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88930315203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1-08-22
책 소개
목차
제1부 무가의 자료 개관
1. 무가의 전반적 특징
2. 고시가 속의 무가
1) 구지가(龜旨歌)와 해가(海歌)
2) 도솔가
3) 신라 처용가
4) 고려 처용가
5)『시용향악보』소재 무가 자료
3. 구비무가 채록자료
1) 일제 강점기
2) 광복 이후
제2부 무가의 장르별 검토
1. 무가의 분류
2. 서정무가
1) 노랫가락
2) 대감타령
3) 창부타령
3. 교술무가
1) 역사의 약술
2) 무의 준비과정의 약술
3) 청배(請陪)
4) 노정기(路程記)
5) 공수
6) 찬신
7) 축원
4. 서사무가
1) 서사무가의 시원(始源)과 형성
2) 서사무가의 유형별 검토
가. 본토의 서사무가
(1) 창세신화(創世神話)
(2) 일월노리푸념
(3) 제석본풀이
(4) 바리공주
(5) 성주본가
(6) 성조푸리(成造神歌)
(7) 칠성풀이
(8) 장자풀이
나. 제주도 서사무가
(1) 이공본풀이
(2) 삼공본풀이
(3) 세경본풀이
(4) 차사본풀이
(5) 원천강본풀이
(6) 토산당본풀이
(7) 궤눼깃당 본풀이
5. 희곡무가
1) 희곡무가의 시원
2) 희곡무가의 자료 검토
(1) 양주 소놀이굿
(2) 도산말명방아찜굿
(3) 동해안 거리굿
(4) 동해안 도리강관원놀이
(5) 동해안 중잡이놀이
(6) 동해안 범굿
(7) 제주도 세경놀이
(8) 제주도 영감놀이
(9) 제주도 삼공맞이
3) 희곡무가의 연행적 특징
4) 희곡무가의 주제적 특징
(1) 골계적 성격
(2) 일상생활의 재현
(3) 성(性)의 노출(露出)
제3부 무가의 전반적 검토
1. 무가의 전승원리
2. 무가에 나타난 여러 관념
1) 신관
2) 이계관
3) 윤리관
3. 무가의 문학사적 의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