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송대 황제권 연구

송대 황제권 연구

(2010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신채식 (지은이)
한국학술정보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27,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700원
24,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000원 -10% 900원 15,300원 >

책 이미지

송대 황제권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송대 황제권 연구 (2010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중세사(위진남북조~당,송)
· ISBN : 9788926802441
· 쪽수 : 494쪽
· 출판일 : 2010-03-30

책 소개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에 선정된 학술서. 중국사를 전공한 저자가 송대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송대의 문헌에 나타나는 내용과 역사적 실체와는 거리가 있다는 생각을 시작으로 역사적 실체와 문헌에 보이는 내용 사이에 존재하는 갭을 좁혀 역사적 실체를 규명코자 '군주독재체제설'에 반론을 제기한다.

목차

이 책을 내면서
序論. 宋代 皇帝權의 실상
Ⅰ. 宋代 '군주독재체제설'에 대한 의문
Ⅱ. 宋代 '군주독재체제설'과 이헤 대한 학계의 비판


제1장 중국 皇帝 지배체제의 성립과 皇帝權

제1절 황제지배체제의 등장과 황제권
Ⅰ. 秦始皇帝(진시황제)의 통일제국과 황제지배체제
Ⅱ. 황제권력의 상징

제2절 漢代 황제지배체제의 완성
Ⅰ. 漢代 儒家的(유가적) 皇帝觀(황제관)의 성립
Ⅱ. 황제지배체제하의 통치체제와 관료구조
Ⅲ. 漢武帝(한무제)와 황제지배체제 완성

제3절 중국역대 관제의 변천과 황제권
Ⅰ. 역대 관제 변천의 성격
Ⅱ. 唐의 三省六部체제와 황제권
Ⅲ. 宋代 中書門下體制(중서문하체제)
Ⅳ. 明太祖의 군주독재체제 확립
Ⅴ. 淸朝 군주독재체제의 완성

제4절 중국 왕조의 반복적 흥망 구조
Ⅰ. 東아시아 세계의 易姓革命(역성혁명)과 황제권
Ⅱ. 開國(개국)의 名君과 亡國(망국)의 暗君(암군)
Ⅲ. 皇帝지배체제하의 皇帝와 臣下의 관계
Ⅳ. 중국역대 왕조 초창기의 변칙적 황위계승

제2장 宋代 중앙집권적 황제체제의 성립

제1절 五代와 宋代의 연속성
Ⅰ. 宋代 士大夫는 五代를 암흑시대로 부정
Ⅱ. 五代의 皇帝와 文臣ㆍ武臣과의 정치力學관계

제2절 宋의 건국 - 陳橋驛 정변의 五代的 성격
Ⅰ. 陳橋驛(진교역) 정변의 정치적 의미
Ⅱ. 陳橋驛 정변의 새로운 名分

제3절 宋代 官制는 五代 官制를 계승
Ⅰ. ??宋史?? 職官志(직관지) '宋承唐制'의 문제점
Ⅱ. 五代 및 宋代의 관제내용
Ⅲ. 元豊官制(원풍관제)개혁의 의미

제4절 宋初의 고위관료의 성격과 황제권
Ⅰ. 宋이전의 왕조교체와 새왕조의 인사정책
Ⅱ. 宋初 관료의 五代的 성격
Ⅲ. 太祖代 고위관료의 분석

제3장 宋代 중앙집권적 황제권의 실상

제1절 宋代의 황제권과 '군주독재체제설'
Ⅰ. 宋代 황제권과 군주독재체제 문제
Ⅱ. 宋代 군주독재체제와 士大夫 官僚

제2절 宋代 황제권의 구조적 특성
Ⅰ. 士大夫 계층의 등장과 황제권
Ⅱ. 중국역대의 황제체제와 宋代 황제권
Ⅲ. 宋代 황제의 短命과 황제권의 약화
Ⅳ. 宋代의 황제권과 文臣관료
Ⅴ. 宋代 士大夫관료의 통치의식과 황제권

제3절 宋代 士大夫 官僚의 皇帝權 인식
Ⅰ. 宋代 관료의 황제관
Ⅱ. 宋代 皇帝權에 대한 제도적 제한

제4절 황제권과 한림학사의 관계
Ⅰ. 宋代 翰林學士(한림학사)의 조직과 성격
Ⅱ. 한림학사의 殿試(전시) 주관

제5절 북송후기 황제권의 쇠락과 권문층의 발호
Ⅰ. 北宋代 形勢戶(형세호) 官人층의 출현
Ⅱ. 神宗의 사망과 권문층의 발호

제4장 宋代 황제의 성품과 정무처리

제1절 太祖의 성격과 통일 정책
Ⅰ. 太祖의 출신과 성품
Ⅱ. 太祖의 중앙집권적 문치주의정책
Ⅲ. 太祖의 洛陽 遷都論(천도론)

제2절 太宗의 황위 계승과 중앙집권국가의 완성
Ⅰ. 太宗 황위계승의 정치사적 의미
Ⅱ. 太宗의 황위계승 의혹
Ⅲ. 宋初 三大疑案(의안)과 太祖實錄의 改削(개삭)
Ⅳ. 太宗의 深謀英斷(심모영단)한 性品과 황제권
Ⅴ. 太宗의 황제권 강화
Ⅵ. 太宗의 적극적인 성격과 對遼 정책
Ⅶ. 太宗의 문치주의 확대정책
Ⅷ. 太宗의 경제정책과 황제권 확립

