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작가론
· ISBN : 9788927901761
· 쪽수 : 275쪽
· 출판일 : 2012-04-2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Ⅰ. 서론
Ⅱ. 예비적 고찰
1. 1960년대의 근대성과 세계체제론
2. 근대주체의 인식체계와 실재(The real)의 관계
Ⅲ. 근대에 대한 반발과 서사의 저항
1. 실재의 발견과 근대
1) 괴물의 실재성과 어머니 은폐의 서사
2) 자기세계와 부성부재의 신화 ― 「생명연습」
2. 자본주의와 서사의 저항
1) 상징권력과 교환 불가능한 사물
- 「싸게 사들이기」 「력사」
2) 구조의 반영과 문체의 반근대성
- 「염소는 힘이 세다」 <다산성>
Ⅳ. 근대주체와 분열된 주체의 갈등
1. 고향의 물신주의와 환상의 구조
1) 고향의 물신주의와 안개의 의미
- 「무진기행」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2) 외상의 사후성과 <환상>의 이중성
- <환상수첩> 「서울, 1964년 겨울」
2. 분열된 주체와 4ㆍ19세대
1) 분열된 주체 와 근대적 주체의 갈등
- 「확인해본 열다섯 개의 고정관념」 「무진기행」
2) 대타의 욕망과 상상적 공동체로서의 4ㆍ19세대
- 「차나 한잔」 「서울, 1964년 겨울」 <다산성>Ⅴ. 분열된 주체의 소멸과 근대주체로의 통합 1. 분열된 주체와 고백의 역할
1) 초점화자의 전경화와 사물세계의 분열
- 「서울, 1964년 겨울」
2) 분열된 주체의 소멸과 <자기세계>의 물신화
- 「서울의 달빛 0장」 분석
2. <실재>의 물신화와 근대주체로의 이행
1) ‘손’의 실재성과 실재의 물신화
2) 억압된 욕망의 귀환과 근대주체의 형성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