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매화

매화

(한중일 문화 코드 읽기 1)

김문학, 김현자, 나선화, 심경호, 오출세, 윤열수, 이동환, 이어령, 임영주, 조희웅, 홍윤식, 정양모, 김학성, 안형재, 이상희, 장숙환, 가미 가이토, 김용운, 김용철, 박종우, 이선옥, 최박광 (지은이)
생각의나무
2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매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매화 (한중일 문화 코드 읽기 1)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동양문화읽기
· ISBN : 9788984982901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03-10-30

책 소개

<매화>는 동북아시아의 종교, 문학, 회화, 생활 풍속 등을 매화의 상징과 이미지에 조리개를 좁혀 한중일 세 나라의 문화적 DNA를 해독한다. 우리는 매화의 상호 텍스트 읽기를 통해서 은연중에 동북아시아 세 나라가 공유하고 있는 문화적 유산과 그 동질성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목차

한·중·일 문화 코드 읽기를 펴내며
이 책을 여는 말|매화 문화권의 텍스트 읽기
매화의 어원과 관련어 풀이|매화의 이름을 찾아서

1부 매화와 종교 상징
하나, 매화 문화의 시발점|중국, 공자는 매화를 몰랐다
둘, 맑고 참다운 매화와 성리학|한국, 퇴계는 왜 매화를 사랑했는가
셋, 선불교와 매화 상징|일본, 도겐과 깨달음의 꽃
넷, 민간 신앙 속의 매화|한국의 무속, 일본의 천신

2부 문학 속의 매화
하나, 얼음과 눈 속에서 피는 시인 정신|중국의 한시
둘, 가난한 선비가 부르는 아치고절|한국의 시조와 시가
셋, 매화와 벚꽃의 경주|일본의 『만요슈』와 와카
넷, 이야기 속의 매화|한중일의 서사 문학 속의 매화

3부 회화와 공예품 속의 매화
하나, 세한삼우와 사군자의 원류|중국, 중인에서 시작된 묵매
둘, 부러진 줄기의 가지 위에 핀 꽃|한국, 어몽룡의 [월매도]와 그 전통
셋, 병풍 위에 핀 현란한 홍매|일본, 고린의 창매와 우키요에의 매력
넷, 도자기 위의 빙자옥질|한중일의 도자기와 매화
다섯, 민중의 삶을 보여 주는 민화|한국의 화조 병풍 속의 매화

4부 생활 속의 매화
하나, 아름다운 여인을 가꾸는 꽃|한국 여인들의 장신구와 매화
둘, 무사의 신의를 표현한 매화|일본의 매화 문장
셋, 장생불사의 선약|한중일의 매실의 식용과 약용
넷, 사랑방을 장식한 매화|한국의 문방구와 목공예 속의 매화
다섯, 옷 가득 향기 스미고 달 그림자 몸에 닿네|한국과 중국의 관매, 상매, 탐매
여섯, 봄을 갈구하던 선비들의 낭만적 풍습|한중일의 구구소한도와 길상우의도
일곱, 순결과 호색의 양면성을 지닌 매화|한국과 중국에서 기녀와 여인을 상징한 매화
여덟, 높은 선비 섣달 매화를 아주 좋아해|한국의 매화 기르는 법
아홉, 신비한 능력을 지닌 매화나무 지팡이|일본의 매화나무에 대한 속신, 속설
열, 매가 만들어 낸 심성의 단편들|한중일의 관련 용어와 속담

5부 오늘날의 매화
하나, 현재 동양 3국에서 매화는 어떤 상징을 갖는가|오늘날의 매화
둘, 동방의 예지와 성자의 의미|한국의 현대시에 나타난 매화
셋, 아직도 매화는 살아 있다|한중일의 매화 산업
넷, 찰미과고매, 선암매, 가류바이|한중일의 고매와 명매
다섯, 현존하는 야생매|한중일의 야생매

