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30042086
· 쪽수 : 266쪽
· 출판일 : 2025-08-2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1
1 박정희 시대의 종말
김대중 납치 사건과 일본 정부의 대응 19
중앙정보부의 김대중 납치 계획|도쿄 호텔에서 자행된 납치 행각|현장에 지문을 남긴 김동운 일등서기관|탐정사에 들어온 김대중 감시 의뢰|고토다 마사하루 관방 부장관의 잠복 명령|김대중 납치 사건의 정치적 결착|국정원 진실위원회의 조사보고서
박정희 대통령 저격 사건(문세광 사건) 50
재일 한국 청년 문세광의 박정희 대통령 저격|위조 여권을 통한 입국과 범행 과정|저격 사건 처리에 관한 한일 양국의 대립|
시이나 에쓰사부로 자민당 부총재의 사죄 방한
박정희 대통령 암살 사건 66
박정희 측근들과 ‘대행사’|정권 실세들의 권력 싸움|대통령 암살 결심|박정희의 마지막 만찬|김재규 중앙정보부장, 박정희 살해|전두환 보안사령관에게 찾아온 찬스
나가며: 영원한 라이벌 박정희와 김대중 84
2 전두환 신군부 정권의 등장
쿠데타를 통한 정권 장악 89
중앙정보부 장악|신군부의 숙군 쿠데타|전두환 대통령 만들기 시나리오
광주 시민의 민주화운동 99
민주화운동에 일어난 학생들|학생시위로 시작된 민중봉기|시위대의 주요 시설 점령|중무장한 계엄군의 광주 진압|김대중 사형 판결|독일인 기자가 본 5·18 민주화운동|역사적 평가
아웅산 폭파 사건 120
전두환 대통령 당선과 버마 방문|북한 테러리스트들의 전두환 암살 작전|아웅산 묘소 폭파와 전두환 대통령 생환|북한의 테러로 판명된 아웅산 폭파 사건|피해자 지원을 위한 일해재단 설립
강권정치와 민주화운동 136
전두환 정권의 강권정치|편집국장, 정치부장, 정치부 기자가 고문당하다|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민주화운동의 도화선|
이한열 열사 최루탄 피격 사건|헌법 개정을 둘러싼 여야의 공방
나가며: 독재로써 민주화를 촉진시킨 전두환 154
3 군사정권 연장의 노태우 정권 민정이행기
군사정권 유지와 민주화 추진의 이중노선 157
6·29 민주화선언과 대통령직선제 도입|KAL기 폭파범 김현희가 말하는 진상|KAL기 폭파 사건이 대통령 선거에 끼친 영향|
전두환을 백담사로 보낸 노태우
서울올림픽 개최 170
경제계 주도의 유치 활동|사마란치 IOC 위원장 “쎄울 꼬레아!” 선언|서울올림픽의 성과
남북 관계 개선과 외교의 성과 179
노태우 정권의 북방외교|노태우 대통령 일본 공식 방문
나가며: 민정으로의 가교 노태우 184
4 김영삼 ‘문민정부’ 탄생
김영삼 정권의 정치 개혁 187
인사 쇄신과 공직자 재산 공개|군의 사조직 하나회 해체와 군 인사 쇄신|금융실명제 실시|김일성 사망과 남북 정상회담 무산
‘역사 바로 세우기’와 전직 대통령 심판 198
전직 대통령의 비자금 폭로|전두환과 노태우 심판
금융위기와 IMF 지원 요청 203
위기에 직면한 한국 경제|IMF 지원 요청
김영삼의 방일과 일본 정계의 반응 207
김영삼의 일본 방문|일본 사회당과의 교류 추진
나가며: 단일화의 기로에 선 김영삼 215
5 김대중 ‘국민의 정부’ 수평적 정권 교체
파란만장한 정치생활 223
네 번째 도전에 대통령직에 오르다|경제 위기 극복과 구조개혁|새로운 도전, IT산업
남북 관계 개선 232
판문점 군사분계선을 넘어간 소 1,001마리|김대중 대통령 방북: 사상 최초의 남북 정상회담
새로운 시대의 한일 파트너십 구축 240
김대중 대통령 일본 공식 방문|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기적은 기적적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나가며: 평화와 화해의 길을 연 김대중 248
에필로그 251
미주 2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