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노무라종합연구소 2017 한국경제 대예측

노무라종합연구소 2017 한국경제 대예측

(경제 절벽,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

노무라종합연구소 (지은이)
알에이치코리아(RHK)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600원 -10% 630원 10,710원 >

책 이미지

노무라종합연구소 2017 한국경제 대예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노무라종합연구소 2017 한국경제 대예측 (경제 절벽,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25560649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6-11-30

책 소개

일본 민간경제연구소인 노무라종합연구소는 한국의 현재 상황이 ‘선진국적인 투자 침체, 신흥국적인 설비 과잉 문제가 공존하는 경제 상황’이라고 규정한다. 이 책은 현재 한국이 처한 현실을 정확하게 보여주고, 향후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시하고자 두 가지 방향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목차

서문 _ 혼돈과 불확실성의 세계 경제, 한국은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

Part 1. 2017 세계 경제 전망

1장 선진국 경제 정책의 성적표
01 미국, 테이퍼링을 종결할 수 있는가
02 트럼프 시대, 보호주의 장벽과 세계 경제
03 위기의 유럽 경제, 유로 통화의 존속은 가능한가
04 포스트 브렉시트, 금융시스템은 안정적인가

2장 투자 침체로 인한 성장 제동, 신흥국 경제
01 인플레이션 부작용에 시달리는 신흥국
02 세계적 과잉 설비 문제의 핵, 중국 경제
03 저유가 환경 언제까지 계속될 것인가
04 또 하나의 뇌관, 신흥국 부채 문제

3장 한계에 이른 금융완화 정책
01 인위적 금융시장 조작의 득과 실
02 미국 장기금리 하락의 속사정
03 초저금리 정책의 부작용

4장 표류하는 아베노믹스, 일본 경제
01 기대심리가 만들어낸 개선효과
02 일본 무역수지 적자, 무엇을 의미하는가
03 생산가능인구 절벽

Part 2. 2017 한국 경제 전망

5장 불황의 시대, 한국 경제는 어디로 가는가
01 한국 경제를 둘러싼 이중고
02 경상수지 흑자, 과연 청신호인가
03 과도한 가계 부채, 시한폭탄인가
04 한국 경제 최대의 난제, 하류노인 사회

6장 한국 경제의 돌파구를 찾아서
01 구조적 혁신을 강요받고 있는 주력 산업
02 소비패턴 변화에 대응하는 유통산업
03 부동산시장 혼란은 멈출 수 있는가
04 바이오, 제약 시장의 대전환
05 오픈이노베이션의 시대가 온다

저자소개

노무라종합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65년 일본 최초의 민간 싱크탱크로 설립된 노무라종합연구소野村総合研究所, NRI는 일본 도쿄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해외 거점을 포함해 약 6,300여 명의 각 분야 전문가들이 근무하고 있다. 각국 정부를 비롯하여 전기・전자, 정보통신, 자동차, 건설, 부동산, 유통, 금융 등 다양한 업종의 고객을 대상으로 연간 1,000여 건 이상의 컨설팅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노무라종합연구소 서울은 1995년에 설립된 이래, 한국 정부의 경제 산업 정책 입안이나 실행 지원, 한국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 전략 수립, 신규 사업 지원 및 조직・경영 혁신, 해외 사업 진출 지원 등의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NRI그룹에 축적되어 있는 국제적인 경험을 기반으로 글로벌 경제와 산업 분석, 기업 경영 컨설팅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노무라종합연구소는 새로운 사회의 패러다임의 통찰과 실현을 담당하는 ‘미래사회 창조기업’으로서 도전을 계속해나가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선진국과 신흥국에서 투자 침체가 일어난 원인은 서로 다르고, 각국마다 사정이 다르지만 어떤 경우든 현재와 같이 과감한 금융정책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자국의 상황에 맞게 공공투자와 감세, 소득 재분배 정책 등을 실시하는 등의 자구적 노력이 있어야 하며 금융정책보다는 재정정책의 영역으로 문제 해결의 열쇠를 넘겨야 한다.


미국 사회를 혼란에 빠뜨릴지도 모르는 이민 문제가 전면에 나오지 않은 상태로 법인세 인하, 공공투자 확대와 같은 확장적인 재정정책이 실제로 행해지면, 기업 부문을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활발해져 미국 경제의 성장 페이스는 높아질 것이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노동시장이 그에 상응해 긴축되어, 임금도 완만한 상승 추세인 가운데 실행되는 재정정책이기 때문에, 하나의 기준점인 2%를 웃도는 인플레이션이 일어날 위험성도 동시에 높아진다. 실제 트럼프가 승리 연설을 한 다음, 경기 회복이나 인플레이션 압력이 강해질 것이라는 예상이 시장에 퍼지면서 미국의 장기금리가 급등했다.
미국의 장기금리 급등은 2013년 FRB가 양적완화 정책의 단계적 축소를 시사했을 때에도 일어났다. 만일 트럼프의 경제정책에 대한 기대로 인해 향후에도 미국의 장기금리가 계속하여 상승한다면, 2013년 당시와 마찬가지로 경상수지 적자를 안고 있는 신흥국 등에서 자본 유출에 대한 우려가 퍼지거나, 저금리 상태를 전제로 성립되었던 각종 자산시장에서 가격 조정이 일어날 가능성도 분명 있다. 한편 거시경제정책이 아닌 무역협정 파기, 이민자 배척이라는 보호주의적인 정책이 실제로 시행된다면 금융시장에서는 달러 하락에 대한 기대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또한 보호주의의 발상에 근거하는 무역협정 재검토는 미국에 있어서는 수입 물가의 상승 요인이 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미국의 인플레이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유로존에서는 여전히 경기 회복 움직임의 속도가 느리고, 각국의 금융기관들에는 2000년대에 시행한 공격적인 경영의 부작용, 즉 부실채권을 비롯한 경영의 걸림돌이 아직 많이 남아 있는 상태로 판단된다. 최근에도 이탈리아의 금융기관에 대한 공적 자금 투입 논란과 같은 대형 금융기관의 부실 등이 큰 이슈가 되기도 했다. 향후의 유로존 경제에서는 이러한 금융기관의 경영 문제와 부실채권 문제가 금융시스템 전체의 위기로 발전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현재 EU의 원칙은, 각국 정부와 정책 당국 등이 금융시스템에 공적 자금을 넣을 필요가 있을 경우에 대상이 되는 금융기관의 거액 채무자 등에게 이에 상응하는 부담을 요구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25583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