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동양문화읽기
· ISBN : 9788984982901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03-10-30
책 소개
목차
한·중·일 문화 코드 읽기를 펴내며
이 책을 여는 말|매화 문화권의 텍스트 읽기
매화의 어원과 관련어 풀이|매화의 이름을 찾아서
1부 매화와 종교 상징
하나, 매화 문화의 시발점|중국, 공자는 매화를 몰랐다
둘, 맑고 참다운 매화와 성리학|한국, 퇴계는 왜 매화를 사랑했는가
셋, 선불교와 매화 상징|일본, 도겐과 깨달음의 꽃
넷, 민간 신앙 속의 매화|한국의 무속, 일본의 천신
2부 문학 속의 매화
하나, 얼음과 눈 속에서 피는 시인 정신|중국의 한시
둘, 가난한 선비가 부르는 아치고절|한국의 시조와 시가
셋, 매화와 벚꽃의 경주|일본의 『만요슈』와 와카
넷, 이야기 속의 매화|한중일의 서사 문학 속의 매화
3부 회화와 공예품 속의 매화
하나, 세한삼우와 사군자의 원류|중국, 중인에서 시작된 묵매
둘, 부러진 줄기의 가지 위에 핀 꽃|한국, 어몽룡의 [월매도]와 그 전통
셋, 병풍 위에 핀 현란한 홍매|일본, 고린의 창매와 우키요에의 매력
넷, 도자기 위의 빙자옥질|한중일의 도자기와 매화
다섯, 민중의 삶을 보여 주는 민화|한국의 화조 병풍 속의 매화
4부 생활 속의 매화
하나, 아름다운 여인을 가꾸는 꽃|한국 여인들의 장신구와 매화
둘, 무사의 신의를 표현한 매화|일본의 매화 문장
셋, 장생불사의 선약|한중일의 매실의 식용과 약용
넷, 사랑방을 장식한 매화|한국의 문방구와 목공예 속의 매화
다섯, 옷 가득 향기 스미고 달 그림자 몸에 닿네|한국과 중국의 관매, 상매, 탐매
여섯, 봄을 갈구하던 선비들의 낭만적 풍습|한중일의 구구소한도와 길상우의도
일곱, 순결과 호색의 양면성을 지닌 매화|한국과 중국에서 기녀와 여인을 상징한 매화
여덟, 높은 선비 섣달 매화를 아주 좋아해|한국의 매화 기르는 법
아홉, 신비한 능력을 지닌 매화나무 지팡이|일본의 매화나무에 대한 속신, 속설
열, 매가 만들어 낸 심성의 단편들|한중일의 관련 용어와 속담
5부 오늘날의 매화
하나, 현재 동양 3국에서 매화는 어떤 상징을 갖는가|오늘날의 매화
둘, 동방의 예지와 성자의 의미|한국의 현대시에 나타난 매화
셋, 아직도 매화는 살아 있다|한중일의 매화 산업
넷, 찰미과고매, 선암매, 가류바이|한중일의 고매와 명매
다섯, 현존하는 야생매|한중일의 야생매
책을 닫으며|매화 문화권으로 본 한중일의 문화
부록
매화를 소재로 한 한중일의 명시·명문/ 한중일에서 '매'가 들어가는 지명
한중일의 명매·고매/ 찾아보기/ 참고 문헌/ 집필진 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