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30317061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5-12-10
책 소개
목차
Ⅰ부. 돈에 관한 한국인의 인식, 한국인의 논의
Ⅱ부. 돈의 문학사, 거기에 드러난 한국인의 재물 인식
1장. 「화식전(貨殖傳)」의 재물관에 영향을 받은 조선 문인
1. 돈 문제 중심의 「화식전」 읽기 문화의 예: 조봉묵의 「공방전」
2. 「화식전」 수용의 경향과 조선 후기의 현실
3. 「공방전」에 드러나는 조봉묵의 재물관
4. 「화식전」 재물관의 영향을 받은 조선 문화의 증거
2장. 송순기의 「전신전」으로 읽는 한국 사람의 재물관
1. 새로 발굴한 공방전류 가전, 송순기의 「전신전」
2. 「전신전」의 실상과 서술 특징
3. 「전신전」 서술의 미적 특성
4. 「전신전」 바탕의 인식
5. 탁신처(託身處)의 의미와 작가 삶과의 관련 가능성 탐색
3장. 고소설에 드러난 노년의 형상
1. 돈의 또 다른 일면, 노년 준비
2. 노년 규정의 특성
3. 고소설에 나타난 노년 삶의 구체적 모습
4. 노년 양상의 의미
5. 노년 양상에 담긴 민중의 바람, 그 긍정적이면서도 부정적인 상황
Ⅲ부. 돈의 문화사와 삶의 가치 지향
1장. 「화식전(貨殖傳)」 수용 문화로 읽는 돈의 문화사
1. 「화식전」 읽는 문화의 특이성
2. 「화식전」 서술의 특징과 그것을 읽는 문화
3. 「화식전」 수용의 전개와 위상 고조
4. 경제 문제 대두와 경제서로서의 「화식전」 향유
5. 「화식전」 수용사와 사회경제 인식의 변이 과정의 거리
2장. 조선 사람들이 보인, 부유해진 후 삶의 전환
1. 야담을 이용한, 삶의 여정에 따른 의식 변화 살피기
2. 부 이후 삶의 이야기가 전개되는 네 가지 양상
3. 부 이후 서사 처리 양상으로 본 부에 대한 다양한 인식
4. 부 이후 삶에 대한 논의의 현대 사회 교육적 의의
3장. 기독교 전래에 따른 인식의 변화와 나눔 인식의 향방
1. 기독교 절제운동과 돈 문제를 다룬 출판물의 집중 출간
2. 일제 강점기 기독교적 재물 인식의 특징
3. 전통적 재물 인식과 기독교 재물 인식의 차이
4. 재물에 대한 새 인식이 나눔 문제와 연관되는 지점
Ⅳ부. 우리 선인들의 가치 기반과 나눔 문화의 가능성
1장. 돈 명명(命名)에 드러난 가치 기반, 그 나눔으로의 연결 가능성
2장. 나눔 문화의 연원 탐색
1. 나눔의 한국적 연원 탐구의 필요성
2. 「차마설」 논의와 확장: 나는 남에 기대어 산다
3. 「의재기」 논의와 확장: 가족을 확산하는 나눔
3장. 조선 후기 도(道)와 돈의 가치 지향의 충돌과 조화
1. 가치 지향의 막다른 골목에서 맞닿은 현실
2. 새로운 인물형의 등장
Ⅴ부. 돈의 소비와 나눔의 지평
1장. 재물과 관련한 인간의 변화 계기와 방향
1. 변하는 계기 서술의 방식
2. 변화의 방향과 의미
2장. 조선시대 이상적 부자와 부자의 사회적 책임
1. 도를 중시하는 세상의 이상적 부자
2. 부자의 의무와 그것의 또 다른 의미
3. 돈의 성격 이해부터 좋은 부자의 예까지
3장. 우리 역사에 실존한 긍정적 부자
1. 이규상이 「김부자전(金富者傳)」에서 소개한 김한진
2. 이규상이 그린 김한진의 삶
3. 조선시대 치부담과 비교한 「김부자전」의 특성
4. 이규상의 「김부자전」 서술의 시대적 의의
5. 이외 우리 역사에 실존한 긍정적 부자들
Ⅵ부. 나눔 논의의 현대적 확산을 기대하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