책을 닫으며|매화 문화권으로 본 한중일의 문화

부록
매화를 소재로 한 한중일의 명시·명문/ 한중일에서 '매'가 들어가는 지명
한중일의 명매·고매/ 찾아보기/ 참고 문헌/ 집필진 약력

저자소개

김문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비교문화학자, 문명비평가, 작가. 독자적으로 한중일 비교문화 영역을 개척한 제1인자. 1962년 중국 선양에서 한국계 중국인 3세로 출생, 1991년 아시아 최우수 성적으로 ‘나이지마 장학금’을 획득하고 일본 도시샤대학 대학원에 유학. 교토대학 대학원 박사 연구생을 거쳐 히로시마대 학 대학원 비교문화, 문화인류학 박사과정 수료. 현재 중일한 국제문화연구원장, 히로시마 문화학원대학 특임교수 및 동아시아 여러 대학, 연구소 겸임, 객원 교수로 활동. 2004년 일본에 귀화했고 한중일 3개국어로 출간한 저작은 2023년 현재까지 100권이 넘는다. ‘신조선족 지성의 기수’, ‘동아시아의 귀재’, ‘월경하는 지적 거인’으로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조선족 출신의 첫 사상가이기도 하다. ‘국제적 시야, 해박한 지견, 탁월한 사고, 신랄한 문체’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많은 팬의 지지를 받고 있다. 글쓰기 외에도 TV 방송 출연, 강연 등으로 폭넓은 언론 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그의 사상과 식견, 문화 활동에 대한 몰이해로 조선족 일부에서 왜곡 평가절하당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주요 저작으로 <벌거숭이 3국지>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반문 화지향의 중국인> <한국인이여 상놈이 돼라> <조국의 영웅을 매국노로 단죄하는 가엾은 한국인> <한국인이 모르는 안중근과 이토 히로부미> <신, NO로 말할 수 있는 일본> <조선족개조론>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현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비평가,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1974년 「아청빛 언어에 의한 이미지」로 중앙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당선되면서 문학비평가로 활동해왔으며, 한국시학회 회장, 한국기호학회 회장, 이화여자대학교 인문대학장을 지냈다. 텍스트의 심미적 구조와 수사적 장치를 규명하는 내재적 문학 연구 방법을 선구적으로 개척해온 대표적인 학자로 손꼽힌다. 한국문학의 근원적 상상력과 미적 구조를 밝히는 연구로 이화학술상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는 『시와 상상력의 구조』, 『아청빛 길의 시학』, 『한국 현대시 읽기』, 『한국시의 감각과 미적 거리』, 『현대시의 서정과 수사』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서정주 시에 나타난 은유와 환유」, 「한국 여성시의 계보」, 「한국 선시의 미적 거리」, 「한국시 전통의 계승과 확장」, 「한국 여성시의 존재 탐구와 언술 구조」를 비롯한 80여 편이 있다.
펼치기
나선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대 사학과에서 고고미술사를 전공했다. 2006년 현재 이화여대 박물관 학예실장으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소반>, <한국 도자기의 흐름>, <박물관 교육>(공저), <큐레이터가 말하는 박물관>(공저), <한국의 전통 공예 도기> 등이 있다.
펼치기
심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1955년 충북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일본 교토대학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한문학과 교수 및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한학 입문』 『김시습 평전』 『안평』 『김삿갓 한시』 『내면기행』 『산문기행』 『한국의 석비문과 비지문』 『호, 주인옹의 이름』 30여 종이 있다. 역서로 『주역철학사』 『서포만필』(상·하) 『심경호 교수의 동양 고전 강의: 논어』(1~3) 30여 종이 있다.
펼치기
오출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8년 6월 10일, 대전 출생 동국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문학박사 현 동국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경상북도 문화재위원, 울산광역시 문화재위원 대구지방환경관리청 환경영향평가위원(문화재분과) 경상북도 학술상 심사위원, 국어국문학회이사, 민학회 자문위원 원효학연구원 부원장, 한국불교어문학회장, 한국불교문화학회장 대한불교 조계종 성보보존위원회 위원(민속분과), 헌정회 회원 한국학생운동자협의회이사, 불자교수연합회 부회장 동국대학교 기획처장?도서관장?교수회장 역임 <저서> 『한국서사문학과 통과의례』(집문당, 1995) 『불교민속학의 세계』(집문당, 1996) 『한국민간신앙과 문학연구』(동국대출판부, 2002) 『한국불교민속문학연구』(집문당, 2006) 『한국민속문화와 문학』(집문당, 2013)
