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27812456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1-09-01
책 소개
목차
서문 마르티노 스티에를리 /저자의 글 박지호, 전은경, 배윤경 /인터뷰 정태영 부회장
Chapter 1. 현대카드 본사
1.1 컨벤션홀, 오디토리움, 렉처룸
1.2 디자인 랩 & UX 랩
1.3 카드 팩토리 & TMC
1.4 더박스 & 카페앤펍
1.5 워크스페이스
Chapter 2. 기업 철학을 공유하는 사옥
2.1 영등포 사옥
2.2 부산 사옥
2.3 HCA
2.4 HCBE
2.5 BHAF
2.6 HCUK
Chapter 3. 현대카드 라이브러리
3.1 디자인 라이브러리
3.2 트래블 라이브러리
3.3 뮤직 라이브러리 194
3.4 쿠킹 라이브러리 224
Chapter 4. 브랜드 스페이스
4.1 바이닐앤플라스틱
4.2 스토리지
4.3 스튜디오 블랙
4.4 캐슬 오브 스카이워커스
4.5 하우스 오브 더 퍼플
4.6 에어라운지
Chapter 5. 지역 재생 사회 공헌 프로젝트
5.1 가파도 프로젝트
5.2 봉평장
5.3 1913송정역시장
Appendix. Words on Hyundai Card Spaces
Appendix. Designs of Hyundai Card
Appendix. Index
Appendix. Profile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동안 건축을 다룬 책들을 보면 건축가 입장이나 평론가의 해석을 따르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The Way We Build》는 참고하거나 비교 대상으로 삼을 만한 서적이 사실상 없었다. 건축 프로젝트를 발주하는 주체가 이야기를 전개하는 책은 흔치 않다. 그만큼 한 기업이 10년이 넘도록 공간을 만들고자 하는 열의를 전방위적으로 펼친 사례가 없기 때문이다. 기업 전략과 맞물린 공간에 대한 목표가 분명하지 않다면 시작할 수 없었던 이야기다.
- Writer’s Statement
스페이스 그 자체가 미디어이자 중요한 브랜드 표현 방법 중 하나가 된 시대다. 지금까지 현대카드·현대캐피탈은 다양한 건축·공간 프로젝트를 통해 그 누구보다 앞서서 이를 잘 보여줬다. 공간 구축에 앞서 기업과 브랜드의 철학이 바로 서야 한다는 이야기를 여러 차례 강조한 바 있다. 디지털 시대는 TV 광고 외에도 전방위적 노출이 필수이기 때문에 상품이 아닌 정신을 파는 시대라 할 수 있겠다. 역설적으로 디지털이 강화될수록 기업 정신을 함축해놓은 스페이스가 더욱 중요해졌다. 그래서 현대카드의 공간은 디지털 시대의 총아이자 근원일 수밖에 없다.- Interview
카드를 제작하는 공장은 대부분 카드사들이 전혀 관심을 두지 않는 변방의 공간이다. 현대카드는 오히려 이 공장이야말로 카드사의 핵심이라는 역발상을 했다. 금융회사라는 정체성을 수학 공식 등 추상적인 방법으로만 표현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 새로운 발상이 카드를 만드는 전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공장’을 여의도 사옥 내에 설치한다는 계획으로 이어졌다. - 카드팩토리 & T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