제3절 心弱한 眞宗과 어질고 착한 仁宗
Ⅰ. 眞宗의 성품과 태자책봉
Ⅱ. 眞宗의 성품이 황제권에 미친 영향
Ⅲ. 착하고 인자한 仁宗황제

제4절 병약한 英宗과 의지 강한 神宗
Ⅰ. 英宗의 복잡한 皇位계승과 짧은 在位
Ⅱ. 개혁의지가 강한 神宗과 황제권

제5절 어린 哲宗과 풍류황제 徽宗(휘종)
Ⅰ. 어린 철종의 황위계승과 황제권의 굴절
Ⅱ. 풍류황제 徽宗과 황제권의 타락
Ⅲ. 宋代 황제의 宗敎觀(종교관)과 황제

제6절 皇太后의 垂簾聽政과 황제권
Ⅰ. 北宋시대 垂簾聽政(수렴청정)의 성격
Ⅱ. 仁宗시대 劉황후의 垂簾聽政(수렴청정)
Ⅲ. 神宗초기 황후의 정치관여
Ⅳ. 哲宗시대 高태후의 수렴청정과 황제권

제7절 황제의 일상생활과 皇宮 업무처리
Ⅰ. 황제의 宮中 정무처리
Ⅱ. 관료의 황제면담과 上殿班數(상전반수)
Ⅲ. 宋代 開封의 皇宮(황궁)

제5장 宋代의 당쟁과 황제권

제1절 宋代 당쟁의 특성
Ⅰ. 宋代 당쟁은 士大夫의 권력 싸움
Ⅱ. 宋代 당쟁의 중요 원인
Ⅲ. 宋代 朋黨論(붕당론)과 君子ㆍ小人논의
Ⅳ. 宋代의 臺諫制度(대간제도)와 黨爭

제2절 眞宗시대의 政爭과 황제권
Ⅰ. 眞宗시대의 政爭 성격
Ⅱ. ?淵(전연)의 맹약을 둘러싼 국론분열
Ⅲ. 眞宗시대의 宰相權과 皇帝權
Ⅳ. 封禪大禮(봉선대례)와 정쟁

제3절 仁宗시대 慶曆(경력)의 黨議(당의)와 황제권
Ⅰ. 仁宗의 慶曆시대 성격
Ⅱ. 慶曆의 黨議

제4절 英宗시대 ?議(복의)논쟁과 황제권
Ⅰ. 英宗시대의 ?議(복의) 논쟁
Ⅱ. ?議(복의) 논쟁의 전개

제5절 神宗시대의 신구당쟁과 皇帝權
Ⅰ. 神宗대의 시대성격과 新法개혁
Ⅱ. 신법추진과 황제권의 한계

제6절 哲宗시대의 신구당쟁
Ⅰ. 高태후의 수렴정치와 당쟁의 격화
Ⅱ. 철종의 친정과 신법당의 부활
제7절 徽宗시대의 당쟁
Ⅰ. 휘종의 파행적 정치와 변칙적 당쟁
Ⅱ. 휘종의 御筆手詔와 타락한 황제권
Ⅲ. 南宋初期의 당쟁 - 主戰論과 主和論의 싸움

제6장 10-13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화와 황제권

제1절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화
Ⅰ. 동아시아 세계의 남북 대립
Ⅱ. 胡漢체제에서 朝貢冊封체제로

제2절 정복왕조의 출현과 宋代 황제권
Ⅰ. 빗트포겔의 정복왕조론
Ⅱ. 정복왕조와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화
Ⅲ. 정복왕조의 황제(可汗)와 皇帝權의 성격

제3절 정복왕조 遼(요)와 宋의 대립
Ⅰ. 契丹(遼)의 건국과 정복왕조의 권력구조
Ⅱ. 後晋의 燕雲16주 할양과 歲幣(세폐)
Ⅲ. 歲幣체제의 역사적 의미
Ⅳ. 거란의 화북경영 실패

제4절 宋代의 세폐·세사체제
Ⅰ. 송대 歲幣ㆍ歲賜체제와 황제권
Ⅱ. 宋이 遼에 바친 歲幣ㆍ歲賜(세폐·세사)
Ⅲ. 靖康(정강)의 變과 宋의 황제권
Ⅳ. 南宋정권의 변칙적 등장
Ⅴ. 王夫之의 宋 멸망 원인론
Ⅵ. 중국역사상 왕조멸망과 황제권

종장 - 책 끝머리에
색인

저자소개

신채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을 졸업한 후, 교육계에서 40여 년 후진을 양성하고, 한국 동양사 분야 중에서 송나라 관료제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다. 현재까지 송나라 관료제 연구는 더 좋은 연구가 나오지 않고 있다. 학문과 인품이 뛰어나 동양사학회 회장을 비롯하여 여러 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대학에서 정년 이후에는 한자교육과 동아시아 관계사에 관심을 가지고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일본은 한국에 어떤 이웃인가?』를 저술하였다. 이 책에서 한국식민지사관을 한국사 시각이 아닌 동아시아사 시각에서 아주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현재는 경기도 구리 서재 에서 한국과 중국의 관계사 중에서 동북공정과 관련된 책을 구상하고 있다. 대표적인 저술로는 『위당신채식저작집 5권』과 동양사 개설서 중에서 가장 뛰어난 『동양사개론』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3479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