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제정집

제정집

이달충 (지은이), 안세현, 서정화, 안득용 (옮긴이), 장희성
한국고전번역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20,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제정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정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88928402359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4-01-13

책 소개

고려 말에 활동한 유학자이자 문신 이달충의 시문집이다. 이달충의 문집은 조선 세종 때에 손자인 강원 도사 이영상에 의하여 춘천에서 처음으로 간행되었다. 이 책은 1836년(헌종2) 간행된 중간본 <제정집>을 대본으로 하였다.

목차

일러두기 ·· 4
해제 ·· 13
고려 말 문인 지식인의 고민을 담아낸 문집|안세현
제정집 서문 霽亭集序|이인행 ·· 43

제정집 제1권

제정집 제2권

제정집 제3권

제정집 제4권

제정집 발문 霽亭集跋|박시원 ·· 269
제정집 발문 霽亭集跋|이종재 ·· 273
제정집 발문 霽亭集跋|이벽수 ·· 276

저자소개

이달충 (지은이)    정보 더보기
1309년(충선왕1)∼1385년(우왕11). 고려 말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지중(止中).중권(仲權), 호는 제정(霽亭)이다. 초명은 달중(達中)이다. 첨의참리(僉議參理) 이천의 아들이자, 이제현(李齊賢)의 종질(從姪)이다. 1326년(충숙왕13)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정언, 성균 좨주(成均祭酒), 전리 판서(典理判書), 감찰대부 등을 거쳐 1359년(공민왕8) 호부 상서로 동북면 병마사가 되었다. 1360년 팔관회 때 복야청(僕射廳) 남쪽에 설치한 손을 씻는 장막의 울타리를 철거한 일로 파면되었으나, 1366년에 밀직 제학으로 서용되었다. 신돈(辛旽)에게 주색을 일삼는다고 직언했다가 미움을 사고, 뒤에 중상을 받아 폄직되었다. 1367년 계림 부윤이 되었다. 1385년(우왕11) 계림부원군에 봉해졌다. 성품이 강직하고 사람을 알아보는 안목이 있었다. 일찍이 동북면 병마사로 재임하다가 돌아올 때, 전송을 나온 이성계(李成桂)의 그릇을 알아보고 자손의 장래를 부탁하였다. 시문에 능하여 그의 작품이 《동문선(東文選)》에 다수 수록되어 있으며, 이제현.백문보(白文寶) 등과 함께 국사(國史)를 찬수하는 일에도 참여하였다. 저서로는 《제정집(霽亭集)》이 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펼치기
안세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조선 중기 누정기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강원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조선 시대 한문산문을 연구하며 오늘날 젊은이들이 시대를 고민하고 인생을 성찰할 수 있는 옛글을 소개하고 있다. 저서로는 『누정기를 통해 본 한국한문산문사』, 『전, 불후로 남다』, 『강원의 누정 문화』(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서정화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1년 경북 의성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학위를,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림대학교 부설 태동고전연구소(21기)를 수료하였으며,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편역서로는 《봄 술이나 한잔하세》가 있고, 논문으로는 <이규보 산문 연구>, <‘익재 이제현의 고문창도’에 대한 재검토>, <박제가의 제문 및 송서 연구>, <기우제문의 양식적 전통과 문학적 변주 양상>, <고려시대 외교현안과 문학적 대응> 등이 있다.
펼치기
안득용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상명대학교, 연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등에서 고전문학과 한문학을 가르치며 공부하고 있다. 논문으로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비지문(碑誌文)의 전범(典範)과 서술 양상에 대한 고찰」, 「조선후기(朝鮮後期) 산문(散文)에 나타난 공감(共感)과 소통(疏通)」, 「조선중기(朝鮮中期) 문화의 패턴과 그 표현 양상」, 저서로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산문 연구:공(公)에서 사(私)로의 전환』, 『한국고전문학작품론 4:한시와 한문산문』(공저), 『한국고전문학작품론 5:한문고전』(공저), 번역서로 『국역 근재집』(공역), 『국역 제정집』(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장희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번역연수과정Ⅰ졸업 성균관대학교 한문고전번역 석.박사통합과정 박사수료 한국고전번역원 문집번역실 연구기획 논문 및 역서 공역 ≪교감학개론校勘學槪論≫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