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두근두근

두근두근

(몸에 관한 어떤 散 : 文 : 詩)

권혁웅 (지은이), 이연미 (그림)
랜덤하우스코리아
1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두근두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두근두근 (몸에 관한 어떤 散 : 文 : 詩)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사진/그림 에세이
· ISBN : 9788925516035
· 쪽수 : 744쪽
· 출판일 : 2008-01-15

책 소개

시인이자 문학평론가인 권혁웅이 몸에 대해, 사랑에 대해 쓴 '산문시(散 文 詩)'. 신체 각 기관의 특징에서 끄집어낼 수 있는 사랑에 관한 많은 이야기들을 시와 산문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특한 형식의 에세이로 풀어냈다. 화가 이연미가 그린 일러스트가 본문에 함께 수록되었다.

목차

자서

1. 잡다, 만지다/손·손 주름·손가락
수위표 l 김유신의 손가락 l 스며드는... 아웃 오브 아프리카 l 할아버지의 힘 l 돋아난 손 l 시계 지나간 자리 l 약손 l 마술사의 손 l 사랑에 빠진 사람은 지푸라기라도 잡으려 든다 l 잔에 관하여 l 이항 대립의 손가락 l 손끝에 맺힌 미로 l 운명론자 l 회고주의자 l 불가지론자 l 달뜨다 l 점강법 l 보굿 l 산수 공부

2. 찾아가다/다리·발
"가고 오지 못한다는 말이..." 김소월(A) l "가고 오지 못한다는 말이..."김소월(B) l 길 저쪽에 l 전족의 슬픔 l 교차로 l 먼지의 길 l 대도무문 l 미소를 띠며 나를 보낸 그 모습처럼 l 낭패 l 거리에서 l 이인삼각(二人三脚) l 언 발에 오줌 누기 l 미노타우로스 l 슬하(膝下) l 머뭇거리다 l 사랑을 건너가는 두 가지 방법 l 주저흔(躊躇痕) l 방어흔(防禦痕) l 삼인행(三人行) l 성인식 l 만보객의 꿈 l 11월 l 12월 l 연육교 l 쥐구멍에 볕이 들어선 안 된다

3. 웃다, 울다/얼굴
열린 책 l 닫힌 책 l 불태운 책과 감춘 책 l 파경 l 눈 녹은 자리 l 이차원과 삼차원 l 어머니 l 물결과 꿈결 l 뜯어낸 포장지처럼 l 도장 파는 노인 l 과부촌 l 고통스러운 웃음 l 철판볶음밥집에서 l 얼굴 비빈 자리 l 습곡(褶曲) l 신문 절대 사절 l 밑줄 l 기미 A l 기미 B l 버짐나무에 핀 버짐처럼 l 그 울음 l 바닷물이 짠 이유 l 야누스

4. 보다/눈·눈썹
마리오네트 l 막간(幕間) l 눈의 개수 l 바보들 A l 바보들 B l 9미터짜리 슬픔 l 어리둥절한 슬픔 l 회전문과 회전문 사이 l 백락과 천리마 l 무심한 시선 l 시선의 끝 l 타산지석 l 잠든다는 것 l "불 끈 나라의 황급한 사라짐이여"(이성복) l 이상주의자 l 나는 내 자신의 꿈이다 l 활동사진처럼... l 현실주의자 l 부처님 가운데 토막 l 사시(斜視) A l 사시(斜視) B l 눈물의 힘 l 판옵티콘 l 피라미드식 관찰법

5. 맡다/코
콧구멍은 왜 아래에 나 있나 l 콧구멍은 왜 둘인가·코는 왜 하나인가 l 코는 왜 얼굴 앞에 나와 있나 l 슬픔의 종류·경계라는 것 A l 경계라는 것 B l 개에게서 배워야 할 일 l 코끝에 맺힌 기억 l 행복의 조건 l 또 봄 l 전속력으로... l 눈 감으면 코 베어가는 세상 l 코를 베어도 눈 감지 않는 세상 l 뒤로 넘어져도 코가 깨진다는 말 l 코가 뱃머리를 닮은 이유 l 클레오파트라의 코 l 방귀

6. 말하다, 맞추다/입술·혀·입
붉은 등 l 누군가 그대를 지나쳐 갔다 l "혀끝에 맴도는 이름"(파스칼 키냐르) l 두 개의 구멍 l 우물의 깊이 A l 우물의 깊이 B l 우물의 깊이 C l 우물의 깊이 D l 건너온 사람 l 맥놀이 l 입술소리들 l 날아간 것 l 항아리 일가 l 누군가 뒤에서 잡아당긴 것처럼 l 무심한 봉투 l 하수구에 고인 머리카락 l 할머니 l 실어증 l 봄날의 에로스 l 두부처럼... l 사랑의 감옥 l 독순술 l 나는 당신을 사랑해요 l 은유법으로 울다 A l 은유법으로 울다 B l 혼자 먹는 밥 l 비밀 l 로미오와 줄리엣 l 권태에 관하여 l 말을 않거나, 계속 말하거나... l 고백 l 침묵에 관하여 l 몽니를 부리다 l 양변기 l 허무주의자 l 사랑하는 게 사랑보다 먼저인 나라 l "흡연은 폐암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며..."

