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근재집

근재집

안축 (지은이), 서정화, 안득용, 안세현 (옮긴이)
  |  
한국고전번역원
2014-01-13
  |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근재집

책 정보

· 제목 : 근재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28402250
· 쪽수 : 464쪽

책 소개

고려 후기의 학자이자 문인 안축의 문집이다. 모두 4권 2책으로 되어 있으며, 각 권마다 후대로 가면서 추가·보완되었다. 문집에는 사대부로서 관료 생활을 하면서 보고 느낀 백성의 참담한 현실을 고발하고, 책임감을 느끼는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목차

차례

차례
일러두기 ·· 4
해제 ·· 17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관동을 노래하다|서정화
근재 선생 세계도 謹齋先生世系圖 ·· 41
죽계 원류도 竹溪源流圖 ·· 42
《관동와주》 서문 關東瓦注序|이제현 ·· 43
근재집 제1권
시 詩
천력 3년 5월에 강릉도 존무사의 명을 받았다. 이달 30일에 송경을 출발하여
백령역에서 묵었다. 한밤중에 비가 내려 감회가 일다 天曆三年五月受江陵
道存撫使之命是月三十日發松京宿白嶺驛夜半雨作有懷 ·· 47
철령을 지나다 過鐵嶺 ·· 48
6월 3일 철령관에 들어가 화주를 바라보며 짓다
六月三日入鐵嶺關望和州作 ·· 49
화주 본영의 시에 차운하다 次和州本營詩韻 ·· 50
양주 공관의 시에 차운하다 次襄州公館詩韻 ·· 51

안창역 정자에 있는 허 정언의 시에 차운하다 次安昌驛亭許正言詩韻 ·· 52
흥부역 정자의 시에 차운하다 次興富驛亭詩韻 ·· 53
삼척 서루 팔영 三陟西樓八詠 ·· 54
대숲에 감춰진 옛 절 竹藏古寺 ·· 54
바위가 끌어당긴 맑은 못 巖控淸潭 ·· 54
산에 기댄 촌집 依山村舍 ·· 55
물에 누운 나무다리 臥水木橋 ·· 55
소 등에 탄 목동 牛背牧童 ·· 55
밭두둑으로 들밥 내는 부인 壟頭.婦 ·· 56
물가에 임해 고기를 세다 臨流數魚 ·· 56
담장 너머로 중을 부르다 隔墻呼僧 ·· 56
평해 공관 뒤편 정자의 시에 차운하다 次平海公館後亭詩韻 ·· 57
장 수재가 보낸 시에 차운하다 次韻張秀才見贈 ·· 58
매화를 읊다 詠梅 ·· 59
선유담을 지나다 過仙遊潭 ·· 60
부질없이 짓다 .成 ·· 61
허 정언이 부쳐 온 시에 차운하다 次韻許正言見寄 ·· 62
큰비를 탄식하다 大雨歎 ·· 64
화주에서 희끗한 머리칼을 처음 보고 느낌이 일다
在和州始見二毛有感 ·· 65
치통 齒痛 ·· 66
가을밤 秋夜 ·· 67
산삼을 탄식하다 蔘歎 ·· 69

국도시 병서 國島詩 幷序 ·· 71
화주의 응방인이 매를 잡아 나에게 보이다 和州鷹坊人羅鷹示余 ·· 74
화주 은자가 포도주를 가지고 와서 나에게 권하다
葡萄酒和州隱者持以勸余 ·· 75
송어 松魚 ·· 76
송이버섯 松菌 ·· 77
왕소군 王昭君 ·· 78
꿈에 서액에서 함께 근무하던 여러 공을 보다 夢見西掖同舍諸賢 ·· 80
범 승상의 〈맥주도〉 2수 范丞相麥舟圖 二首 ·· 81
백안 승상이 문정공 의전 댁을 방문한 그림
伯.丞相訪文正公義田宅圖 ·· 82
죽도시 2수 병서 竹島詩 二首 幷序 ·· 83
원수대시 병서 元帥臺詩 幷序 ·· 86
동산현 관란정 시에 차운하다 次洞山縣觀瀾亭詩韻 ·· 87
9월 13일 향사를 맞이하러 북쪽으로 가던 도중에 즉석에서 짓다
九月十三日因迎香使北行途中卽事 ·· 88
총석정의 시에 차운하다 次叢石亭詩韻 ·· 89
총석정에서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며 짓다 叢石亭宴使臣有作 ·· 92
천도시 병서 穿島詩 幷序 ·· 94
금란굴시 병서 金.窟詩 幷序 ·· 96
등주 옛 성에서 옛날을 생각하다 登州古城懷古 ·· 98
고성으로 가는 길에 잠시 쉬다 高城道中小歇 ·· 99
금강산 金剛山 ·· 100
윤 대언을 축하하다 賀尹代言 ·· 101