펼치기
윤열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조선후기 산신탱화(山神幀畵) 연구』로 석사 학위를, 『문자도(文字圖)를 통해 본 민화(民畵)의 지역적 특성과 작가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에밀레박물관과 삼성출판박물관 학예실장, 가천박물관 부관장 등을 역임했고, 2007년부터 2011년까지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2008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민화학회 회장 등으로 활동했다. 2014년에는 한국 민화 해외 전시 관련 공로가 인정돼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2002년에는 수집한 민화를 일반인에게 공개하기 위해 가회민화박물관을 개관했다. 이곳은 민화 2700여 점을 비롯해 전적류, 무신도 등 총 3500여 점의 자료가 소장·전시되어 있으며, 일반인을 위한 민화아카데미 등 교육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 그동안 민화, 벽화 등과 관련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지은 책으로는 『한국호랑이』(열화당, 1986), 『장승과 벅수』(대원사, 1991), 『산신도』(대원사, 1998), 『용, 불멸의 신화』(대원사, 1999), 『신화 속 상상동물 열전』(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10), 『알고 보면 반할 민화』(태학사,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동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39년 경상북도 경주 출생.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졸업. 성균관대학교 조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한문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용재석좌교수 역임. 현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한국한문학학회 회장, 한국실학학회 회장, 퇴계학 연구원 부원장, 문화재청 문재위원회 위원, 한국고전번역원장 등 역임. 저서 『실학시대의 사상과 문학』(지식산업사, 2006년), 『고전시대의 사상과 문학』(지식산업사, 2023년), 『도학시대의 사상과 문학』(지식산업사, 2023년), 『번역과 해설 삼국유사』(서연비람, 2023) 등.
펼치기
이어령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3년 11월 13일(음력, 호적상 1934년 1월 15일) 충남 아산에서 태어났으며, 호는 능소凌宵이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문학박사, 문학평론가, 이화여대 석좌교수, 동아시아 문화도시 조직위원회 명예위원장이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조직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등 여러 신문의 논설위원을 지냈으며, 월간 『문학사상』의 주간으로 편집을 이끌었다. 서울 올림픽 개폐회식을 주관했으며 초대 문화부장관을 지냈다. 대표 저서로 『지성에서 영성으로』 『의문은 지성을 낳고 믿음은 영성을 낳는다』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축소지향의 일본인』 『생명이 자본이다』 『젊음의 탄생』 등이 있고, 소설 『장군의 수염』 『환각의 다리』와 시집 『어느 무신론자의 기도』를 펴냈으며, 희곡과 시나리오 「기적을 파는 백화점」 「세 번은 짧게 세 번은 길게」 「사자와의 경주」 등을 집필했다. 2021년 한국문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문화예술 발전 유공자로 선정되어 금관문화훈장을 수상했다. 2022년 2월 26일 별세했다.
펼치기
임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공예학부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미술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한국문화재보호재단 매장문화재 발굴조사실장, 한국전통공예미술관 관장, 전통문양연구소 소장, 홍익대학교 목조형학과 겸임교수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한국문양사』, 『단청』, 『한국전통문양』, 『우리나라 단청』(공저), 『한국전통문양』 등이 있다.
펼치기
