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30313865
· 쪽수 : 358쪽
· 출판일 : 2008-07-10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론
1.1 연구 목적과 방법
1.2 연구 범위
1.3 충남 방언 구획
1.4 충남 방언 연구 개관
1.5 현장 조사와 구술 자료
1.5.1 현장 조사와 제보자
1.5.2 구술 발화의 문헌 자료
제2장 충남 방언의 조사
2.0 들어가는 말
2.01 연구 방법 및 범위
2.02 연구 동향
2.1 조사의 형태 음운
2.1.1 상승 모음화
2.1.2 하강 모음화
2.1.3 음운 첨가
2.1.4 자음 교체
2.2 격조사
2.2.1 주격 조사
2.2.2 목적격 조사
2.2.3 관형격 조사
2.2.4 부사격 조사
2.2.5 접속 조사
2.2.6 호격 조사
2.3 보조사
2.3.1 보조사 목록
2.3.2 ‘-부터’
2.3.3 ‘-까지’
2.3.4 ‘-도/-두’
2.3.5 ‘-할래’, ‘-할채’
2.3.6 ‘-한지’
2.3.7 ‘-조차, -마저’와 ‘-할래, -한지’
2.3.8 ‘-말루’
2.3.9 ‘-마따나’: ‘-앙쿠’
2.3.10 ‘-사리’와 ‘-커냥’; ‘-카장’
2.3.11 ‘-일랑’
2.3.12 ‘-은/는’
2.3.13 ‘-마다’와 ‘-도리’
2.3.14 ‘-만치’와 ‘-마냥’, ‘-만도’와 ‘-만이나’
2.3.15 ‘-보다’
2.3.16 ‘-들’
2.3.17 ‘-야’, ‘-사’
2.3.18 ‘-배끼(밖에)’
2.3.19 ‘-그려/-그랴’, ‘-그료/-류’
2.3.20 ‘-요/-유’
2.3.21 ‘-란대두’
2.3.22 ‘-바틀루’
2.3.23 그 밖
2.4 마무리
제3장 충남 방언의 어미
3.0 들어가는 말
3.1 연결 어미
3.1.1 ‘-(으)면’: ‘-문, -믄, -먼’
3.1.2 ‘-(으)며’: ‘-(으)메’; ‘-(으)면서’: ‘-마’, ‘-ㅁ서’
3.1.3 ‘-자면’: ‘-자매, -매’
3.1.4 ‘-어야’: ‘-으/이야’, ‘-으야구’
3.1.5 ‘-어서’: ‘-어서나/루’, ‘-놔(노+아)서’, ‘-어설랑/설람’
3.1.6 ‘-고서’: ‘-구서나/-구서루’, ‘-구설랑/-구설람’
3.1.7 ‘-도록’: ‘-도락/-더락/-드락’, ‘-드래’, ‘-리’
3.1.8 ‘-ㄹ수록’: ‘-다락’, ‘-수록에’, ‘-ㄹ쓰락/쑤럭’
3.1.9 ‘-니까’: ‘-니께, -응깨, -닝깨, -닝깨루, -닝깐’
3.1.10 ‘-ㄴ디’, ‘-깐디’, ‘-깐ø’
3.1.11 ‘-듯이’: ‘-드끼, -디끼, -더끼’
3.1.12 ‘-다가’
3.1.13 ‘-자마자’: ‘-말루’
3.1.14 ‘-거든’: ‘-거들랑’, ‘-걸랑’, ‘-건낭’
3.1.15 ‘-깨미’, ‘-까미’, ‘-까미러’, ‘-깜니’, ‘-깨미서는’
3.1.16 ‘-게’: ‘-게끔’
3.1.17 ‘-들/덜’, ‘-도/두’, ‘-던/든’
3.1.18 ‘-(으)러’: ‘-으루’, ‘-(으)ㄹ라/랴구’, ‘-(으)ㄹ래나’
3.1.19 ‘-(으)러면’: ‘-(으)ㄹ람’
3.2 종결 어미
3.2.1 형태 음운 변이
3.2.2 ‘-(느)ㅇ가’
3.2.3 ‘-(느)냐’, ‘-나’
3.2.4 ‘-ㄴ대’: ‘-댜’
3.2.5 ‘-래’: ‘-랴’
3.2.6 ‘-감’, ‘-남’, ‘-담’
3.2.7 ‘-가디, 가니’, ‘-간/-깐’, ‘-간디/-깐디’
3.2.8 ‘-X야/여’: ‘-겨/갸’, ‘-랴’, ‘-텨>쳐’
3.2.9 ‘-X요/유’: ‘-쇼/슈’, ‘-규’, ‘-뷰’, ‘-튜’
3.2.10 ‘-데’
3.2.11 ‘-다구’
3.2.12 ‘-(으)까나’
3.2.13 ‘-시다’
3.3 시간 표현 어미
3.3.1 ‘-느-’
3.3.2 ‘-노-, -너-, -느-, -누-’
3.3.3 ‘-었-’
3.3.4 ‘-었었-’
3.3.5 ‘-었는-’
3.3.6 ‘-었더-’: ‘었드랬-’, ‘-었더래-’, ‘-었드래/랴-’
3.3.7 ‘-었겠-’
3.3.8 ‘-더-’
3.3.9 ‘-겠-’, ‘-겄/갔-’
3.3.10 ‘-(으)ㄹ텨, -(으)ㄹ쳐, -(으)ㄹ튜’
3.3.11 ‘-(으)ㄹ껴, -(으)ㄹ뀨’
3.3.12 ‘-(으)ㄹ꺼-’
3.3.13 ‘-(으)ㄹ리’
3.3.14 ‘-(으)ㄹ려-’
3.3.15 ‘-(으)ㄹ러-’
3.4 융합 어미 ‘-데’와 ‘-댜’
3.4.1 ‘-데’의 통사와 의미
3.4.2 ‘-댜’의 통사와 의미
3.4.3 ‘-데’와 ‘-댜’의 차이
3.5 마무리
제4장 충남 방언의 보조 용언
4.0 들어가는 말
4.01 연구 목적
4.02 연구 동향
4.1 ‘-번지다’
4.1.1 ‘-번지다’와 ‘-버리다’의 성격
4.1.2 ‘-번지다’의 통사 구성
4.1.3 ‘-번지다’와 ‘-버리다’의 통사와 의미
4.1.4 ‘-번지다와 ‘-버리다’의 차이
4.2 ‘-쌓다’
4.2.1 ‘-쌓다’와 ‘-대다’의 성격
4.2.2 ‘-쌓다’의 통사와 의미
4.2.3 ‘-쌓다’와 ‘-대다’의 차이
4.3 ‘-보다’의 융합형 ‘-벼’와 ‘-깨미’
4.3.1 ‘-보다’의 통사와 의미
4.3.2 ‘-벼’의 통사와 의미
4.3.3 ‘-깨미’의 통사와 의미
4.4 그 밖
4.4.1 ‘-쓰다’
4.4.2 ‘-놓다’
4.4.3 ‘-싶다’: ‘-접다, -접프다’
4.4.4 ‘-상부르다’와 ‘-상싶다’
4.4.5 ‘-지다’
4.5 마무리
제5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