앞의 운을 사용하여 윤 정승에게 바치다 用前韻獻尹政丞 ·· 102
익재 상국을 축하하는 시 병서 賀益齋相國詩 幷序 ·· 104
지순 원년 10월 8일 왕명을 받들어 개경에 가려고 화주를 출발하는 말 위에
서 우연히 짓다 至順元年十月始八日承王命赴京發和州馬上偶作 ·· 108
이날 고산역을 지나다 是日過孤山驛 ·· 109
이날 철령을 지나다 是日過鐵嶺 ·· 110
은계역에 묵다 宿銀溪驛 ·· 111
9일 다림역을 지나다 九日過多林驛 ·· 112
송간역을 지나다 過松澗驛 ·· 113
10일 임단역에 묵다 十日宿林丹驛 ·· 114
풍림역을 지나다 過楓林驛 ·· 115
용담역에 묵다 宿龍潭驛 ·· 116
11일 왕계역을 지나다 十一日過王溪驛 ·· 117
징파도를 지나다 過澄波渡 ·· 118
백령역에 묵다 宿白嶺驛 ·· 119
도원역을 지나다 過桃源驛 ·· 120
섣달 그믐날 밤에 除夜 ·· 121
정월 초하루에 元日 ·· 122
통주 객사의 시에 차운하다 次通州客舍詩韻 ·· 123
해당화 海棠 ·· 124
관목역 정자에 제하다 題灌木驛亭 ·· 125
영랑포에서 배를 띄우다 永郞浦泛舟 ·· 126
운암현 정자에서 노닐다 遊雲巖縣亭 ·· 127

차운하여 장 수재의 유거에 제하여 부치다 次韻寄題張秀才幽居 ·· 128
5월 25일 화주에서 남쪽으로 가다가 중간에 비를 만나 말 위에서 짓다
五月二十五日自和州南行中途遇雨馬上有作 ·· 129
이날 비에 막혀 흡곡에서 유숙하다 是日阻雨留宿.谷 ·· 130
흡곡 객관의 시에 차운하다 次.谷客館詩韻 ·· 131
비에 막혀 통주에 머물다가 비가 개어 고성을 향하며 태수에게 지어 주다
阻雨留通州雨晴向高城有作贈太守 ·· 132
이날 말 위에서 즉시 짓다 是日馬上卽事 ·· 133
옹천길 瓮遷路 ·· 134
고성 객관의 시에 차운하다 次高城客館詩韻 ·· 136
삼일포시 병서 三日浦詩 幷序 ·· 137
삼일포 시에 또 차운하다 又次三日浦詩韻 ·· 140
29일 말 위에서 즉시 짓다 二十九日馬上卽事 ·· 141
간성 객관의 시에 차운하다 次韻杆城客館詩 ·· 142
흰 갈매기 白鷗 ·· 143
허 헌납의 시에 차운하여 청간역 만경대에 제하다 2수
題淸澗驛萬景臺次許獻納詩韻 二首 ·· 144
염호 鹽戶 ·· 145
말산 당두가 붉은 자두를 보내 주어 받들어 답하다
奉答末山堂頭惠朱李 ·· 148
6월 13일 진주 남강에서 배를 띄우다 六月十三日眞珠南江泛舟 ·· 149
6월 17일 밤에 삼척 서루에 앉아 六月十七日三陟西樓夜坐 ·· 150
취운정 翠雲亭 ·· 151
월송정 시에 차운하다 次越松亭詩韻 ·· 152

단양 북루의 시에 제하여 부치다 병서 寄題丹陽北樓詩 幷序 ·· 154
평해 망사정에 제하다 題平海望.亭 ·· 157
차운하여 남 동년의 서루에 제하다 次韻題南同年書樓 ·· 158
7월 1일 울진에서 삼척으로 가는 길에 비를 만나다
七月一日自蔚珍向三陟路上遇雨 ·· 159
정선 공관에서 조 원수의 시에 차운하다 次旌善公館趙元帥詩韻 ·· 160
정선 현판 위의 시에 차운하다 次旌善板上韻 ·· 161
모산 최대현에게 주다 贈母山崔大賢 ·· 163
임영 공관 동헌에 있는 시에 차운하다 次臨瀛公館東軒詩韻 ·· 164
한송정에 제하다 題寒松亭 ·· 165
어머님과 이별하다 別母 ·· 167
태백산에 오르다 登太白山 ·· 168
7월의 빗속에 강릉부를 출발하면서 2수 七月雨中發江陵府 二首 ·· 169
양주에 도착하여 통주 태수에게 부치다 到襄州寄通州太守 ·· 170
8월 4일 북쪽으로 가서 영랑호에 배를 띄우다
八月始四日北行泛永郞湖 ·· 171
통주 태수의 이별시에 받들어 답하다 奉答通州太守贈別詩 ·· 172
다시 삼일포에 노닐며 현판 위의 시에 차운하다 再遊三日浦次板上詩 ·· 173
화주에서 삼가 비목을 보고 대숙부 질재 윤원개 상국에게 부쳐 드리다
在和州伏見批目寄獻質齋尹大叔相國 元凱 ·· 174
윤 시중을 축하하다 賀尹侍中 ·· 175
김 칠재를 축하하다 賀金七宰 ·· 176
이 정당을 축하하다 賀李政堂 ·· 177
8월에 서울로 가려는데 그대로 가을 제사를 행하라는 교지가 있어 남쪽으로

