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학습법
· ISBN : 9788926881866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8-01-0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Ⅰ. 과정중심평가를 알아야 대학 갈 수 있다.
1. 미래사회 교육의 변화
2. 교육 선진국의 학생평가 실태
3. 우리나라 학생평가의 변화 양상
4. 과정중심평가로 대학가기
Ⅱ. 학종의 양쪽 날개는 과정중심평가와 ‘I’만의 세+특이다.
5. 학종시대의 대학 & ‘I’만의 세+특
6. 과정중심평가로 ‘I’만의 세+특 기록하기
7. 과정중심평가의 ‘I’만의 세+특 변별력
Ⅲ. 과정중심평가와 ‘I’만의 세+특 만들기
8. 문제해결 과정 독서토론 활동 모형: 시대 분석과 창의성
9. 비경쟁 독서토론 활동 모형: 집단지성 간 토의 능력
10. 독서 활동 쓰기 모형: 성찰과 비판 능력
11. 구술과 면접 활동 모형: 자기표현 능력
12. 라디오 DJ 활동 모형: 공감과 위로 능력
13. 역할극 활동 모형: 협력을 통한 시각의 다양화
14. 동화 번역 활동 모형: 의사소통 능력과 나눔
15. 애니메이션 더빙 활동 모형: 영상 매체를 통한 타인의 감정 이해
16. 모의재판 활동 모형: 합리적 사고와 설득 능력
17. 독서 멘토링 활동 모형: 인성 함양과 자아발견
18. 영자신문 제작 활동 모형: 언어를 통한 글로벌한 세계관
19. 과제 해결-모둠 프로젝트 활동 모형: 문제해결 능력과 소통 능력
20. 리더십 토의 활동 모형: 창의성과 리더십 개발
21. 인물 카드뉴스 제작 활동 모형: 현실참여를 통한 문제해결 능력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과정중심평가’를 통해 학생부에서 ‘I’만의 세+특을 만들어 목표 대학에 진학을 하려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했습니다. ……(중략) 2015개정교육과정이 2018학년도부터 시작됩니다. 지식 암기 위주에서 탈피하여 학생 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중시하는 과정중심평가로 전환되는 시점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교육 중심이 과정중심평가가 주를 이룰 것입니다. 결국 교육과정의 마무리는 평가로 완성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학교 현장에서는 이미 과정중심평가가 학교 단위, 교과 단위별로 오래 전부터 실행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다만 용어의 통일성이 없을 뿐이지, 어떤 형태로든 과정중심평가의 한 축이 교과의 평가였음을 부인할 수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5개정교육과정은 과정중심평가에 무게 중심을 놓은 현실을 외면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공공 교육 기관에서 이미 연구 결과를 전시하거나, 교육청 차원에서 시범과 연구 결과를 내놓거나 진행 중인 곳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미 실행했던 학교 현장의 교사들의 과정중심평가는 개별, 학교 단위이다 보니 창의적이기는 하나, 과정중심평가의 기본인 객관성, 타당성을 바탕에 둔 것인지에 대해 진지한 고민을 해 볼 필요성이 있었습니다. …… 전국의 교과별 담당 교사들이 모여 ‘과정중심평가 모형과 평가 방안에 대한 고민’을 시작하였습니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따른 수업-평가의 연계성은 당연하나, 이를 바탕에 두되, 여기서는 ‘과정중심평가 모형- 평가(방안)- ‘I’만의 세+특 만들기= 목표 대학 진학’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그래서 교과목 별로 현장 교사들이 모여, 좀 더 창의적이고, 객관성과 타당성을 담보하는 과정중심평가 방안과 평가 채점 기준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을 여기에 실었습니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