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88930312896
· 쪽수 : 378쪽
· 출판일 : 2008-06-10
목차
제Ⅰ부 불교와 민속신앙
법주사의 전통적 민속
1. 머리말
2. 기자신단(祈子神壇) 장수바위
3. 법주사 탑돌이
4. 맺음말
불국사와 동물숭배관
1. 머리말
2. 자연숭배사상과 동물담
3. 맺음말
백양사의 민속신앙
1. 머리말
2. 백암산 국기제(國祈祭)와 산천신앙
3. 장승과 조탑신앙
4. 조왕신앙
5. 맺음말
인각사(麟角寺) 주변의 민속
1. 머리말
2. 민간신앙
3. 민속놀이
4. 구비문학
5. 맺음말
불교의례와 민간문예의 교섭양상
1. 머리말
2. 불교민속의 대상과 불교의례
3. 삼신신앙(三神信仰)과 무불습합(巫佛習合)
4. 민간문예: 장례의식요(葬禮儀式謠)의 구조
5. 한국인의 생사관
6. 맺음말
세시풍속에 미친 불교민속
1. 머리말
2. 죽지사에 반영된 불교민속
3. 맺음말
한국 풍류 인물 고(攷)-김시습을 중심을-
1. 머리말
2. 한민족의 풍류 정신
3. 김시습의 생애와 국토편력
4. 「남염부주지(南炎浮州志)」에 나타난 꿈
5. 맺음말
미륵사상과 동학-민간신앙적 측면을 위주로-
제Ⅱ부 전통문화와 민속신앙
「성조가(成造歌)」와 민간신앙
1. 머리말
2. 가신신앙의 종류
3. 성조가에 나타난 신앙
4. 맺음말
전통상례와 천도의례
1. 전통의례
2. 불교의례
3. 한국인의 사생관
혜초의 구법행(求法行)과 『왕오천축국전』의 문학성
1. 머리말
2. 구법승들의 당유학과 인도 순례
3. 『왕오천축국전』의 문학성
4. 맺음말
새롭게 바라본 「혜성가」
1. 머리말
2. 연구사 검토
3. 쟁점과 대안을 찾아서
4. 맺음말
효의 민속적 의미
1. 머리말
2. 민속신앙
3. 불교와 효
4. 민속문학에 반영된 효
5. 맺음말
헌공의례(獻供儀禮)를 통해 본 민속신앙
1. 머리말
2. 헌공의례와 민속
3. 세시풍속과 불교의례
4. 맺음말
구비문학에 반영된 떡[餠] 문화
1. 머리말
2. 떡의 역사와 종류
3. 절기에 따른 떡[節食]
4. 통과의례에 따른 떡
5. 구비문학에 나타난 떡
6. 맺음말
뿌리 깊은 천 년의 문화유산, 경주
1. 경주, 신라 천 년의 요람
2. 경주의 문학지리
3. 신라 이후의 문학지리
4. 근대 경주의 문학지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