7. 듣다/귀
식목(植木)의 밤 l 고래밥 l 호접몽 l 어두운 동굴에 관한 기억 l 하늘의 귀 l "집에 오는 길은..."(패닉) l 고약한 사람들 l 처마 아래 떨어지는 빗소리 l 지음(知音) l 옥탑방 고양이 l 파동(波動)이라는 것 A l 파동(波動)이라는 것 B l 귀가 하수구도 아닌데... l "그날이 오면"(심훈) l 이명(耳鳴) l 사람은 얼마만큼 떨어야 하는가

8. 생각하다/머리
한 숟가락 l 두 숟가락 l 결승문자(結繩文字)들 l 표백(表白) l 체머리 l 노년기 지형 l 까치집에 관한 생각 l 이름에 관하여 A l 이름에 관하여 B l 이름에 관하여 C l 명함에 관하여 l 일방통행로 l 달하 노피곰 도다샤... l 돼지 꼬리 l 꿈은 꿈이다 l 저 수많은 돼지 머리들 l 뿔이 나다 l 전설의 고향 A l 전설의 고향 B l 좀비의 식사 l 배고픈 사랑 l 60촉이거나 30촉이거나 l 황화식물의 꿈

9. 겪다/몸
거푸집 A l 거푸집 B l 거푸집 C l 복고적인 소풍 l 우두커니 l 어처구니 l 어이 l "어떤 조롱도 무거운 마음 일으키지 못했네"(기형도) l 막다른 길 l 포개진 몸 A l 포개진 몸 B l 희나리 l 떨어진 몸 A l 떨어진 몸 B l 부처님의 서른두 가지 길상 l 동사로서의 몸 l 정육점과 사창가 l 음과 양 l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l 사자와 소의 사랑 l 윤곽 A l 윤곽 B l 우주적인 유혹 A l 우주적인 유혹 B l 그때 나는 어디에 있었을까? l 이데아와 이데올로기 l 양파의 실존학 l 자본주의의 실존학 l 부활절의 수사 l 자식이 아니라, 원수야 원수! l 부처님 손바닥 위에서 l 진보와 반동 l 칠뜨기와 팔불출·평생이라는 것 l 납작한 사람 l 난생 신화(卵生神話) l "모가지가 길어서 슬픈 짐승이여"(노천명) l 일요일의 연인 l 월요일의 연인 l 만인의 연인 l 화양연화

10. 떠맡다/등·어깨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l 참을 수 없는 존재의 무거움 l 음지 l 디스크 l 이생규장전(李生窺牆傳) l 오십견 l 비견(比肩) l 대견 l "그대 어깨 위에 놓인 짐이..."(변진섭) l 사실주의 l 우화등선(羽化登仙) l 우주의 등을 밀다 l 누가 주체인가? l 필화 사건(筆禍事件) A l 필화 사건(筆禍事件) B

11. 안다/배·가슴
1억 년 동안의 고독 l 계단의 꿈 l 흉곽에 걸린 사람 l 서정시에 관하여 l 넓은 사람 l 어머니의 마음 l 좌고우면(左顧右眄) l 이 짐승! l 회회아비(쌍화점) 생각 l 밀물 l 썰물 l 갈비에 관한 여덟 가지 오해 l 당신의 옆자리 l '계단'과 '단계'라는 애너그램 l 포옹 l 빈방 l 너무 자주 만진 손잡이처럼 l 아담의 식사 l 배꼽시계가 가리키는 것

12. 부풀어 오르다/젖가슴
사랑이라는 발음 l 무덤의 역사 A l 무덤의 역사 B l 그 너머에 있는 것 l 그녀를 떠나다 l B컵이거나 C컵이거나... l 박자에 맞춰서... l 작용과 반작용 l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안치환) l 배치의 문제 l 은하수의 유래 l 고향 가는 길 l 티끌 모아 태산 l 화룡점정 l 쌍문동 지나면 수유리, 수유리 지나면 미아동 l 항우(項羽)의 항복 l 선문답·형식주의자 l 에어 서플라이(Air Supply) 생각 l 호빵맨 생각 l 황진이 생각 l 심형래 생각 l 그리우면 닮아간다 l 저녁이 되면 집으로 돌아가야 한다

