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88930316064
· 쪽수 : 524쪽
· 출판일 : 2013-05-30
책 소개
목차
朝鮮前期 敍事文學과 通過儀禮
Ⅰ. 머리말
Ⅱ. 傳統儀禮와 通過儀禮
Ⅲ. 上古 敍事文學과 通過儀禮
Ⅳ. 古小說에 나타난 通過儀禮
Ⅴ. 맺음말
<사씨남정기>에 반영된 固有思想
Ⅰ. 머리말
Ⅱ. 西浦의 양면성
Ⅲ. 숙종대의 현실인식
Ⅳ. <사씨남정기>에 나타난 고유사상
Ⅴ. 맺음말
서포 김만중의 사상
Ⅰ. 머리말
Ⅱ. 시대상과 서포의 처신
Ⅲ. 서포의 진보적 사상
Ⅳ. 『사씨남정기』에 반영된 사상
Ⅴ. 맺음말
龍潭遺詞에 나타난 思想的 背景攷
Ⅰ. 머리말
Ⅱ. 國內外 政勢와 水雲의 得道
Ⅲ. 龍潭遺詞에 나타난 思想
Ⅳ. 맺음말
동학가사의 근대지향성
1. 머리말
2. 수운(水雲)의 일생과 시대상황
3. 『용담유사』에 나타난 근대적 요소
4. 맺음말
불교와 민속신앙
Ⅰ. 머리말
Ⅱ. 불교민속의 대상과 불교의례
Ⅲ. 三神信仰과 巫佛習合
Ⅳ. 맺음말
세시풍속과 불교
1. 머리말
2. 세시풍속의 역사와 종교
3. 세시풍속과 불교
4. 맺음말
佛殿四物의 詩世界 고찰
Ⅰ. 머리말
Ⅱ. 불교의 聖四物 악기
Ⅲ. 시가문학에 나타난 사물
Ⅳ. 맺음말
삼각산의 문화사적 고찰
Ⅰ. 머리말
Ⅱ. 산천숭배신앙
Ⅲ. 암석숭배신앙
Ⅳ. 문학작품 속에 나타난 삼각산
Ⅴ. 맺음말
삼신신앙과 기자의례
Ⅰ. 머리말
Ⅱ. 단군신화와 산신숭배사상
Ⅲ. 기자의례(祈子儀禮)와 산속(産俗)
Ⅳ. 변신모티프와 금기사항
Ⅴ. 三神信仰의 교조-단군의 창조신앙
Ⅵ. 맺음말
군위군의 민속문화와 문학
1. 머리말
2. 민간신앙
3. 민속놀이
4. 구비문학
5. 맺음말
민요에 나타난 여성
Ⅰ. 머리말
Ⅱ. 첩속(妾俗)과 첩요(妾謠)
Ⅲ. 과부(寡婦)와 청상요(靑孀謠)
Ⅳ. 맺음말
울산시지역 바닷가 마을의 洞祭 현황과 특징
Ⅰ. 머리말
Ⅱ. 동제 현황과 구체적인 모습
Ⅲ. 제당공간의 특징과 동제의 가치
Ⅳ. 맺음말
甘浦文化遺蹟地表의 民俗學的 調査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