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국민 참여시대의 한국정당

국민 참여시대의 한국정당

이원종 (지은이)
나남출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20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8개 1,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국민 참여시대의 한국정당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국민 참여시대의 한국정당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선거전략/대통령 만들기
· ISBN : 9788930081498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06-05-01

책 소개

오랫동안 공직에 몸을 담고, 문민정부에서 정무수석을 지낸 지은이가 제안하는 정당민주주의론. 공천(公薦)이 아니라 사천(私薦)이 판치는 선거, 하향식 의사결정구조, 지역주의와 파벌.계파 정치, 정책중심의 경쟁부재와 같은 문제들의 핵심에는 정당 내의 비민주성이 있음을 지적한다.

목차

머리말 / 5

서 장 15
제 1 부 국민에 의한 정당을 위하여
제 1 장 대의민주주의와 정당 27
1. 현대 대의정치에서 정당의 기능 27
1) 민주주의와 정당 27
2) 정당의 기원과 기능 32

2. 정당정치에서 당내 민주주의가 갖는 중요성 41
1) 당내 민주주의에 대한 논의 41
2) 정당 민주주의란? 45

제 2 장 한국 정당의 발자취와 현주소 53
1. 한국의 정치변동과 정당정치의 변화 53
1) 권위주의 시기의 정당정치 53
2) 민주화 시기의 정당정치 74

2. 한국 정당정치의 특징 99
1) 정당의 노선과 이데올로기:이념의 일원화 100
2) 정당체제:일당우위적 양당제에서 다당제로의 변화 102
3) 지역주의에 기반한 정당정치 105

제 3 장 국민참여시대 한국 정당의 발전방향 113
1. 정치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정당정치 113

2. 한국 정당의 진로와 과제 122
1) 시대적 변화에 따른 정당의 성격 재정립 124
2) 이슈지향적 포괄정당으로의 전환을 위한 과제 131
3) 국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안 138

제 2 부 한국형 공직후보자 추천제도를 위한 제안
제 4 장 공직후보자 추천제도의 이론과 외국 사례 153
1. 당내 민주주의와 공직후보자 추천제도와의 관계 153
2. 공직후보자 추천제도 관련 이론 159
3. 공직후보자 추천제도의 결정요인 170
4. 각국의 공직후보자 추천제도 184
1) 미국 184
2) 영국 191
3) 독일 194
4) 일본 197

제 5 장 한국 정당의 공직후보자 추천제도의 변화과정 201
1. 국회의원 후보자 추천제도 201
1) 권위주의 시기 국회의원 추천제도 203
2) 민주화 시기 국회의원 추천제도 219

2. 대통령 후보자 추천제도 230
1) 권위주의 시기 대통령 후보자 추천제도 230
2) 민주화 이후 대통령 후보자 추천제도 236

3. 16대 대선과 17대 총선의 공직후보자 추천제도의 한계 243
1) 16대 대선 대통령후보 선출과정과 한계 243
2) 17대 총선 국회의원 후보자 선출과정과 한계 253

제 6 장 민주적 공직후보자 추천제도 확립을 위한 과제 263
1. 법. 제도적 측면의 과제 265
1) 정당법과 당헌. 당규상 민주적 장치 마련 265
2) 정당의 하향식 의사결정구조의 개선 279
3) 정치자금제도의 보완 287

2. 정치문화적 측면의 과제 297
1) 지역주의 정당체계의 개선 297
2) 권위주의적 정치문화의 해소와 민주적 리더십 형성 307
3) 파벌정치의 청산과 정책중심의 정당경쟁 320

제 7 장 한국형 공직후보자 추천제도 335
1. 민주적 공직후보자 추천제도 정착을 위한 선결과제 336
2. 한국형 공직후보추천 모델 341

결 론 한국민주주의와 한국 정당의 발전을 위해 353

참고문헌 363
찾아보기 381

저자소개

이원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도 삼척에서 출생하여 경복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를, 한양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했다. 신민당 김영삼 총재 공보비서, 공보처 차관을 거쳐, 김영삼 대통령 재임 시 정무수석비서관(장관급)을 지냈다. 현재 (사)동안이승휴사상선양회 이사장, 인하대학교 초빙교수, 한양대학교 특임교수를 맡고 있다. 이 책은 정치인들이 국민의 능력을 불신하거나 제대로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이 한국정치 후진성의 원인이자 결과라는 판단을 알려야겠다는 소명의식에서 썼다. 저서로 《국민참여 시대의 한국정당》《새로운 중국과 한국: 한중관계의 역동성을 위하여》, 논문으로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과 21세기 한중관계> <한국 정당의 공직후보자 선출제도 민주화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