13. 앉다/엉덩이·볼기
몸과 꼬리는 어느 것이 더 무거운가? A l 몸과 꼬리는 어느 것이 더 무거운가? B l 소용돌이 l 출렁임, 출렁임 l 호모 에렉투스 l 겨우 존재하는 것들 l 지나간 것 A l 지나간 것 B l 광장에서 l 기도의 형식 A l 기도의 형식 B l 삼겹살집에서·동음이의어법으로 울다 l 갈 수 없는 나라 l 빗살무늬토기 l 아녀자들에게 말하는 법 l 취중진담 A l 취중진담 B l 미주알고주알 A l 미주알고주알 B l 공즉시색(空卽是色) A l 공즉시색(空卽是色) B l 부복(俯伏)한 사람들 l 순장의 꿈 l 빅뱅 A l 빅뱅 B l 빅뱅 C l 좌충우돌 l 삼단논법

14. 달아오르다/성기
중심의 괴로움 l 폭포 앞에서 l 어두운 숲에 대한 기억 l 마중 나온다는 것 l 배웅한다는 것 l 천일야화(千一夜話) l 바닐라 l 진로(眞露)를 먹는 사람 l 첫 번째 구멍 l 두 번째 구멍 l 세 번째 구멍 l 처녀에 관하여 A l 처녀에 관하여 B l 처녀에 관하여 C l "삽질하네" l 알리바이 A l 알리바이 B l 알리바이 C l 질투에 관하여 l 섹스와 계단의 공통점 l 섹스와 포옹의 차이점 l 야곱의 사다리 l 그대 안의 바다 A l 그대 안의 바다 B l 금기에 관하여 l 자위대(自衛隊) 생각 l 여성 상위 시대 l 부자지간(父子之間) l 광우병 생각 l 음모론 l 너 자신을 알라(큰소리로) l 방충망 앞에서 l 맷돌에 관한 우화 l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어라."(「구지가」) l 벌레 같은 l 벌레만도 못한 l 네가 누울 곳에 내 머리를 누일 수 있다면... l 나무들의 기억 l 달을 가리켰는데 손가락은 왜 보나? l 달이라는 경전 A l 달이라는 경전 B l 베스트셀러의 날 l 방아타령 l 어휘 공부 l 봄날은 간다 l 유모가 전하는 말 l 순환선

15. 닿다/피부
햇살 l 사마귀 l 팔복(八福) A l 팔복(八福) B l 팔복(八福) C l 팔복(八福) D l 아름드리 l 주름 A l 주름 B l 집과 몸 l 소용돌이를 품는다는 것 l 삯바느질 l 물살 A l 물살 B l 물살 C l 밀고 당기기 l 구상성단 l 착하게 살자 l 물집 l 소름 l 별자리 l 세월의 물결 l 부러진 살 l 인종주의로 선탠하는 일

16. 두근거리다/심장
비극적 파토스에 대한 나의 견해 l 매혹된다는 것 l 매혹 뒤에 남는 것 l 운명과 팔자의 차이 l 할증 l 종량제 봉투처럼... l 널 사랑하니까... l "당신만을 사랑해"(혜은이) l 문밖에서 l 기다림 l 계속 기다림 l 여전히 기다림 l 영원한 사랑 A l 영원한 사랑 B l 이 모든 괴로움을 또다시 l 접시 물의 깊이를 재기 l 은유와 그 너머 l 그리워하다 l 절망과 타락은 어느 것이 먼저인가? l 욕망에 관하여 l 도를 좋아하세요? l 엎질러진다는 것 l 동거인 l 안심 l 등심 l 흑심 l 방심 l 사심 l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정석가」) l 비트박스

저자소개

권혁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6년 『문예중앙』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황금나무 아래서』『마징가 계보학』『애인은 토막 난 순대처럼 운다』『소문들』『그 얼굴에 입술을 대다』, 평론집으로 『미래파』『입술에 묻은 이름』, 연구서로 『시론』, 산문집으로 『꼬리 치는 당신』『외롭지 않은 말』『몬스터 멜랑콜리아』『생각하는 연필』『미주알고주알』『원피스로 철학하기』 등이 있다.
펼치기
이연미 (그림)    정보 더보기
국민대 미술학부와 동대학원에서 회화를 전공했다. 2005년 개인전을 시작으로 국내외에서 다수의 개인전과 그룹전에 참여해왔다. 2011년 미국으로 이주, 2014년 현재는 샌프란시스코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www.ivory-lee.com
펼치기

책속에서

불어로 '아모르'라고 발음할 때 우리 입술이 젖꼭지를 향해 삐죽이 내민다면, 한국어로 '사랑'이라고 발음할 때 우리 입술은 젖무덤 전체를 받아들일 듯이 함박 벌어진다. - 본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