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문화유산
· ISBN : 9788928516070
· 쪽수 : 678쪽
· 출판일 : 2021-05-2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제1부 문학과 연행 갈래 총론
제1장 『삼국유사』의 문예와 문학의 갈래 양상
1. 서론
2. 찬성 경위와 성격
3. 문예와 문학의 종합적 양상
4. 문학의 갈래사적 위상
5. 결론
제2장 『삼국유사』의 연행과 그 갈래 양상
1. 서론
2. 연행의 요건
3. 연행의 실제
4. 연행의 연극적 갈래 성향
5. 연행의 문예사적 위치
6. 결론
제2부 시가 갈래의 양상
제3장 향가의 불교적 성향과 불교가요적 위상
1. 서론
2. 향가의 불교적 성향
3. 향가의 불교가요적 위상
4. 결론
제4장 향가와 산문전승의 성격과 유통
1. 서론
2. 향가와 산문전승의 성격과 유통
3. 향가와 산문전승의 실연 양상
4. 결론
제5장 <서동요>의 구조와 미학
1. 서론
2. <서동요>와 서동설화
3. <서동요>의 구조역학
4. <서동요>의 표현미학
5. 결론
제6장 「동경흥륜사금당십성」의 문학적 성격과 갈래 양상
1. 서론
2. 찬성 경위
3. 주제와 내용
4. 문학 갈래의 양상
5. 불교문예사적 의미
6. 결론
제3부 수필 갈래의 양상
제7장 「정수사구빙녀」의 문학적 내용과 갈래 성향
1. 서론
2. 찬성 경위와 유통
3. 주제와 내용
4. 문학 갈래의 성향
5. 결론
제8장 「사불산 · 굴불산 · 만불산」의 문학적 성격과 갈래적 운용
1. 서론
2. 찬성 경위와 성격
3. 주제와 내용
4. 문학 갈래의 운용
5. 결론
제9장 「삼소관음 중생사」의 문학적 실태와 갈래적 전개
1. 서론
2. 찬성 경위와 유통
3. 주제와 내용
4. 문학 갈래의 전개
5. 결론
제4부 소설 갈래의 양상
제10장 서동설화의 형성과 문학적 실상
1. 서론
2. 서동설화의 역사적 인물
3. 서동설화의 주인공과 동요
4. 서동의 실체와 기반
5. 서동설화의 문학적 실상
6. 서동설화의 형성과정
7. 결론
제11장 「남백월이성」의 문학적 실상과 갈래 성향
1. 서론
2. 원전의 성격
3. 형성과 유통
4. 문학적 실상과 갈래 성향
5. 결론
제12장 「견훤전」의 형성과 문학적 전개
1. 서론
2. 후백제 견훤실록의 초안
3. 견훤실기의 찬성
4. 「견훤전」의 형성과 전개
5. 결론
제5부 희곡문학 갈래의 양상
제13장 「원효불기」의 문학적 실상과 희곡적 성격
1. 서론
2. 형성 경위와 원전의 성격
3. 문학적 실상과 갈래적 성격
4. 결론
제14장 「월명사 도솔가」의 연행과 희곡적 양상
1. 서론
2. 원전의 원형과 성격
3. 연행의 유형과 실태
4. 연극 갈래적 성향과 희곡적 전개
5. 불교문화사상의 위상
6. 결론
제15장 「영재우적」의 문학적 실상과 연행 양상
1. 서론
2. 찬성 경위와 성격
3. 문학적 실상과 갈래적 전개
4. 연행의 실태와 갈래적 성향
5. 결론
제6부 평론문학 갈래의 양상
제16장 『삼국유사』 ‘서(敍)’의 비평적 성격
1. 서론
2. ‘서’의 비평적 성향
3. ‘서’의 비평론적 원리
4. 각 편 재작의 비평적 관점
5. ‘서’의 비평론적 전개
6. 결론
제17장 향가전설의 내용과 시가론적 가치
1. 서론
2. 향가의 형성과 제작론
3. 작품의 실상과 가치론
4. 작품의 연행과 유통론
5. 결론
제18장 「김현감호」와 평의의 비평론적 의미
1. 서론
2. 「김현감호」의 문학적 실상과 갈래
3. 「신도징」과 「김현감호」의 관계
4. ‘희’와 ‘찬’의 비평론적 성격과 기능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