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25562933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18-01-02
책 소개
목차
서문 _ 경기 회복세와 리스크가 공존하는 2018년 한국 경제가 나아갈 길
Part 1. 2018 세계 경제 전망
Preview _ 마법의 지팡이와 거대한 되감기
1장 세계 경제의 열쇠를 쥔 미국의 정치와 경제
01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부유하는 미국
02 미국 통상정책 폭풍은 휘몰아칠 것인가
03 미국의 환율정책 시나리오
04 금융정책 정상화의 실질적 효과
2장 정치적 변동성으로 불확실한 선진국 경제
01 유로존의 안정세는 지속 가능한가
02 유럽연합과 유로화의 미래
03 일본 경제 회복의 속사정
04 일본 경제의 난제, 노동인구 감소
05 금융정책 정상화의 부작용
3장 신흥국은 세계 경제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가
01 신흥국 경제의 뇌관, 과잉 설비
02 신흥국 경상수지 흑자 청신호인가
03 사면초가에 빠진 위안화 환율
Part 2. 2018 한국 경제의 미래
4장 저성장 시대, 한국 경제는 순항할 수 있는가
01 한국 경제를 견인할 동력은 무엇인가
02 대북 리스크와 무역의 상관관계
03 장기적 관점이 요구되는 사회정책
04 한국 경제의 시한폭탄 인구절벽
5장 한국 경제의 신성장동력을 찾아서
01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현주소
02 세계적 선도가 가능한 사물인터넷시장
03 변혁을 주도할 혁신 기술 블록체인
04 한국 주택시장 출구는 있는가
05 부동산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위하여
06 고기능 소재 산업으로 전환하는 화학소재 산업
07 헬스케어시장의 열린 가능성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런 금융정책 정상화 흐름은 세계 경제의 회복세가 남아 있는 한 2018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만약 세계적인 금융정책 정상화 기조에 박차를 가하는 상황이 있다면, 그 이유 가운데 하나는 원유 가격의 대폭 상승이다. 원유 가격이크게 상승할 경우, 전년 대비 가격으로 결정되는 각국의 인플레이션율에 일시적인 상승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미이제 향후 세계, 특히 서구의 정치?경제에서는 지금까지 존재했던 두 가지 전제조건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그중 하나는 2010년대 세계 금융시장의 암묵적인 전제였던 선진국
을 중심으로 한 금융완화 상황에 변화가 오고 있다는 점이다. 다른 한 가지는 수십 년간 이어져온 글로벌화나 인력 및 상품 이동의 자유화로 대표되는 전 세계적인 시장 경제화 흐름에 속도 조절이 시작된다는 사실이다.
더불어 미국에서만 이뤄졌던 금융정책 정상화 움직임이 이제는 경기 회복세에 힘입은 유로존 등 다른 국가 및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이 자국 경제를 살리기 위해 수
없이 휘둘렀지만 좋은 효과를 얻지 못했던 금융정책이라는 ‘마법의 지팡이’를 일본을 제외한 주요 선진국에서는 잇달아 거둬들이려고 하고 있다. 이는 세계 경제에 있어 비정상적이던 금융완화를 실시할 때와 마찬가지로 전혀 경험한 적 없는 미지의 세계를 경험하게 할 것이다. 때문에 이 테이퍼링이 향후 어떤 상황을 야기할지는 좀 더 신중을 기해서 살펴봐야 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현재 상황은 금융완화라는 ‘마법의 지팡이’를 거둬들임으로써 발생할 현상과 더불어 세계 경제에서 인력과 상품 이동 자유화라는 큰 흐름 역시 정치적 이유로 제동이 걸릴 수 있는 상황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2018년 이후 세계 경제는 이 두 가지의 커다란 반전이 미래를 크게 좌우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