조희웅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43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양대학교 전임강사와 국민대학교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일본 규슈대학 객원교수를 지냈다.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학장과 대학원장으로 활동했으며, 한국구비문학회 회장과 한국고전문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구비문학 개설》(공저,1971), 《한국구비문학대계》[서울 도봉구 편(1980), 경기 의정부 남양주군 편(1981), 경기 안성 군 편(1982), 경기 용인군 편(1984)], 《조선 후기 문헌설화의연구》(1980), 《설화학 강요》(1989), 《이야기문학의 모꼬지》(1995), 《한국설화의 유형》(1996), 《고전소설 이본목록》(1999), 《고전소설 작품연구 총람》(2000), 《고전소설문헌정보》(2000), 《Korean Folktales》(2001), 《경기북부구전자료집 1》(2001), 《고전소설 줄거리 집성 1/2》(2002), 《편옥기우기》(공저,2002), 《영남 구전자료집》(8책, 공편, 2003), 《영남 구전민요 자료집》(3책, 공편,2005), 《고전소설 연구보정》(2책, 2006), 《이야기문학 실타래》(2008), 《이야기문학 가을갈이》(2008), 《경판 조웅전》(2008), 《이야기문학 징검돌》(2009), 《완판 조웅전》(2009), 《이야기 망태기》(2책, 2011), 《한국 고전소설 등장인물 사전》(25책,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한국 고전소설사 큰사전》(74책, 지식을만드는지식, 2017), 《소도시 기행》(공저, 2020) 등이 있다. 〈원생몽유록 작자 재고〉(1963) 이후 현재까지 약 백여 편의 논문이 있다. 현재 국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다.
펼치기
홍윤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남도 산청출생 해인농림고등학교(현 진주동명고등학교) 동국대학교 사학과 일본 교토 붓교대학 문학석사, 문학박사 현)동국대학교 명예교수 현)불교민속학회 회장 현)동방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 현)한국전통예수학회 회장 현)(사)진단전통예술보존회 이사장 우현상 수상(1986) 옥조근조훈장 서훈(2000) 교육공로 표창(2000) 동국대를 빛낸 사람들 수상(2001) 제21회 포교대상 공로상 수상(조계종, 2009) 제2회 박헌봉 국악상 수상(2012) 올해의 불자대상(조계종, 2019) [저서목록] 한국불교, 원광대출판국, 1973 한국사(공저), 원광대출판국, 1974 한국불교의레연구(일본), 일본 陸文館, 1976 불교와 민속, 동국대출판국, 1980 한국불화의 연구, 원광대출판국, 1980 정토사상, 한겨례사, 1981 고려불화의 연구, 동화출판공사, 1985 한국의 불교미술, 대원정사, 1986 자비의 미학, 대원정사, 1986 한국불교사의 연구, 교문사, 1988 불화, 대원사, 1989 극락도, 동국대출판국, 1989 만다라, 대원사, 1992 한국불화 畵記集, 가람사연구소, 1995 한국불화의 밀교적 특색, 만다라, 1995 한국 민속학의 세계(3인공저), 집문당, 1996 불교의식구, 대원사, 1996 한국의 불교미술(개정증보판), 대원정사, 1997 한국의 가람, 민족사, 1997 문화유산의 전통과 향기, 민족사, 2000 한국사상사 입문(공저), 한국사상사학회, 2007 불교문화와 민속, 동국대출판부, 2012 연사홍윤식의 불교문화기행, 도서출판동인, 2019
펼치기
정양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의 대표적인 미술사학자로, 1934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호는 소헌(笑軒)이다. 1958년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1962년부터 38년간 국립중앙박물관에 근무하며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장, 국립경주박물관장,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지냈다. 문화재위원회 위원장, 한국미술사학회 회장, 한국고고미술연구소 소장, 경기대학교 전통예술감정대학원 석좌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회장, 국민대학교 문화예술사료자문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한국미술발전연구소를 열고 도자 연구를 거듭하며, 후학 양성과 저술에도 힘쓰고 있다. 저서로 『한국 도자 감정(전3권)』 『한국의 도자기』, 『너그러움과 해학』, 『조선시대 화가 총람』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백자론」, 「조선 전기의 화론」, 「18세기 청화백자에 대하여」 등 다수가 있다. 문화유산 보호 공로로 은관문화훈장(2005년)을 수상했다.
펼치기
김학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국문과 명예교수, 서울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받음. 성균관대 문과대학장과 번역·테솔 대학원장 및 한국시가학회 회장 역임. 한국시조학술상, 도남국문학상, 만해대상 학술부문 수상. 저서로 <한국고전시가의 연구>, <한국고전시가의 정체성>, <한국고전시가의 전통과 계승> 등 다수 있음.
펼치기
