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30042086
· 쪽수 : 266쪽
· 출판일 : 2025-08-25
책 소개
현대 한국 정치사의 진실과 공백
《기밀 해제, 그 시대의 민낯》은 정권 교체와 민주화를 통해 비로소 ‘기밀 해제’된 문서를 기반으로 해외 자료를 포함한 수많은 자료들을 검토하여, 1970~80년대 한국 정치사의 결정적 순간들을 다시금 추적한 책이다. 김대중 납치 사건부터 박정희 대통령 암살, 5·18 민주화운동, 아웅산 폭파 사건과 IMF 금융위기, 남북 정상회담까지 국내외를 뒤흔든 굵직한 사건들을 다루었다. 또한 김대중 납치 사건 당시 일본인 목격자에 대한 수사 결과 등 해외 자료를 대조하여 기록의 빈틈을 메움으로써 사건의 흐름을 새롭게 복원하기도 했다.
한국 정치사는 짧은 기간에 압축적인 변화를 거쳐 왔다. 독재와 군사정권, 민주화 그리고 오늘날의 민주주의 정착까지…. 이는 세계사적으로도 드문 격변의 기록이다. 첨예한 갈등과 은폐가 뒤엉켰던 시대, 진실은 감춰지고 왜곡됐다. 필자는 진실규명에 나섰던 ‘진실위원회’의 조사 결과 및 의의와 함께, 그 한계까지도 짚어 낸다. 여전히 우리는 사건의 전모를 알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간이 흘러 이제는 그다지 조명받지 못한 채 남아 있는 공백들을 이 책에서는 성찰의 장소로 삼는다. 그는 이 책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이 이상 바랄 수 없는 영광”이라며 단지 독자가 판단을 내릴 길을 열어 줄 뿐이다. 어디에서 무엇을 배울지는 오롯이 독자의 몫이다.
한국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학문을 닦은 학자,
냉정과 열정으로 기록하다
격동의 한국 정치사를 읽을 때는 객관적 시각을 잃어버리기 십상이다. 그러나 필자는 냉철하게 사실을 드러내 보이며 단지 독자가 스스로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 외부자의 냉정과 내부자의 열정을 함께 지닌 필자였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그는 한국에서 나고 자랐을 뿐 아니라, 일본으로 건너가 연구에 정진하면서도 한국과의 연을 지속적으로 이어 온 학자다. 평생토록 한일 사이의 가교로 살아오면서 김대중, 김영삼 등 한국의 정치지도자와 직접 교유했으며, 한국과 일본 정치지도자 간의 연을 이어 주기도 했다. 그러한 경험이 이 책에도 녹아 있다.
이 책 또한 본래는 역사적 사실의 기록을 넘어, 고난 속에 발전해 온 한국 정치사를 일본 독자들에게 소개함으로써 양국을 연결하기 위해 집필됐다. 이후, 현지의 뜨거운 반응과 함께 한국 독자에게 더욱 필요한 책이라는 평가를 받아들여, 일본어로 된 책을 직접 번역하고 보강하여 한국어판을 선보이게 됐다. 그는 사건의 내막을 드러내는 동시에 당시 한국 사회를 외부에서 바라본 기록 및 반응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독자가 이미 알고 있던 사실조차도 새롭고 입체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다. 과거의 기록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는 일이야말로 오늘을 점검하고 내일을 준비하는 길이라는 사실을, 이 책은 명료하게 보여 준다. 독자는 이를 통해 우리가 무엇을 이루었고 무엇을 놓쳤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떠올리게 된다. 기밀이 풀려난 자리에서 비로소 시작되는 일 - 과거의 경험에서 학습하여 더 나은 내일, 공존과 화합으로 향하는 일, 《기밀 해제, 그 시대의 민낯》은 그 출발선에 놓인 책이다.
