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상징의 숲, 등록

상징의 숲, 등록

(왕실 가족의 삶과 문화를 담다)

김지영 (지은이)
민속원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750원
33,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상징의 숲, 등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상징의 숲, 등록 (왕실 가족의 삶과 문화를 담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문화예술사
· ISBN : 9788928519705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4-03-30

책 소개

조선 후기 중요한 국가 기록물인 ‘등록(謄錄)’의 형태로 현대인에게 전해진 왕실 가족의 일생 의례 이야기를 통해서 과거 역사 속에서 존재했던 그들의 낯선 행위를 이해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에서 주목하고 있는 왕실 가족의 일생 의례와 그 기록인 ‘등록’은 왕실 가족의 실제 삶과 문화를 엿볼 수 있는 또 하나의 창이다.

목차

책을 내며

서언
등록은 제2의 의궤: 왕실 가족의 삶과 문화가 여기 다 있네!

제1장
왕실 가족의 일생 의례와 등록
1. 인간의 한평생과 일생 의례一生儀禮
2. 17세기 ‘예송禮訟 논쟁’과 왕실 가족의 일생 의례
3. ‘왕자가 실행하면 아랫사람이 본받게 된다’
4. 왕실 가족의 일생 의례와 그 기록

제2장
등록이란 무엇인가
1. 등록은 언제부터 만들었을까?
등록의 문화적 기원
국가 기록물 ‘등록’의 탄생
등록의 현황과 종류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등록
2. 등록은 왜 제작했을까?
‘전례前例’를 중시하는 문화 전통
18세기 초 예조 계제사稽制司에서 소장한 등록謄錄의 종류
3. 의례 등록은 어떻게 제작했을까?
가례등록의 제작 과정
장태등록의 제작 과정
가례등록의 서술방식과 그 변화 사례
4. 등록은 몇 건을 제작했을까
5. 등록은 어디에 보관했을까
조선시대 기록물 보존소
장서각과 규장각의 등록 소장 경위
6. 등록은 의궤와 어떻게 다를까?

제3장
등록 속 왕자녀의 일생 의례 이야기
1. 왕녀와 왕자의 탄생이야기
탄생 순간 첫 칭호는?
궁궐 안에서 치러지는 출생의례
궁궐 밖 장태藏胎의례
어람용 안태등록과 분상용 안태의궤?
17~18세기에 태어난 왕녀와 왕자의 장태의례
창덕궁 어원御苑에 왕녀와 왕와의 태를 묻다
2. 왕녀와 왕자의 봉작이야기
『경국대전』에 명문화된 왕자녀의 봉작 규정
완화군完和君과 의화군義和君, 경복궁에서 봉작 교지를 받다
3. 왕녀와 왕자의 성년식이야기
공주와 옹주, 혼인 후에 관례를 행하다
왕자, 혼인 전에 관례를 치르다
4. 왕녀와 왕자의 혼례와 출합出閤 이야기
『가례등록』이 남아 있지 않은 대군의 혼례
왕자의 가례
왕녀의 가례
친영과 동뢰연이 치러진 장소: 공주궁과 부마가, 왕자궁과 부인가
출합: 궁궐 밖 왕자녀의 살림집, 궁가宮家로 나가 살다
5. 왕자녀의 죽음이야기
궐내에서 혼인 전에 죽은 공주의 죽음 의례
옹주의 초장지를 옮겨 천장하다
6. 왕녀와 왕자의 제례이야기

제4장
등록 속 후궁의 일생 의례 이야기
1. 후궁의 봉작과 혼례이야기
종2품 숙의 김씨의 봉작과 가례
정1품 경빈 김씨의 책봉과 가례
2. 후궁의 죽음이야기
숙종의 승은 후궁 희빈 장씨의 죽음
정조의 간택 후궁 유빈 박씨의 죽음
헌종의 간택 후궁 경빈 김씨의 죽음
후궁 정1품 빈 묘소의 제청祭廳과 석물의 조성
3. 후궁의 제례이야기
종친과 옹주가 후궁의 제사를 맡다
수진궁, 무후無後한 후궁의 제사를 받들다

제5장
왕실 가족의 일생 의례에 나타난 상징 이야기
1. “장수를 누리시고 총명하게 하소서”
좋은 땅에 조성한 태실胎室과 안태사安胎使
2. 많은 자손이 태어나길 소망하다
‘종사지경螽斯之慶’을 새겨 넣은 옥책과 책봉 교명
혼례용 병풍 <곽분양행락도>
납채서와 서사관
산 기러기[生雁]와 집안충찬위執雁忠贊衛
3. 부부가 한 몸 되어 복의 근원이 되다
교배석交拜席
근잔巹盞
4. 왕실 가족 내 위계질서를 세우다
왕자녀 사이의 위계질서
왕비와 후궁 사이의 위계질서
5. 왕실 가족의 신분과 사회적 지위를 구별 짓다
금혼령과 간택 단자
별궁 생활
선온례宣醞禮에 사용되는 술, ‘향온주香醞酒’
화려한 친영 행렬

결언
상징의 숲, 등록: 문화콘텐츠의 보고寶庫,
세계기록유산으로서의 가치!

저자소개

김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학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사회·민속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인류학 전공)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박사후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비교한국학연구센터 연구교수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한국학연계전공 초빙교수 현재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객원연구원 2010년에 「조선 왕실의 출산문화 연구:역사인류학적 접근」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는 「조선시대 왕실 여성의 출산력:시기별 변화추이와 사회문화적 함의」(2011), 「17세기 인조(仁祖) 가족의 갈등 양상과 세 왕실 여성의 주체성」(2023) 등이 있다. 공저로는 『왕실 가족의 출생과 성장』(2018), 『17세기 조선 로열패밀리의 결혼』(2021), 『한양의 여성 공간』(2021), 『예천의 태실과 조선시대 태실문화』(2021) 등이 있고, 공역서로는 『숙종과 영조의 일생의례:책례가례등록』(2017), 『17세기 조선 왕실 가족의 혼례:가례등록·명안공주가례등록』(2022)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