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에서 문학박사.
숭실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대학교 교수 역임.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명예교수.
저서로 《한국시가 구조 연구》, 《한국시의 전통연구》, 《시조유형론》, 《시가 시학 연구》, 《우리 시의 틀》, 《한국의 고전시가》, 《통일 이후의 문학교육》 등이 있음.
펼치기
박희병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문학자, 사상사 및 예술사학자. 1996년부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오랜 시간 깊이 있는 고전문학 강의를 해오며 인생의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는 학생들에게 지침이 되어주었다. 주요 저서로 『통합인문학을 위하여』 『한국고전소설 연구의 방법적 지평』 『능호관 이인상 서화평석』 『범애와 평등』 『나는 골목길 부처다』 『연암과 선귤당의 대화』 『저항과 아만』 『유교와 한국 문학의 장르』 『연암을 읽는다』 『한국의 생태사상』 『엄마의 마지막 말들』 등이 있으며 다수의 편역서 및 논문을 냈다.
펼치기
서대석 (엮은이)
정보 더보기
아호는 담촌(譚村), 경기도 양평에서 태어나 원덕국민, 양평중을 거쳐 휘문고,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에 입학,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계명대학·이화여대·서울대 교수, 한국구비문학회 회장, 한국고전문학회 회장, 국어국문학회 대표이사를 역임하고 현재는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어국문학회 평의원, 진단학회 평의원, 한국고전문학회 평의원, 한국구비문학회 평의원, 한국판소리학회 평의원, 한국무속학회 고문으로 활동하였으며, 제21회 출판문화상 저작상(한국일보사), 국민훈장 홍조근정훈장, 제2회 우호학술상(비교문학분야), 제24회 수당상(인문사회분야)을 수상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구비문학개설(공저, 1971), 한국무가의 연구(1980),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1985), 조선조문헌설화집요 I·II(1991), 한국문학강의(공저, 1994), 구비문학(1994), 한국의 신화(1997), 한국신화의 연구(2001), 한국구비문학에 수용된 재담연구(2004), 한중소화의 비교(2007), 무가문학의 세계(2011), 이야기의 의미와 해석(2011), 구비문학의 세계(2013), 笑天笑地(풀어옮김/2013), 韓國神話硏究(徐大錫 著·劉志峰 譯/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혜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국문학석사.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비교문학석사.
중국 대만 국립대만사범대학교 중국문학박사.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국문학과 명예교수.
저서로 《고려 전기 한문학사》, 《조선통신사의 문학》, 《조선조 후기 여성 지성사》, 《전통과 수용-한국 고전문학과 해외교류》 등이 있음.
펼치기
조남현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건국대학교와 서울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 『삶과 문학적 인식』(1988), 『한국현대소설의 해부』(1994), 『한국 현대문학사상 연구』(1996), 『1990년대 문학의 담론』(1998), 『한국 현대문학사상 논구』(1999), 『한국현대작가의 시야』(2005), 『한국 현대문학사상의 발견』(2008), 『한국현대소설사 1·2』(2012), 『한국 문학잡지사상사』(2012), 『한국현대소설사 3』(2016), 『6 ·25대하소설 연구』(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조동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9년 경북 영양 출신
1958년부터 서울대학 불문․국문과 학사, 국문과 석․박사
1968년부터 계명대학․영남대학․한국학대학원․서울대학 교수
2004년부터 서울대학 명예교수, 2007년부터 대한민국학술원회원
《한국문학통사》, 《문학사는 어디로》, 《대등의 길》 등 저서 다수
펼치기
오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2년 전남 영광에서 태어나 전남의 장성과 광주, 전북의 전주에서 성장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1968년 박목월에 의해 『현대문학』 추천을 받아 등단했다. 시집 『사랑의 저쪽』 『바람의 그림자』 『마른 하늘에서 치는 박수소리』 등 29권, 학술서 및 산문집 『시론』 『한국현대시분석적 읽기』 등 24권이 있다. 만해문학상, 목월문학상, 정지용문학상, 소월시문학상, 고산문학상 등과 국가로부터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시집 『밤하늘의 바둑판』 영역본은 미국의 문학비평지 Chicago Review of Books에 의해 2016년도 전 미국 최고시집(Best Poetry Books) 12권에 선정되었다. 영어, 불어, 독일어, 스페인어, 체코어, 러시아어, 중국어, 일본어 등으로 번역된 시집들이 있다. 한국시인협회장을 지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예술원 회원이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