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아나운서 통사

한국 아나운서 통사

김성호 (지은이)
나남출판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220원
21,7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아나운서 통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아나운서 통사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30086721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3-02-20

책 소개

우리나라 방송사에 역사적 위업을 이룩한 방송선인 30인을 선별하여, 그들이 다져 놓은 방송사적 업적을 기술하였다. 키워드를 '최초'로 하여 최초의 공채 아나운서, 최초의 남자 아나운서, 최초의 스포츠캐스터 등 최초의 보직자를 찾아내어 다루었다.

목차

머리말 7

제1장 경성방송 시대의 아나운서(1927~1945) 17
1. 방송 시작과 아나운서의 출현 17
2. 단일방송 시대의 아나운서(1927~1932) 24
3. 이중방송 시대의 아나운서(1933~1945) 39

제2장 KBS 단독방송 시대의 아나운서(1945~1961) 63
1. 해방공간에서의 방송환경 63
2. 미군정 시대의 아나운서(1945~1948) 68
3. 국영방송 시대의 아나운서(1948~1960) 76
4. CBS·HLKZ-TV·부산MBC의 등장 107

제3장 국·민영방송 시대의 아나운서(1961~1969) 117
1. 민간방송의 등장과 방송계 환경 117
2. KBS 국영방송의 아나운서 122
3. 문화방송(MBC)의 아나운서 159
4. 동양방송(TBC)의 아나운서 172
5. 동아방송(DBS)의 아나운서 185
6. 기독교방송(CBS)의 아나운서 193

제4장 한국 방송 아나운서 최초 탐구 199
1. 최초의 공채 아나운서 마현경 199
2. 최초의 남자 아나운서 김영팔 205
3. 최초의 스포츠캐스터 박충근 211
4. 최초의 방송국장 이혜구 217
5. 최초의 아나운서 소설가 이석훈 222
6. 최초의 보도부장 이계원 228
7. 최초의 농구경기 캐스터 이현 234
8. 최초의 올림픽 중계 캐스터 민재호 240
9. 최초의 방송관·야구 캐스터 윤길구 245
10. 최초의 방송학 교수 이덕근 251
11. 최초의 방송기자 문제안 257
12. 최초의〈스무고개〉사회자 윤용로 263
13. 최초의 국민장 의식 중계 캐스터 홍양보 269
14. 최초의〈뉴스영화〉해설자 이성수 275
15. 최초의 TV방송 아나운서 서명석 281
16. 최초의 정부 파견 VOA 아나운서 장기범 286
17. 최초의 스포츠 단체 이사 최승주 292
18. 최초의 해외 예술사절단 파견자 강익수 298
19. 최초의 공영방송 이사 강찬선 304
20. 최초의 민간방송 중역 임택근 310
21. 최초의 KBS-TV 아나운서실장 황우겸 316
22. 최초의 방송 3사 아나운서실장 최계환 322
23. 최초의 여류방송인클럽 회장 강영숙 328
24. 최초의 화법 연구자·아나운서 1호 박사 전영우 334
25. 최초의 시인 아나운서 최세훈 339
26. 최초의 TV 공채 아나운서 김봉구 345
27. 최초로 5ㆍ16군사정변을 방송한 박종세 351
28. 최다 종목의 스포츠 중계방송 아나운서 이광재 357
29. 최초의 민방 보도책임자 전응덕 363
30. 최초로 국제 TV세미나에서 의장이 된 김영호 369

부 록: 한국 방송 아나운서 관련 사료 377
1. 서울중앙방송국 아나운서실을 빛낸 사람들
2. 문화방송 본사 아나운서국(실) 일람
3. 아나운서가 되려는 분에게(장기범)
4. 아나운서 되기(프롤로그, 이계진)
5. 아나운서 공채 시험문제

찾아보기 413

저자소개

김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방송 역사 학자·언론학 박사. 1946년 6월 14일(음력, 호적상 1947년 7월 13일) 충남 당진(합덕)에서 태어났으며 호는 송인(松印)·수별(樹別)이다. 서강대학교 문과대학 및 언론대학원을 졸업하고 광운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언론학 퇴임교수 모임인 ‘한국언론연구회’ 총무(회장)로, 2015년부터 10년째 봉사하고 있다. 1970년 KBS 공채 입사 후 아나운서, PD, 연구소 연구원, 정책개발·TV편성 차장, 위성방송부장, 원주방송국장, 연수원 교수, 방송문화연구소장, 개혁기획단장·밀레니엄기획단장·경영개선추진단장 등 3개 특별부서 단장을 역임했다. 2003년 6월부터 KBSi(인터넷) 대표이사 사장으로 3년 8개월 재임했다. 2007년 3월 광운대학교에서 초청, 미디어영상학부 객원교수로 재직하며 정보콘텐츠대학원장, 국가인적개발센터장 등을 역임했다. 한편으로는 50여 년 학계에 참여하며 한국언론학회 이사·한국방송학회 부회장·한국소통학회장 등을 맡기도 했다. 서울대 언론정보학과·가톨릭대 사회학과·서울과기대 매체공학과·서강대 신문방송학과 및 언론대학원 등에서 30여 년 강사(대우교수)로 활약한 바도 있다. 저서 및 편서로 『한국방송관계문헌색인』(1976년부터 1999년까지 개정증보 4판까지), 『언론사 입문』(1983), 『언론고시연구』(1987), 『매스컴상식정해』(1988), 『한국방송인물지리지』(1997), 『장기범 평전』(2007), 『한국 아나운서 통사』(2013), 『한국 방송기자 통사』(2014), 『한국방송인물사 연구』(공저, 2014, 한국방송학회 프로젝트), 『한국 방송 90년 연표』(편저, 한국방송, 2017), 『한국 언론학 설계자들』(편저,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반도에서 정규적인 방송이 처음으로 시작된 것은 1927년 2월 16일의 일이다. 이 역사적인 사건은 일본 제국주의가 통치하던 시절에 일어났다. 이 시기는 1910년 8월 29일 경술국치(庚戌國恥)로 기록되는 한일강제합방이 체결된 후 17년 만이다. 일본은 이미 1925년 3월 도쿄에서 방송을 개시했지만, 통치수단의 일환으로 식민지 땅에 2년 만에 서둘러 문명의 이기를 네트워크한 것이다.
경성방송국은 서울의 옛 지명인 경성(京城)에서 비롯되었으며 놀랍게도 사단법인 체제로 출발했지만, 실체는 조선총독부 치하의 철저한 전제주의 방식의 국영체제였다. 방송구역은 조선 일대라 했지만, 방송전력이 고작 1㎾라 경기권(京畿圈)을 모두 감싸 안기도 힘겨운 상황이었다. 호출부호는 JODK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