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소재집 7

소재집 7

노수신 (지은이), 임정기 (옮긴이)
한국고전번역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소재집 7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소재집 7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28409617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22-12-31

책 소개

소재 노수신은 1543년(중종38) 문과 식년시에 장원급제한 후 홍문관 수찬 등을 역임하다가 을사사화,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 등으로 유배생활을 하였으나, 선조 즉위 후 다시 서용되어 영의정에까지 올랐다.

목차

일러두기∙4

소재집 제7권

잠 箴
시습잠 병서 時習箴 幷序∙15

찬 贊
이천 선생의 화상에 부치는 찬 伊川先生畫象贊∙32
투호에 부치는 찬 投壺贊∙34
구등에 적다 書篝燈∙35
목침에 부치는 찬 木枕贊∙36
또 又∙37
옥산서원의 여러 편액에 부치는 찬 玉山書院諸額贊∙38
체인묘 體仁廟∙38
구인당 求仁堂∙39
양진재 兩進齋∙39
해립재 偕立齋∙40
무변루 無邊樓∙41
역락문 亦樂門∙41
축문 祝∙42

교서 敎
의정부 우찬성 이황에게 내리는 교서 敎議政府右贊成李滉書∙43

서문 序
《황화집》 서 皇華集序∙50
《회재선생집》 서 晦齋先生集序∙57
《문산집》 서 文山集序∙63
《손지재집》 서 遜志齋集序∙70
《포은집》 서 圃隱集序∙76

발문 跋
《곤지기》 발문 困知記跋∙84
기묘년 천거과 방목 발문 己卯年薦擧科榜目跋∙86
회재 선생의 《대학보유》 뒤에 붙이는 발문晦齋先生大學補遺後跋∙90
회재 선생 연보 후서 晦齋先生年譜後敍∙96

기문 記
계탄서원기 溪灘書院記∙98

제문 祭文
퇴계에게 올리는 제문 祭退溪文∙104
이 첨지 원록 에게 올리는 제문 祭李僉知 元祿 文∙107
허초당 엽 에게 올리는 제문 祭許草堂 曄 文∙109
유 감사 중영 에게 올리는 제문 祭柳監司 仲郢 文∙110
홍 삼재 담 에 대한 제문 祭洪三宰 曇 文∙111
요막 이자양에게 올리는 축문 遙莫李自陽祝∙113

과제 科製
거부 車賦∙114
“삼대 이후에는 선비를 구함에 오직 명예를 좋아하지 않을까 봐 염려된다.”라는 말에 대하여 논하는 글 求士於三代之下惟恐不好名論∙134