안형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 장흥에서 태어났으며 아호는 매촌(梅村)이다. 연세대 농업개발원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두 차례에 걸쳐 매화전을 열었고 대한민국예술분재문화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상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법학과 및 경북대학교 대학원(법학과) 졸업. 고등고시 행정과 합격. 진주시 시장, 산림청 청장, 대구광역시 시장, 경상북도 도지사, 내무부 장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한국토지공사 사장, 건설부 장관, 학교법인 영광학원(대구대학교) 이사장. :: 저 서 :: <지방세개론>(보문출판사, 1979), <지방재정론>(계명사, 1982), <波臣의 눈물>(범우사, 1997),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1·2·3>(넥서스, 1998), <우리 꽃문화 답사기>(넥서스, 1999), <백년설 평전-오늘도 걷는다마는>(선, 2003), <매화>(넥서스, 2002) 등
펼치기
장숙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0년 출생, 이화여자대학교 문리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의류직물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여대 대학원 의류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05년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생활환경대학 의류직물학과 교수 및 동대학 담인복식미술관 관장으로 있다. 여러 차례 전통 장신구 해외 전시를 가졌고 전통 장신구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지은 책으로 <전통 장신구>, <전통 남자 장신구>가, 논문으로 '우리나라 망건식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가미 가이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쿄대학교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문학, 비교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고 현재 대츠카야마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김용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를 졸업했다. 한양대학교 국악과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수학자이자 사상가로 2008년 현재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및 한일축제한마당 실행위원장으로 있다. 저서로는 <한중일의 역사와 미래를 말 한다> 등이 있다.
펼치기
박종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일어교육과를 졸업하고 일본 고베대학교 대학원에서 일본문학을 전공했다.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일본 고베대학교 대학원 비교문화론 강좌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선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에서 미술사로 석사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회화사에 관심을 갖고 사군자화를 비롯한 문인들의 그림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대우재단 연구원을 지냈으며, 아주대, 명지대 등 여러 대학 강사를 거쳐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HK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는 호남지방문헌연구소에서 호남 서화 연구에 매진하면서, 전남 국제수묵 프레비엔날레 큐레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호남의 감성으로 그리다』(전남대학교출판부, 2014), 『사군자, 매란국죽으로 피어난 선비의 마음』(돌베개, 2011), 『선비의 벗 사군자』(보림출판사, 2005), 『한국의 미술가』(공저, 사회평론, 2006) 등이 있다. (이메일 : lsosun@hanmail.net)
펼치기
최박광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도쿄대학교 대학원 비교문학 박사과정 수료. 성균관대학교 교수 및 한국비교문학회 회장 역임. 도쿄대학교 초빙교수(강의담당). 고베학원대학(神戶學院大學) 초빙교수. 덴리대학(天理大學) 초빙교수 역임.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중국 산둥대학(山東大學) 객좌교수. 지은책 《동아시아의 문화표상》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매화―한중일 문화코드 읽기》, 옮긴책 타니구치 히로유키 《현대국제관계론 입문》 니시다 기타로 《선의 연구》 다카하시 스스무 《퇴계 경철학》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