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일본문화
· ISBN : 9788928520138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4-09-0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고대 일본차의 백제 기원설
1. 일본차의 백제 기원설
2. 차나무를 전한 담혜화상
3. 백제승 행기에 의한 전래
4. 행기의 백제 차나무 전래설
5. 일본 고대차와 백제
제2장 고대 일본차의 기원과 전래전승
1. 일본차의 기원
2. 일본에서 발견된 차 이야기
3. 하늘에서 내려준 선물
4. 중국에서 전래된 차 이야기
5. 차의 전래와 역사
제3장 일본 고대의 차문화
1. 일본 고대의 차문화
2. 입당구법승이 전한 음다문화
3. 제다와 음다
4. 불교의례에 이용된 차
5. 음용의 목적
6. 차문화의 흥융과 쇠퇴
제4장 일본 다조 에이사이는 가야의 후손
1. 에이사이는 일본의 다조
2. 차전래 전설을 통해서 본 에이사이(榮西)
3. 에이사이의 가계와 출신지
4. 기노조(鬼ノ城)와 가야씨
5. 에이사이는 가야의 후예
제5장 일본의 사두차회를 통해서 본 고려선원의 접빈다례
1. 중국인이 본 고려 음다풍속
2. 일본의 사두차회
3. 사두차회의 기원과 전래
4. 고려 선원의 접빈다례
5. 동아시아의 선원다법
제6장 일본 사원의 시다의례
1. 불교사원의 시다란?
2. 육바라밀사의 오부쿠차(大福茶)
3. 서대사의 오차모리(大茶盛)
4. 시다의례의 전개양상과 서민신앙
5. 중국과 한국의 시다문화
6. 시다의 의미
제7장 일본으로 간 원효의 무애차
1. 일본에 영향을 끼친 원효의 무애차
2. 원효의 무애차
3. 일본으로 간 원효의 무애차
4. 서대사 오차모리의 상징적 의미
5. 원효의 무애차와 서대사의 오차모리
제8장 일본의 투차문화
1. 차의 전쟁
2. 투차를 즐기는 사람들
3. 무사들의 화려함의 극치 투차놀이
4. 임한다탕과 운각차회
5. 쇠퇴와 변모
6. 투차의 의미
제9장 일본 초암다실의 한국기원설
1. 일본 초암다실과 한국
2. 일본인에 의한 한국 기원설
3. 한국인에 의한 한국기원설
4. 김시습과 준장로
5. 김시습의 초암과 다법
6. 일본 초암다실의 기원
제10장 일본 초암다실의 기원과 계보
1. 일본 초암다실의 기원
2. 쥬코 이전에도 초암이 있었다.
3. 일본 초암다실의 기원은 『유마경』에 있다.
4. 초암다실의 전개
5. 초암다실의 특징과 의의
6. 초암다실의 상징적 의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