 전략 21: 중재에 대한 반응 ‘개인적 요구 정도를 고려한 증거기반 중재들의 단계적 적용’ 381
24장 전략 22: 교실 분위기 ‘안전하고 긍정적이며 동기를 유발하는 학급 환경 창출하기’ 393
25장 전략 23: 학교차원 전략 ‘문제행동의 예방 혹은 최소화를 위한 다층 시스템 만들기’ 413
23.1: 학교문화 414
23.2: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423
23.3: 모두를 위한 성공 434
26장 전략 24: 기관 간 협력 ‘분열된 서비스에서 협응된 서비스로의 이동’ 443
24.1: 포괄적 중재 443
24.2: 총체적 서비스 학교 449
27장 전략 25: 통합교육 ‘모든 학습자에게 맞추기 위해 학급 프로그램 조정하기’ 461
28장 전략 26: 한 교육 시스템 사례 연구: 핀란드 487
29장 전략 27: 학습할 기회 ‘학습을 위한 시간의 충분한 양과 질 제공하기’ 499
찾아보기 512
역자소개 524

저자소개

David Mitchell (지은이)    정보 더보기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소재 Canterbury대학교 사범대학의 비상근 교수이며, 통합교육 자문가이다.
펼치기
박승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 교수 1992년 이래로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학위를, 미국 Syracuse 대학교 특수교육 및 재활학과에서 지적장애 전공으로 석사학위, 특수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876년에 창립된 ‘미국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학회(AAIDD)’는 지난 100년에 걸쳐 ‘지적장애의 새로운 개념화’를 정의 매뉴얼로 출판해왔다. 박승희와 동료는 AAMR(1992) 9판 매뉴얼을 1994년에, AAMR(2002) 10판 매뉴얼을 2003년에, AAIDD(2010) 11판 매뉴얼을 2011년에, AAIDD(2021) 12판 매뉴얼을 2022년에 한글 번역서로 출판함으로써 ‘지적장애 구인’과 ‘장애 개념화’의 지난 30년간 연구와 실제의 진보와 그 함축성을 알리고 있다.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에 초점을 둔 연구 외에 통합교육, 기능적 교육과정, 지원고용, 장애학, 및 장애분야 척도개발 관련 다수의 논문과 저서 및 역서를 출판해왔다. 지적장애인과 발달장애인 교육과 고용을 위한 현장교육 및 옹호활동을 지속하고 있으며, 2018-2020년에 한국특수교육학회 회장으로 봉사하였다. 2022년에는 AAIDD가 주는 ‘2022 International Award’ 수상자로 결정되어 146번째 연차학술대회에서 상을 수여받는다.
펼치기
최하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Hayoung Choi, Ph.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t. of Education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특수교육 전공으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 캠퍼스(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의 특수교육학과에서 자폐 및 발달장애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 공립 초등학교에서 특수학급 교사로 근무하였으며,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1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중·고등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 편찬 책임을 맡은 바 있으며, 국립현대미술관과 특수아동을 위한 미술관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과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생활중심 과학프로그램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발달장애아동의 의사소통과 문제행동중재, 교원양성대학에서 교사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번역서로는 <지적장애학생의 중등이후교육: 대학을 생각하다>, <특수아 상담>,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 중재>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은하 (옮긴이)    정보 더보기
강남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Eunha Kim, Ph.D. Kangnam University, Dept. of Primary Special Education 강남대학교 특수교육과를 졸업하고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특수교사로 근무하였다. 미국 Long Island University(C.W.Post)에서 Clinical Art Therapy 전공으로 MA 학위를 받았고, 미국 뉴욕 크리드모어 주립정신병원에서 미술치료사 인턴으로, 일산 백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에서 미술치료사로 재직하였으며, 미국공인미술치료사 자격(ATR)을 취득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지적장애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강남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 통합학급 수업참여방안> 번역과 <복지와 테크놀로지> 집필에 참여하였으며, 관심 연구 분야는 지적장애학생 교육, 지적장애학생 전환교육, 개인중심계획(Person-Centered Planning), 인성교육, 장애학, 장애아동 미술치료, 교육분야 국제개발협력 및 복지기술(Welfare-Technology)이다.
펼치기
박은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주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Eun-Young Park, Ph.D. Jeonju University, Dep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연세대학교에서 재활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공주대학교에서 특수교육학을 전공하고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지적장애, 자폐범주성 장애, 중도중복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교육 프로그램 담당 직업훈련교사로 근무하였다. 현재는 전주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특수교육학, 지적장애아교육, 지체장애교육, 전환교육, 장애아 진단 및 평가 등의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 진로와 직업 교과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였으며, 진로와 직업 교과 국정도서 개발에 참여하였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뇌성마비아동의 일상생활활동, 일상생활 참여에 미치는 요인 등에 대한 과제를 수행하였다. 장애아동 가족 및 아동의 삶의 질, 장애인의 빈곤과 정보격차 문제 등의 문제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평가 도구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알아보는 연구를 통해 장애인의 삶의 질 및 심리 등을 타당하게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