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28516490
· 쪽수 : 310쪽
· 출판일 : 2021-08-30
목차
머리말
제1부 16~17세기 : 민간 금보 시대를 열다
제1장 죽계 안상과 『금합자보』
: 16세기 성리학적 사회질서 정착과 풍속 교화
1. 머리말
2. 안상의 가계
3. 안상의 관직수행과 업적
4. 『금합자보』의 편찬 및 간행
5. 맺음말
제2장 파강 김두남과 『양금신보』
: 양덕수 석 자 뒤에 숨겨진 실질적 편찬자
1. 머리말
2. 김두남의 생애와 교유
3. 『양금신보』 편찬 경위
4. 금보를 통한 음악 소통
5. 전사(傳寫) 과정 중에 누락된 편찬인명
6. 맺음말
제3장 후촌(後村) 신성(申晟)과 『금보신증가령』
: 병자호란 이후 정음(正音) 회복
1. 머리말
2. 신성의 생애
3. 『금보신증가령』의 편찬 방법 및 목적
4. 맺음말
제4장 16~17세기 한양 사족(士族)의 금보 편찬과 음악적 소통
1. 머리말
2. 유가 악론(樂論) 실천의 중심, 한양 사족
3. 장악원 관리의 금보 편찬
4. 지방관의 금보 간행과 풍속 교화
5. 음악 소통의 중심, 금보
6. 맺음말
제2부 18세기 전반 : 음악이론의 심화
제5장 응천 후인(凝川後人)과 『한금신보』
: 금객 한립의 거문고 음악 기록
1. 머리말
2. 『한금신보』 편찬자 응천 후인의 음악적 배경
3. 응천 후인 추정 인물
4. 맺음말
제6장 『한금신보』의 금론 및 악론
: 문인 음악 인재 양성을 위한 음악이론 기록
1. 『한금신보』 서문 검토
2. 『한금신보』의 금론 및 악론의 특징
3. 맺음말
제3부 18세기 후반 : 거문고 음악의 새 시대
제7장 강포(江浦) 류홍원(柳弘源)과 『어은보』
: 금객 김성기의 거문고 음악 기록
1. 머리말
2. 『어은보』의 체제
3. 『어은보』 <우조 삭대엽 제1>과 <우조 삭대엽>의 선후 관계
4. 『어은보』 '우조별곡(羽調別曲)'의 연대 추정
5. 『어은보』의 편찬자 및 편찬 연대
6. 맺음말
제4부 19세기 : 음악에 스토리를 입히다
제8장 『오희상금보』의 「진악해(進樂解)」
: 악보에 스토리텔링과 패러디 기법을
1. 머리말
2. 「진악해」의 내용
3. 「진악해」와 한유의 「진학해」 비교
4. 맺음말
제9장 노주(老州) 오희상(吳熙常)과 『오희상금보』
: 유가 악론(樂論)의 내면화
1. 머리말
2. 『오희상금보』와 『노주집』의 기록 비교
3. 노주 오희상의 가계와 음악적 배경
4. 노주 오희상의 유가적 음악관
5.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