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춤은 내드름을 어떻게 굴리는가에

춤은 내드름을 어떻게 굴리는가에

(월간 춤.객석 편)

이보형 (지은이)
민속원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22,500원 -10% 0원
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춤은 내드름을 어떻게 굴리는가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춤은 내드름을 어떻게 굴리는가에 (월간 춤.객석 편)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28508174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5-10-30

목차

책머리에


월간 춤

춤은 내드름을 어떻게 굴리는가에 | 1984년 2월
초창기의 벅찬 감동을 기대하며 | 1987년 1월
전통춤의 반주 음악 문제 | 1987년 2월
대학 전통교육의 정통성正統性 재고 | 1987년 3월
민속문화는 그 「현지現地」에서 살려야 | 1987년 4월
판소리의 온전한 전승傳乘을 위한 서곡序曲 | 1987년 5월
맥이 끊어지는 전통문화傳統文化 | 1987년 6월
현행現行 「전주대사습놀이」의 역사적歷史的 근거는 옳은가 | 1987년 7월
잃어버린 전통 무예武藝의 복원 | 1987년 8월
중요무형 문화재重要無形文化財를 정하는 이유 | 1987년 9월
국립국악원國立國樂院, 무엇을 해야 하나 | 1987년 10월
해주검무 海州劍舞의 복원 가치에 무심無心 | 1987년 11월
중요무형 문화재와 창작자創作者와의 관계 | 1987년 12월
체계화體系化돼야 할 전통예술의 영상기록화映像記錄畵 작업 | 1988년 2월
복원復原의 맥脈 끊긴 판줄 | 1988년 3월
자생적自生的 축제의 위기危機 | 1988년 4월
이름뿐인 중요무형 문화재重要無形文化財 발표공연 | 1988년 5월
경기도당굿의 위기危機 | 1988년 6월
창극唱劇은 음악성이 우선해야 | 1988년 7월
아직도 국악國樂 차별대우 남아 있다 | 1988년 8월
잃어버린 인물人物을 위한 추적追跡 | 1988년 9월
축제와 민족문화民族文化 복원 | 1988년 10월
불모인 세계世界 「종족문화種族文化」 국내國內 연구 | 1988년 11월
전승보조금傳承補助金 마련은 바람직 | 1988년 12월
창극唱劇에 대한 「연극평론가」의 평評은 문제있다 | 1989년 1월
교포僑胞사회에서의 우리 전통문화傳統文化 | 1989년 12월
점점 밀려나는 미국美國속의 우리 국악國樂 | 1989년 4월
국립창극단國立唱劇團이 해야 할 일 | 1989년 5월
전통연희傳統演戱의 공연장公演場문제 | 1989년 7월
국악國樂과 대중大衆 | 1989년 8월
창극唱劇을 어떻게 민족극民族劇으로 이끌 것인가 | 1989년 9월
30여년餘年된 전국민속 경연대회全國民俗 競演大會 없애서는 안 된다 | 1989년 10월
전통과 창작創作, 엄격히 구별돼야 | 1989년 12월
국민교육 國民敎育에 있어서의 국악國樂의 불균형성 | 1990년 1월
남북南北 교차 공연公演은 좀 더 의연하게 대해야 | 1990년 2월
국립극장國立劇場 부설 예술학교藝術學校 있어야 | 1990년 3월
전통예술傳統藝術 관련 용어用語 정리부터 필요해 | 1990년 4월
「여성국극女性國劇」은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 | 1995년 5월
창작創作 국악을 위한 충격적 실험 | 1990년 7월
민족民族 동질성 찾기의 제일순위 | 1990년 8월
초·중·고등학교學校 국악國樂교육의 문제점 | 1990년 9월


객석

전국단오놀이를 둘러보고 “너는 죽어 정피(창포)되고 나는 죽어 약쑥되야” | 1984년 7월
우리민요의 지역적 토리 | 1984년 10월
이봄, 마음문을 열어준 공연 셋 | 1985년 4월
완창 판소리 공연과 시립국악 관현악단 연주와… | 1985년 5월
초여름 더위 식혀준 국악공연 셋 | 1985년 6월
85예술계를 돌아본다 | 1985년 12월
86예술계를 말한다 | 1986년 2월
민요와 농악도 국악에 속하느냐는 새삼스러운 질문 | 1987년 2월
다양한 얼굴이 요구되는 창작연주회 | 1987년 8월
우리음악에 대한 애정과 실천, FM국악무대 | 1987년 9월
풍류문화를 되살리는 ‘우리가락 한마당’ | 1987년 10월
대학국악교육 30년의 결산, ’87서울국악제 | 1987년 11월
여섯 차례나 열린 판소리 전판공연 | 1987년 12월
판소리 다섯 마당과 가야금 병창의 맥 | 1988년 7월
가야금산조 여섯바탕전 | 1989년 7월
국립창극단 정기공연 ‘수궁가’ | 1995년 4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