소재집 제8권

소차 疏箚
직제학 직임에서 해면하여 부모를 편하게 봉양하도록 해 달라고 청하는 상소 直提學乞解職便養疏∙145
두 번째 상소 再疏∙149
부제학에서 해직되고 돌아가 부모를 봉양하게 해 달라고 청하는 상소 副提學乞解職歸養疏∙152
끝까지 봉양할 수 있게 해 달라고 청하는 전문 乞終養箋∙156
뜻을 먼저 세우기를 청하는 상소 請先立志疏∙159
부친상을 당해 시골에 있으면서 올리는 상소 丁憂在鄕疏∙168
대사간을 사직하는 상소 大司諫辭免∙174
대사헌으로서 숙배한 뒤에 올리는 상소 大司憲肅拜後疏∙175
부제학으로서 수령이 되어 어머니를 봉양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청하는 상소 副提學乞郡養母疏∙178
홍문관에서 올리는 차자 弘文館箚子∙181
홍문관에서 올리는 차자 弘文館箚子∙184
네 겸직과 이조 참판을 사직하는 상소 四兼吏參辭免∙187
대사헌을 사직하는 상소 大司憲辭免∙189
두 번째로 사직하는 상소 再度辭免∙190
이조 판서를 사직하는 상소 吏曹判書辭免∙191
원접사를 다섯 번째로 사직하는 상소 遠接使辭免五度∙193
대제학을 사직하는 상소 大提學辭免∙197
이튿날 사직하는 상소 翌日辭免∙201
이튿날 사직하는 상소 翌日辭免∙202
이조 판서를 사직하는 상소 吏曹判書辭免∙203
우의정을 사직하는 상소 辭右議政疏∙204
우의정을 사직하는 상소 右議政辭免∙208
다시 아뢰어 문형을 사직하는 상소 再啓辭文衡∙210
책면을 청하는 상소 乞策免疏∙211
파직하는 뜻을 분명히 보일 것을 청하는 상소 請明示罷斥疏∙213
출사한 후에 사직하는 상소 出仕後辭免∙215
본직과 내의원 제조를 사직하는 상소 本職及內醫提調辭免∙217
본직을 사면해 줄 것을 재차 아뢰는 상소 再啓本職辭免∙218
정사한 뒤에 올리는 상소 呈辭後疏∙219
출사 후 사직하는 상소 出仕後辭免∙222
충과 경에 관해 올리는 차자 忠敬箚子∙223
어머니에게 음식을 하사한 데 대해 사은하는 전문 謝賜母食物箋∙225
관직을 중시하고 사람을 중시하는 것에 관한 차자重官重人箚子∙227
책면을 청하는 차자 乞策免箚子∙230
출사한 후에 사직하는 상소 出仕後辭免∙233
본직 및 내의원 제조를 사직하는 상소 本職及內醫提調辭免∙234
두 번째 아뢰는 상소 再啓∙235
세 번째 아뢰는 상소 三啓∙236
상을 당해 고향에 있으면서 올리는 상소 丁憂在鄕疏∙237
서울에 돌아온 뒤 쌀과 콩을 하사한 데 대해 사례하는 상소還京後謝賜米豆疏∙240
또 쌀과 콩을 하사한 데 대해 사례하는 상소 又謝賜米豆疏∙242
돌아가 부제를 지내게 해 주기를 청하는 상소 請歸爲祔祭疏∙244
쌀과 콩과 역마를 지급하라고 한 명을 특별히 거둘 것을 청하는 상소 請特寢米豆驛馬之命疏∙246
좌의정으로 소명한 것을 사양하는 상소 左議政辭召命疏∙247
전 箋∙250
전 箋∙251
전 箋∙252
송추에서 생을 마치기를 청하는 차자 乞畢命松楸箚子∙254
해직을 청하고 궤장을 사양하는 계사 乞骸辭几杖啓辭∙256
궤장을 하사할 때의 술과 음악을 사양하는 차자賜几杖時辭酒樂箚子∙257
궤장을 하사한 데 대해 사례하는 전문 謝賜几杖箋∙258
영상 자리를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차자 乞遞領相箚子∙260
봉조하를 청하는 차자 乞奉朝賀箚子∙261
치사를 청하는 차자 乞致仕箚子∙262
치사를 청하는 차자 乞致仕箚子∙264


소재집 제9권

행장 行狀
유명 조선국 고 자헌대부 의정부우참찬 겸 지춘추관사 이공 행장有明朝鮮國故資憲大夫議政府右參贊兼知春秋館事李公行狀∙269

묘표 墓表
유명 조선국 증 통정대부 이조 참의 행 통훈대부 풍저창 수 노공 묘표 有明朝鮮國贈通政大夫吏曹參議行通訓大夫豐儲倉守盧公墓表∙282
의 擬∙285
유명 조선국 증 가선대부 이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행 활인서별제 봉정대부 노공 묘표 有明朝鮮國贈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行活人署別提奉正大夫盧公墓表∙286

묘지 墓誌
유명 조선국 홍문관 교리 이탄수 선생 묘지명 병서有明朝鮮國弘文館校理李灘叟先生墓誌銘 幷序∙288

비갈 碑碣
유명 조선국 통정대부 수 황해도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 유공 묘갈명 병서 有明朝鮮國通政大夫守黃海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柳公墓碣銘 幷序∙295
유명 조선국 종사랑 행 현릉 참봉 증 자헌대부 이조판서 겸 지의금부사 노공 묘비명 병서 有明朝鮮國從仕郞行顯陵參奉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義禁府事盧公墓碑銘 幷序∙307
유명 조선국 가선대부 동지돈녕부사 심공 묘갈명 병서有明朝鮮國嘉善大夫同知敦寧府事沈公墓碣銘 幷序∙315
유명 조선국 한공 묘갈명 병서 有明朝鮮國韓公墓碣銘 幷序∙323
유명 조선국 고 통훈대부 행 군기시 부정 김공 묘갈명 병서有明朝鮮國故通訓大夫行軍器寺副正金公墓碣銘 幷序∙330
유명 조선국 고 중훈대부 장악원 정 일재 선생 이공 묘갈명 병서有明朝鮮國故中訓大夫掌樂院正一齋先生李公墓碣銘 幷序∙334
유명 조선국 자헌대부 병조 판서 이공 신도비명 병서有明朝鮮國資憲大夫兵曹判書李公神道碑銘 幷序∙346
유명 조선국 고 중직대부 사간원 사간 곽공 묘갈명 병서有明朝鮮國故中直大夫司諫院司諫郭公墓碣銘 幷序∙359
유명 조선국 고 통정대부 수 강원도 관찰사 박공 묘갈명 병서有明朝鮮國故通政大夫守江原道觀察使朴公墓碣銘 幷序∙367


