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방송기자 통사

한국 방송기자 통사

(방송의 시대! 그 역사 인물을 만나다)

김성호 (지은이)
21세기북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방송기자 통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방송기자 통사 (방송의 시대! 그 역사 인물을 만나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50956875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4-12-12

책 소개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방송에서 기자가 출현한 1945년 해방 후부터 1969년 MBC-TV개국까지 한국의 방송기자를 정리한 역사서이자 인물사전이다. 이러한 시대의 방송 역사와 기자들을 통해 우리 방송이 나아가야할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경성방송 시대의 보도방송(1927~1945년)
1. 방송 개시와 방송사적 이슈
2. 프로그램 편성 현황
3. 보도 프로그램의 내용

제2장 KBS 단독방송 시대의 기자(1945~1961년)
1. 해방 시기 및 1950년대의 방송 환경
2. 미군정 시대의 기자(1945~1948년)
3. 국영방송 시대의 기자(1948~1961년)

제3장 민간 상업방송 시대의 기자(1961~1969년)
1. 민간방송의 등장과 보도 분야의 부상
2. KBS 국영방송의 기자
3. MBC 문화방송의 기자
4. TBC 동양방송의 기자
5. DBS 동아방송의 기자
6. CBS 기독교방송의 기자

제4장 방송보도의 초석을 놓은 선구적 기자 탐구
1. 1940, 50년대 데스크를 가장 오래 지킨 조한긍
2. KBS · MBC 보도의 초석을 놓은 김인현
3. 최초의 종군 방송기자 한영섭
4. 방송저널리즘의 초석을 다진 고품격 기자 이정석
5. TV뉴스 앵커 1호 박근숙

용어 색인
인명 색인

저자소개

김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방송인ㆍ방송학 교수ㆍ방송학자이다. 그는 1970년 KBS 아나운서로 방송계에 입문하여 프로듀서를 거쳐 편성, 뉴미디어, 정책, 연구, 연수, 경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근무한 참 방송인이다. 1998년 KBS 개혁기획단장으로 발탁되어 3단장(개혁.밀레니엄.경영)을 거치면서 KBS 뉴 밀레니엄 플랜 수립, 경영혁신 프로젝트(ABU 공영방송사 최초로 ERP 도입) 추진, KBS 우리말 이름(한국방송) 시행, 연봉제 도입 등의 대사를 수행하였다. 2003년 6월부터 2007년 2월까지 KBSi(인터넷) 대표이사 사장 재임 시, 솔선수범 경영으로 흑자 신화를 창조하기도 했다. 임기를 마친 후, 곧바로 광운대학교 미디어영상학부 교수(객원)로 초빙되었고, 한국소통학회장, 광운대 정보콘텐츠대학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40대 들어서부터 서울대학교, 서강대학교, 가톨릭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등에서 20여 년간 방송 관련 강의를 하면서 『한국방송관계 문헌색인』(개정증보판 4판), 『언론고시연구』,『한국방송 인물지리지』, 『한국 아나운서 통사』『한국방송인물사 연구』(공저) 등 10여권의 저서를 펴냈다. 그는 40, 50대 한국가톨릭방송인회장, 한국가톨릭언론인협의회장 등을 맡기도 했는데, “과거는 갔다. 지금이 중요하고 미래가 더 소중하다”는 생활철학 속에서 집필과 강의, 그리고 갖가지 사회활동을 꾸준히 펴고 있다. 그는 젊은 날부터 ‘저녁이 아름다운 사람’이 되기를 지향하며 ‘상식과 예의’가 넘쳐나는 진정한 선진국가를 소망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저자가 소장하고 있는 경성방송국 개국 당시의 한 사료를 보면, JODK는 라디오방송의 3대 사명으로 보도(報導), 교화(敎化), 위안(慰安) 등을 내걸었다. 보도 장르에는 내외·선내鮮內 뉴스, 천기예보(기상통보), 시장가격, 경제시황 등이, 교화에는 명사 강연, 각종 강좌, 초등학습 강좌, 어린이 시간 등이, 위안에는 서양 음악, 조선 음악, 연극, 기타 내선(內鮮)의 각종 오락 등이 포함되어 있다.
경성방송은 개국 초기, 일본과 마찬가지로 편성 방침이 확고하게 서 있지 않아 확립된 프로그램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다만 그 당시 조선 총독의 문화정치 표방으로 ‘조선에 있어서 문화의 향상 발전에 공헌’한다는 이상적(理想的) 방침은 갖고 있었으나, 실제로 프로그램을 구체화하는 데는 상당한 거리가 있었다.


한국인 위주의 뉴스 취재 및 방송뿐만 아니라 한국인 기자가 전무하던 불모지에 한국어 방송의 뉴스가 편성되었으니 뉴스를 생산할 보도시스템이 급조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통신을 아우르는 뉴스 편집자, 뉴스를 취재하는 기자가 탄생하였다. 이러한 체제를 주도적으로 구축한 이가 그 당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혜구(李惠求)였다. 그의 지시에 따라 문제안(文濟安)이라는 최초의 방송기자가 탄생하고 최초의 편집실무책임자인 이덕근(李德根)이 출현하였다. 후임으로는 전제옥(全濟玉), 강준원(姜駿遠), 조한긍(趙漢兢) 등이 보인다. 같은 시대 기자로는 문제안과 쌍벽을 이루었던 조동훈(趙東勳)이 있다.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국영방송 관장 부처인 공보처 방송국(KBS)에서는 공채시험을 거쳐 방송기자를 여러 명 선발했다. 그 해 10월에 입사한 이들이 김인현(金仁鉉), 최재요(崔在曜), 권중희(權重熙), 허덕호(許德鎬), 김광국(金光國), 편용호(片鎔浩), 김우용(金禹鎔), 신기철(申基徹) 등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