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25565361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9-02-28
책 소개
목차
서문 _ 가속화 하는 경제.산업의 변화 속에서 어떤 변화를 추구해야 하는가
Part 1. 2019 세계 경제 전망
Preview _ 격화되는 통상 마찰 미중 패권 다툼의 파장
1장 미국은 세계 경제를 얼마나 뒤흔들 것인가
01 중립금리 그 후의 금융정책
02 무역 마찰은 미국에게 정말 이득인가
03 미국의 장기금리가 보내는 이상 신호
04 트럼프 정권 지지율의 숨겨진 진실
2장 선진국 경제는 성장 기조를 유지할 것인가
01 대외적 요인으로 주춤거리는 유로존 경제
02 브렉시트를 둘러싼 정치적 갈등
03 일본 경제 최고의 난제, 노동력 부족
04 아베노믹스의 현실 직시형 변화
05 일본 경제를 둘러싼 불확정 요인
3장 급변하는 신흥국 경제의 미래
01 달러에 휘둘리는 신흥국 경제
02 사면초가에 이른 중국 경제의 딜레마
03 아시아 인구동태 변화가 불러올 파장
Part 2. 2019 한국 경제의 미래
4장 한국 경제는 저성장을 극복할 수 있는가
01 한국 경제의 최우선 과제, 리밸런싱
02 환율 안정 vs. 독립적 금융정책
03 부동산정책은 경기 침체의 뇌관이 될 것인가
04 인구동태와 주택 가격의 미래
5장 한국 경제의 돌파구를 찾아서
01 새로운 경쟁 국면에 돌입한 전자 산업
02 모빌리티 혁명으로 진화하는 자동차 산업
03 급변하는 에너지 산업의 기회와 가능성
04 인구구조 변화와 유통 산업의 턴어라운드 전략
05 부동산 산업의 해법, 민간 임대주택
06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헬스케어 산업
저자소개
책속에서
현재 진행 중인 미중 경제 마찰은 예전과는 달리 국가 간 관계가 복잡해진 현재의 글로벌 공급사슬을 고려했을 때 세계에 더 많은 경제 평준화 기회를 부여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집중은 반드시 분산의 방향으로, 분산은 반드시 집중의 방향으로 계속해서 변화하면서 전체적인 균형감을 유지하는 것이 글로벌 역학관계의 생리이기 때문이다.
다양한 경제지표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 시점의 경제 침체가 쉽게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극단적인 경제 위기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 예측한다.
더불어 앞서도 서술한 미중 경제 분쟁에 대해서도 현 시점을 악화 일로의 상황으로 바라보기보다 중국과의 합의 형성이 가까워졌다고 전망한다. 중요한 관점 중 하나는 이 같은 제약 상황이 중국의 급속한 경제 팽창주의과 패권주의에 제동을 걸어 여러 경제권의 발전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고 내다본 점이다. 보다 중요한 것은 이를 한국의 기업이 어떻게 기회로 잡을 것인가이다. 이에 한국의 사회 경제에서 성숙 경제의 한계점과 취해야 할 자세를 명확히 직시하고, 그에 대한 균형감 있는 정책의 필요성을 명확하게 분석하였다.
2019년이나 그 이후의 미국 경제를 전망하는 데 있어 중요한 포인트는 FRB의 금리 인상 속도가 어떻게 변할 것인가, 그중에서도 정책금리 수준이 중장기적 목표에 도달한 이후의 금융정책이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것으로 좁혀진다. 미국 금융정책의 향방은 미국 경제뿐 아니라 세계 경제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미국 통화인 달러는 국제적인 금융 거래나 자원 매매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통화로 그 금리 수준과 전망은 글로벌 자금 흐름뿐 아니라 세계 각국, 그중에서도 재정적자를 안고 있는 신흥국의 금융정책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