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26861479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4-04-28
책 소개
목차
PREFACE 4
제Ⅰ부 동아시아 통합과 세계경제
제1장 지표 분석을 통해 본 동아시아 통합 분석 (박명호)
제1절 동아시아 통합연구의 진행과정 ·
제2절 지표체계의 구성 ·
제3절 지표 분석을 위한 방법론 ·
1. 정규화 ·
2. 가중치의 부여 ·
3. 결측치의 조정 ·
제4절 지표 분석 ·
1. 분석 국가의 위상 ·
2. 경제 분야 ·
3. 삶의 질 분야 ·
4. 환경 분야 ·
5. 정치·외교·행정 분야 ·
6. 문화 분야 ·
제5절 결론 ·
제2장 지역생산망 접근을 통한 동아시아 경제통합 (박순찬)
제1절 EU, NAFTA 및 동아시아 지역의 생산네트워크 현황 ·
제2절 생산네트워크와 지역무역협정 ·
1. 실증분석모형 ·
2. 데이터 ·
제3절 분석 결과 ·
제4절 생산네트워크의 심화와 생산성 ·
PREFACE 4
제5절 생산네트워크 강화와 동아시아 FTA의 경제적 효과 ·
제6절 결론 ·
·
제Ⅱ부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확대와 심화
제3장 동아시아 경제통합과 아세안 (박인원)
제1절 서론 ·
제2절 아세안 역내 경제협력 ·
제3절 아세안과 한·중·일 ·
1. 아세안 경제 개관 ·
2. 아세안과 한·중·일 3국 간 교역 및 경제협력 ·
제4절 동아시아 경제통합과 아세안 ·
1. 동아시아 경제통합에 대한 아세안의 입장 ·
2. 아세안의 동아시아 경제통합 참여 가능성 ·
3. 아세안 참여에 대한 한·중·일 3국의 입장 ·
제5절 요약 및 결론 ·
제4장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제도화 (최원기)
제1절 지역협력의 제도화: 제도화의 두 가지 경로 ·
제2절 동아시아 지역협력체의 제도화 현황 분석 ·
1. 동아시아 지역협력체의 제도화 특징 ·
2. 주요 동아시아 지역협력체의 특징 분석 ·
제3절 동아시아 협력의 제도화 전략 ·
제Ⅲ부 동아시아 통합과 새로운 도전
제5장 세계경제의 시나리오와 한국의 대응 (박성훈)
제1절 서론 ·
제2절 지역주의 확산과 세계경제에 대한 파급효과 ·
1. 지역주의와 다자주의의 공존 ·
2. 지역 간·대륙 간 통합 움직임의 대두 ·
제3절 지역주의 심화에 따른 세계경제의 시나리오 ·
1. 시나리오 설정을 위한 기본 가정 ·
2. 세계경제의 향후 시나리오 ·
제4절 한국의 전략적 선택 ·
1. 동아시아 지역주의에 대한 한국의 전략적 선택 ·
2. 시나리오 전개에 대한 한국의 전략적 선택 ·
제5절 결론 ·
제6장 동북아 경제협력과 남북한 경협의 연계 (전홍택·이영섭)
제1절 서론 ·
제2절 동북아와 북한의 시각 분석 ·
1. 동북아 협력관점에서 보는 북한 ·
2. 지역경제협력에 대한 북한의 시각 ·
CONTENTS
제3절 동북아와 북한의 경제관계 현황 ·
1. 무역 ·
2. 투자 및 경제협력 ·
3. 북한 대외경제교류의 주요 특징 ·
제4절 동북아 경협을 활용한 남북한 경제협력방안 모색 ·
1. 개요 ·
2. 무역협력 논의와 연계된 방안 ·
3. 통화금융협력 논의와 연계된 방안 ·
4. 기타 지역경제협력과 북한 연계방안 ·
제7장 요약 및 결론 (전홍택·박명호)
제1절 동아시아 통합 구상 ·
1. 동아시아 경제통합 여건 분석 ·
2. 동아시아 통합을 위한 구상 ·
3. 통합전략의 실증적 근거 ·
4. 동아시아 통합을 위한 한국의 역할 ·
제2절 한국·중국·일본 간 분야별 협력 심화방안 ·
1. 정부 간 협력 현황과 정치·외교 분야 협력방안 ·
2. 통화금융 분야 협력 현황과 확대방안 ·
3. 교육 분야 협력 현황과 확대방안 ·
4. 문화 분야 교류·협력 현황과 확대방안 ·
5. 환경 분야 협력 현황과 확대방안 ·
제3절 동아시아 경제통합에 대한 각국의 시각 ·
1. 일본의 시각 ·
2. 중국의 시각 ·
3. 아세안의 시각 ·
제4절 동아시아 경제통합을 위한 제도화 ·
제5절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주변환경과 대응과제 ·
1. 동아시아 지역주의 확산의 파급효과와 한국의 대응 ·
2. 동북아 경제협력과 남북한 경제협력의 연계 ·
제6절 결론 ·
1. 동아시아 지역통합을 위한 단계적 접근 ·
2. 동아시아 지역통합을 위한 의지와 리더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