가다가 길에서 짓다 八月將赴京又有旨仍行秋祭南行路上有作 ·· 178
경포호에 배를 띄우다 鏡浦泛舟 ·· 179
밤에 앉아 기러기 소리를 듣다 夜坐聞鴻 ·· 180
낙산시에 차운하다 次洛山詩韻 ·· 181
지순 2년 9월 17일 임기를 마치고 서울로 가다가 순충관을 지나다
至順二年九月十七日罷任如京過順忠關 ·· 182
도원역을 지나다 過桃源驛 ·· 183
송간역을 지나다 過松澗驛 ·· 184
기 記
경포대에 새로 지은 정자에 부친 기문 鏡浦新亭記 ·· 185
양양에 새로 지은 학교에 부친 기문 襄陽新學記 ·· 189
취운정에 부친 기문 翠雲亭記 ·· 191
임영 공관의 묵죽병풍에 부친 기문 臨瀛公館墨竹屛記 ·· 193
《관동록》 후제 關東錄後題|최해 ·· 196
발문 跋|정양생 ·· 197
근재집 제2권 보유 補遺
시 詩
기거주 이인복의 영친연 자리에서 짓다 5수 병인
李起居注 仁復 榮親席上作 五首 幷引 ·· 201

사시홍 四時紅 ·· 203
소만 小蠻 ·· 203
홍진 紅眞 ·· 204
만월 滿月 ·· 204
금화 金花 ·· 205
안부 백문보께 올리는 노래 8수 병서인 白文寶按部上謠 八首 幷序引 ·· 206
상산 낙동강 商山洛東江 ·· 209
영가 문화산 永嘉文華山 ·· 210
월성 첨성대 月城瞻星臺 ·· 210
영해 관어대 寧海觀魚臺 ·· 211
동래 적취헌 東萊積翠軒 ·· 211
김해 칠점산 金海七點山 ·· 212
주포 월영대 珠浦月影臺 ·· 212
진양 촉석루 晉陽矗石樓 ·· 213
같은 안렴사에게 올리는 기생 노래 10수 병인 同使上妓謠 十首 幷引 ·· 215
서시 西施 ·· 215
녹주 綠珠 ·· 216
무아 巫娥 ·· 217
제비가 옥경을 찾아오다 燕尋玉京 ·· 217
진진 眞眞 ·· 218
사시홍 四時紅 ·· 219
신월 新月 ·· 219
만월과 상산월 滿月商山月 ·· 219

금련과 옥련 金蓮玉蓮 ·· 220
낙중선 洛中仙 ·· 220
이중보가 원나라 조정으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다 送李中父還朝 ·· 221
가사 歌辭
관동별곡 關東別曲 ·· 224
죽계별곡 竹溪別曲 ·· 231
표 表
색목인과 동등하게 대우해 주기를 청하는 표문 請同色目表 ·· 235
기 記
순흥의 봉서루를 다시 짓고서 그에 부친 기문 順興鳳棲樓重營記 ·· 238
상주의 객관을 다시 짓고서 그에 부친 기문 尙州客館重營記 ·· 244
발문 跋|안숭선 ·· 248
근재집 제3권 증보 增補
시 詩
혹서 酷熱 ·· 255
고성에서 읊조리다 高城題詠 ·· 256
정선에서 읊조리다 旌善題詠 ·· 257

책 策
제책 태정 갑자년 制策 泰定甲子 ·· 258
기 記
간장암에 부친 기문 看藏菴記 ·· 268
묘지명 墓誌銘
고려국 광정대부 검교첨의찬성사 겸 판전의시사 상호군 안공 묘지명 병서
高麗國匡靖大夫檢校僉議贊成事兼判典儀寺事上護軍安公墓誌銘 幷序 ·· 270
발문 跋|안경운 ·· 274
시 詩
광원루운 廣遠樓韻 ·· 276
자비령운 慈悲嶺韻 ·· 277
근재집 제4권
부록 附錄
상주 목사로 부임하는 안 대부를 보내는 서문 送安大夫赴尙州牧序 ·· 281
만 輓 ·· 284
본전 本傳 ·· 285
묘지명 병서 墓誌銘 幷序 ·· 288

