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88928521012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5-03-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I. 조선 중기 야사의 한 전형, 『패관잡기稗官雜記』_ 이홍식ㆍ박은정
1. 들어가며
2. 『패관잡기』의 규모와 성격
3. 『패관잡기』의 내용과 의미
4. 『패관잡기』의 기사 형식과 야사 인식
5. 나가며
II. 조선 중기 야사와 야담의 경계와 간극_ 박은정ㆍ이홍식
-『패관잡기稗官雜記』ㆍ『어우야담於于野談』ㆍ『매옹한록梅翁閒錄』의 비교를 중심으로
1. 야사와 야담 비교의 필요성
2. 『패관잡기』, 『매옹한록』과 『어우야담』의 경계
3. 『패관잡기』, 『매옹한록』과 『어우야담』의 간극
4. 『패관잡기』의 야사적 특징
III. 『효빈잡기效嚬雜記』의 새로운 일화 발견_ 권석창
-『한고관외사寒皐觀外史』와 『태촌집泰村集』 비교를 중심으로
1. 서론
2. 『한고관외사』의 편찬과 『태촌집』의 간행
3. 『한고관외사』와 『태촌집』 내 『효빈잡기』 비교
4. 결론
[부록] 『한고관외사』와 『태촌집』 수록 『효빈잡기』 구성 비교 97
IV. 『공사견문록』의 군왕 형상화 양상_ 김민혁
1. 서론
2. 『공사견문록』의 구성과 기록 자세
3. 군왕의 인물화와 서사전략
4. 정재륜의 위치와 편향
5. 결론
V. 김시양金時讓의 『관북기문關北紀聞』의 체제와 저술 의도_ 박종훈
1. 들어가는 말
2. 야사로서의 『관북기문』 일람
3. 『관북기문』의 체제와 저술 의도
4. 나가는 말
VI. 『해동야언별집海東野言別集』 현존본의 내용과 성격_ 임미정
1. 머리말
2. 『해동야언별집』 현존본의 상황
3. 『해동야언별집』 현존본의 내용과 성격
4. 맺음말
VII. 사라진 야사총서의 복원_ 정우봉
-『광사廣史』와 『총사叢史』의 수집과 전사轉寫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의 조선 고서 수집과 『백산흑수문고白山黑水文庫』
3. 일실본 야사총서 『광사』의 유통과 전사본
4. 일실본 야사총서 『총사』의 유통과 전사본
5. 맺음말
VIII. 『화해휘편華海彙編』의 편찬과 편사정신_ 박인호
1. 머리말
2. 편찬자
3. 이본 조사와 편찬 체재
4. 편사정신
5. 맺음말
IX. 조선시대 야사에 대한 스에마쓰 야스카즈의 ‘전후’적 관심_ 이경희
-‘문화국가’ 역사가의 전후 일본 재건기
1. 머리말
2. 포스트제국의 학술공간: 동질적 연속성
3. ‘문화국가’의 동양문화연구소: 『조선왕조실록』과 ‘새로운’ 연속성
4. 조선시대 야사에 대한 ‘문화국가’ 역사가의 관심
5.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