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야기
· ISBN : 9788928519286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3-12-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한국어판 독자들께
프롤로그
제1장 고수(鼓手) 이사와 슈지 : 메이지 유신과 드럼 리듬
막부 말기의 군사제도 개혁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혁신
드럼이 도입되기까지
드럼 교습
드럼 악보의 출판
드럼 신호와 드럼 행진곡
구전된 드럼 연주법
신슈 다카토번의 군사제도 개혁
고수(鼓手) 이사와 하치야
민중의 ‘손님’ 의식
근대적 신체를 만드는 소리
제2장 이와쿠라 사절단이 들은 서양음악 : 내셔널리즘과 합창
이와쿠라 사절단의 사운드스케이프
『특명전권대사 미구 회람실기』
『회람실기』가 기록한 음악
외교 행사 음악
학교 음악
군대 음악
보스턴의 태평악회
태평악회 프로그램
구메 구니타케의 착각
영국 군악대가 연주한 곡
사절단의 관심
국민가요 합창과 애국심
제3장 양학(洋學)과 양악(洋樂) : 창가에 의한 사회 형성
이사와 슈지가 양학에 입문하다
대학남교
외국인 교사와 양악
『어린이』를 만나다
프뢰벨주의 교육의 배경 : 미국의 유치원 운동과 일본
창가유희를 통한 프뢰벨주의 실천
창가유희의 이념 : 중심과 원형
유학의 계기
제4장 국어와 음악 : 문명의 ‘목소리’를 획득하다
미국 유학
브리지워터 사범학교
서투른 창가
메이슨과의 만남
일본 음계와 서양 음계의 차이
음계 : 문명의 척도
『소학창가집』
음성생리학과 그레이엄 벨의 시화법
그레이엄 벨과의 추억
언어교정을 위한 시화법
메가타 다네타로의 관심
음성을 배운다는 것
최첨단 과학, 진화론
과학적으로 접근한 음성
제5장 덕육 사상과 창가 : 이사와 슈지의 근대화 구상
귀국
덕육에 대한 태도
애매모호한 이사와 슈지의 이미지
신체와 국가
국가 유기체설 : 세포로서의 국민
교육을 통해 국민을 양성하다 : 국가교육론
국민 정체성을 창출하는 창가
음악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나 : 도쿄음악학교 존폐 논쟁
예술로서의 음악
이사와 슈지의 계획 : 수단으로서의 창가
도쿄음악학교 교육방침의 전환
맺는말
한국 서양음악의 출발
조성우|‘근대국가’ 대한제국과 서양음악
허지연|1910년대 식민지 조선의 창가 교육
서승임|음악하는 여성의 탄생
연표
주요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