소수서원에 추향할 때 안 문성공께 고한 글
紹修書院追享時告安文成公文 ·· 293
봉안문 奉安文 ·· 295
방백 심통원께 올리는 편지 與沈方伯 通源 書 ·· 296
봉잠서원 창건 시 태학에 아뢰는 글 鳳岑書院營建時抵大學文 ·· 304
서원 창건 축문 開基祝文 ·· 308
사현정비음기 四賢井碑陰記 ·· 309
집록 集錄 ·· 311
근재집의 발문 謹齋集跋|정재규 ·· 317
근재집의 발문 謹齋集跋|조정규 ·· 320
근재집의 발문 謹齋集跋|안유상 ·· 322

저자소개

안축 (지은이)    정보 더보기
1282년(충렬왕8)~1348년(충목왕4).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당지(當之), 호는 근재(謹齋)이다. 1307년(충렬왕33) 성균시(成均試)에 급제하여 금주 사록(金州司錄),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의 검열(檢閱)과 수찬(修撰)을 역임하였고, 다시 향시(鄕試)에 급제하여 사헌 규정(司憲糾正)이 되었다. 1324년(충숙왕11) 원나라 제과(制科)에 급제하였다. 요양로 개주 판관(遼陽路蓋州判官)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당시 원나라에 억류되어 있던 충숙왕을 위해 변호하는 글을 원나라 조정에 올린 일로, 귀국하여 성균 악정(成均樂正)이 되었다. 이후 전법 총랑(典法摠郞)?판도 총랑(版圖摠郞)?군부 총랑(軍簿摠郞)?전리 총랑(典理摠郞) 등을 거쳐 우사의대부(右司議大夫)가 되었다. 1330년(충숙왕17) 강릉도 존무사(江陵道存撫使)에 제수되었다. 강릉도 존무사 재임 시에 시문집 《관동와주(關東瓦注)》를 지었다. 1332년 충숙왕이 복위하자, 충혜왕의 총애를 받은 인물로 지목되어 파직되었다. 1339년 충혜왕이 복위한 뒤 전법 판서에 제수되고, 동지공거(同知貢擧)로 이공수(李公遂) 등 33인을 선발하였다. 이후 감찰대부(監察大夫), 상주 목사(尙州牧使), 전법 판서(典法判書), 밀직부사(密直副使), 정당문학(政堂文學),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등을 역임하고 1345년(충목왕1) 찬성사 우문관대제학 감춘추관사(贊成事右文館大提學監春秋館事)가 되었다. 이제현(李齊賢) 등과 함께 민지(閔漬)의 《편년강목(編年綱目)》을 증수(增修)하고, 충렬왕?충선왕?충숙왕 3조(朝)의 실록(實錄)을 편수하였다. 1347년 판정치도감사(判整治都監事)가 되었고, 흥녕군(興寧君)에 봉해졌다. 1348년(충목왕4)에 치사(致仕)하였다. 1544년(중종39) 풍기 군수(?基郡守) 주세붕(周世鵬)에 의해 소수서원(紹修書院)에 추향(追享)되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펼치기
안세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조선 중기 누정기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강원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조선 시대 한문산문을 연구하며 오늘날 젊은이들이 시대를 고민하고 인생을 성찰할 수 있는 옛글을 소개하고 있다. 저서로는 『누정기를 통해 본 한국한문산문사』, 『전, 불후로 남다』, 『강원의 누정 문화』(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서정화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1년 경북 의성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학위를,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림대학교 부설 태동고전연구소(21기)를 수료하였으며,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편역서로는 《봄 술이나 한잔하세》가 있고, 논문으로는 <이규보 산문 연구>, <‘익재 이제현의 고문창도’에 대한 재검토>, <박제가의 제문 및 송서 연구>, <기우제문의 양식적 전통과 문학적 변주 양상>, <고려시대 외교현안과 문학적 대응> 등이 있다.
펼치기
안득용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상명대학교, 연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등에서 고전문학과 한문학을 가르치며 공부하고 있다. 논문으로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비지문(碑誌文)의 전범(典範)과 서술 양상에 대한 고찰」, 「조선후기(朝鮮後期) 산문(散文)에 나타난 공감(共感)과 소통(疏通)」, 「조선중기(朝鮮中期) 문화의 패턴과 그 표현 양상」, 저서로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산문 연구:공(公)에서 사(私)로의 전환』, 『한국고전문학작품론 4:한시와 한문산문』(공저), 『한국고전문학작품론 5:한문고전』(공저), 번역서로 『국역 근재집』(공역), 『국역 제정집』(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