소재집 제10권

비갈 碑碣
유명 조선국 고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 겸 판의금부사 지경연사 정공 신도비명 병서 有明朝鮮國故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知經筵事鄭公神道碑銘 幷序∙379
유명 조선국 고 통훈대부 군자감 정 증 가선대부 예조참판 겸 동지경연의금부춘추관사 예문관제학 박공 묘갈명 병서 有明朝鮮國故通訓大夫軍資正贈嘉善大夫禮曹參判兼同知經筵義禁府春秋館事藝文館提學朴公墓碣銘 幷序∙392
유명 조선국 통훈대부 상주 목사 증 가선대부 이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권공 묘갈명 병서 有明朝鮮國通訓大夫尙州牧使贈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權公墓碣銘 幷序∙398
유명 조선국 가선대부 사헌부대사헌 겸 동지경연성균관사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문정공 정암 조 선생 신도비명 병서 有明朝鮮國嘉善大夫司憲府大司憲兼同知經筵成均館事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文正公靜菴趙先生神道碑銘 幷序∙410
유명 조선국 남원 방군 묘갈명 병서有明朝鮮國南原房君墓碣銘 幷序∙432
유명 조선국 가선대부 경상도 관찰사 허공 신도비명 병서有明朝鮮國嘉善大夫慶尙道觀察使許公神道碑銘 幷序∙438
유명 조선국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이공 신도비명 병서 有明朝鮮國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李公神道碑銘 幷序∙459
유명 조선국 통정대부 수 충청도 관찰사 이공 묘갈명 병서有明朝鮮國通政大夫守忠淸道觀察使李公墓碣銘 幷序∙485
강 상사 묘갈명 병서 康上舍碣銘 幷序∙492
유명 조선국 통훈대부 행 재령 군수 증 자헌대부 이조 판서 최공 묘비명 병서 有明朝鮮國通訓大夫行載寧郡守贈資憲大夫吏曹判書崔公墓碑銘 幷序∙499
암실 선생 자명 병술년 暗室先生自銘 丙戌∙506

《소재선생문집》 뒤에 쓰다 穌齋先生集後敍|조경(趙絅)∙513

저자소개

노수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515년(중종10)∼1590년(선조23).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과회(寡悔), 호는 소재(穌齋).이재(伊齋).암실(暗室).여지노인(茹芝老人)이다. 장인인 이연경(李延慶)을 사사하였다. 1543년 문과 식년시에 장원급제하였다. 이후 홍문관 수찬.시강원 사서.병조 좌랑 등을 역임하였고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다. 1545년(명종 즉위년)에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파직되어 순천(順天)으로 유배되고, 다시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진도(珍島).괴산(槐山) 등지에서 유배생활을 하였다. 1567년에 선조가 즉위하자 홍문관 교리로 서용되었다. 이후 홍문관 부제학.충청도 관찰사.대사헌.이조 판서.문형 등을 역임하고, 1573년(선조6)에 우의정, 1578년에 좌의정을 거쳐 1585년에 영의정이 되었다. 1589년 기축옥사가 일어나자 이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 시.문.서예에 뛰어났으며 양명학(陽明學)에 조예가 있었다. 승려 휴정(休靜).선수(善修) 등과도 교유하였다. 저술로는 《소재집》 등이 있다. 시호는 문의(文懿)였으나 뒤에 문간(文簡)으로 고쳤다.
펼치기
임정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1년 전남 보성에서 태어났다. 가학을 전수받았으며,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 연수부를 졸업하였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자문위원 및 번역위원으로 한국문집 번역에 참여하고 있다. 번역서로는 《목은집》, 《점필재집》, 《사가집》, 《백사집》, 《상촌집》, 《한수재집》, 《다산시문집》, 《완당전집》, 《허백당집》, 《매천집》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