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30315036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1-02-15
책 소개
목차
제1장 장애, 장애인의 개념정의
1. 장애인 용어의 등장과 논란
2. 장애인 복지의 이념적 고찰 및 장애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
1) 장애인 복지의 이념적 고찰
2) 장애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
3. 국제 사회에서의 장애 개념
1) ICIDH
2) ICIDH-2
3) ICF
4. 한국의 장애 개념
제2장 시기별 역사적 변천
1. 전통시대 및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
1) 전통시대
2)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
2. 장애 특수화 단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1960년
3. 장애 일반화 초기 및 보호단계: 1961-1976년
1) 노동
2) 교육
3) 장애인 복지시설
4) 편의시설 및 재활보조기기
5) 문화 및 여가활동
6) 정보통신
7) 장애인 인권운동
8) 국제적 흐름과 국제 교류
4. 장애 일반화 정착 및 제도 도입 단계: 1977-1988년
1) 장애인 기본 정책 및 법제 수립
2) 노동
3) 교육
4) 장애인 복지시설
5) 편의시설 및 재활보조기기
6) 문화 및 여가활동
7) 장애인 인권운동
8) 국제적 흐름과 국제 교류
5. 장애 대중화 초기 및 제도 정착 단계: 1989-1997년
1) 기본 정책 및 법제
2) 노동
3) 교육
4) 장애인 복지시설
5) 편의시설 및 재활보조기기
6) 문화 및 여가활동
7) 정보통신
8) 장애인 인권운동
9) 국제적 흐름 및 국제 교류
6. 장애 대중화 성숙 및 제도 발전 단계: 1998-2007년
1) 기본 정책 및 법제
2) 노동
3) 교육
4) 장애인 복지시설
5) 이동권을 비롯한 편의시설 및 재활보조기기
6) 문화 및 여가활동
7) 정보통신
8) 장애인 인권운동
9) 국제적 흐름과 국제 교류
7. 장애 개별화 및 인권성숙사회 준비기: 2008년 이후
제3장 한국의 장애인 복지 전망
1. 교육권 확보와 통합교육 환경 조성
2. 소득보장 지원 체계 마련
3. 노동권 확보
4. 문화 향유 및 예술활동 지원
5. 생애주기별 서비스 개발과 자립생활 지원
6. 주거공간 확보와 탈시설화
7. 장애여성의 다양한 욕구에 따른 차별화 전략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