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88928519682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4-03-2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제1장 서론
1. 연구목적
2.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
제2장 야사의 개념과 야사총서의 시대적 전개
1. 야사의 정의
2. 야사의 주제에 따른 범주
3. 야사총서의 시대적 전개
제3장 18~19세기 야사총서 편찬 양상
1. 『대동야승(大東野乘)』
2. 『아주잡록(鵝洲雜錄)』
3. 『청구패설(靑丘稗說)』
4. 『한고관외사(寒臯觀外史)』ㆍ『창가루외사(倉可樓外史)』
5. 『대동패림(大東稗林)』
6. 『패림(稗林)』
7. 야사총서에서 『대동패림(大東稗林)』의 위상(位相)
제4장 『대동패림(大東稗林)』과 다른 야사총서 간의 상호 관련성 분석
1. 『대동야승(大東野乘)』과 『대동패림(大東稗林)』 대조
2. 『아주잡록(鵝洲雜錄)』과 『대동패림(大東稗林)』 대조
3. 『청구패설(靑丘稗說)』과 『대동패림(大東稗林)』 대조
4. 『한고관외사(寒臯觀外史)』ㆍ『창가루외사(倉可樓外史)』와 『대동패림(大東稗林)』 대조
5. 『패림(稗林)』과 『대동패림(大東稗林)』 대조
6. 상호 관련 야사의 분석적 접근
제5장 『대동패림(大東稗林)』의 집일학적(輯佚學的) 접근(接近)
1. 『한고관외사(寒臯觀外史)』의 보완(補完)
2. 『대동패림(大東稗林)』의 보완(補完)
제6장 결론
부록
1. 야사총서 내 야사 수록 여부 비교
2. 『대동야승(大東野乘)』의 구성
3. 『아주잡록(鵝洲雜錄)』(경도대본)의 구성
4. 『청구패설(靑丘稗說)』의 구성
5. 『한고관외사(寒臯觀外史)』의 구성
6. 『창가루외사(倉可樓外史)』의 구성
7. 『대동패림(大東稗林)』의 구성
8. 『패림(稗林)』의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