목차
프롤로그 11
1 박정희 시대의 종말
김대중 납치 사건과 일본 정부의 대응 19
중앙정보부의 김대중 납치 계획|도쿄 호텔에서 자행된 납치 행각|현장에 지문을 남긴 김동운 일등서기관|탐정사에 들어온 김대중 감시 의뢰|고토다 마사하루 관방 부장관의 잠복 명령|김대중 납치 사건의 정치적 결착|국정원 진실위원회의 조사보고서
박정희 대통령 저격 사건(문세광 사건) 50
재일 한국 청년 문세광의 박정희 대통령 저격|위조 여권을 통한 입국과 범행 과정|저격 사건 처리에 관한 한일 양국의 대립|
시이나 에쓰사부로 자민당 부총재의 사죄 방한
박정희 대통령 암살 사건 66
박정희 측근들과 ‘대행사’|정권 실세들의 권력 싸움|대통령 암살 결심|박정희의 마지막 만찬|김재규 중앙정보부장, 박정희 살해|전두환 보안사령관에게 찾아온 찬스
나가며: 영원한 라이벌 박정희와 김대중 84
2 전두환 신군부 정권의 등장
쿠데타를 통한 정권 장악 89
중앙정보부 장악|신군부의 숙군 쿠데타|전두환 대통령 만들기 시나리오
광주 시민의 민주화운동 99
민주화운동에 일어난 학생들|학생시위로 시작된 민중봉기|시위대의 주요 시설 점령|중무장한 계엄군의 광주 진압|김대중 사형 판결|독일인 기자가 본 5·18 민주화운동|역사적 평가
아웅산 폭파 사건 120
전두환 대통령 당선과 버마 방문|북한 테러리스트들의 전두환 암살 작전|아웅산 묘소 폭파와 전두환 대통령 생환|북한의 테러로 판명된 아웅산 폭파 사건|피해자 지원을 위한 일해재단 설립
강권정치와 민주화운동 136
전두환 정권의 강권정치|편집국장, 정치부장, 정치부 기자가 고문당하다|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민주화운동의 도화선|
이한열 열사 최루탄 피격 사건|헌법 개정을 둘러싼 여야의 공방
나가며: 독재로써 민주화를 촉진시킨 전두환 154
3 군사정권 연장의 노태우 정권 민정이행기
군사정권 유지와 민주화 추진의 이중노선 157
6·29 민주화선언과 대통령직선제 도입|KAL기 폭파범 김현희가 말하는 진상|KAL기 폭파 사건이 대통령 선거에 끼친 영향|
전두환을 백담사로 보낸 노태우
서울올림픽 개최 170
경제계 주도의 유치 활동|사마란치 IOC 위원장 “쎄울 꼬레아!” 선언|서울올림픽의 성과
남북 관계 개선과 외교의 성과 179
노태우 정권의 북방외교|노태우 대통령 일본 공식 방문
나가며: 민정으로의 가교 노태우 184
4 김영삼 ‘문민정부’ 탄생
김영삼 정권의 정치 개혁 187
인사 쇄신과 공직자 재산 공개|군의 사조직 하나회 해체와 군 인사 쇄신|금융실명제 실시|김일성 사망과 남북 정상회담 무산
‘역사 바로 세우기’와 전직 대통령 심판 198
전직 대통령의 비자금 폭로|전두환과 노태우 심판
금융위기와 IMF 지원 요청 203
위기에 직면한 한국 경제|IMF 지원 요청
김영삼의 방일과 일본 정계의 반응 207
김영삼의 일본 방문|일본 사회당과의 교류 추진
나가며: 단일화의 기로에 선 김영삼 215
5 김대중 ‘국민의 정부’ 수평적 정권 교체
파란만장한 정치생활 223
네 번째 도전에 대통령직에 오르다|경제 위기 극복과 구조개혁|새로운 도전, IT산업
남북 관계 개선 232
판문점 군사분계선을 넘어간 소 1,001마리|김대중 대통령 방북: 사상 최초의 남북 정상회담
새로운 시대의 한일 파트너십 구축 240
김대중 대통령 일본 공식 방문|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기적은 기적적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나가며: 평화와 화해의 길을 연 김대중 248
에필로그 251
미주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