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방랑시인 김삿갓 시집

방랑시인 김삿갓 시집

(개정증보판)

김병연(김삿갓) (지은이), 이명우 (엮은이)
집문당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0원
20,000원 >
20,000원 -0% 0원
0원
2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방랑시인 김삿갓 시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방랑시인 김삿갓 시집 (개정증보판)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88930317610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17-10-30

책 소개

<방랑시인 김삿갓 시집> 개정증보판. 초판에 실려 있던 250수에 그동안 저자가 새로 발굴한 42수를 더하니 292수가 되는데, 그 중에 김삿갓의 작품이 아니거나 의심이 가는 4수를 뺀 288수를 개정증보판에 실었다.

목차

개정 증보판(改訂 增補版)을 내면서
이 책을 엮으며

Ⅰ. 과체시편(科體詩篇)
1. 김병연(金炳淵)이 삿갓을 쓰고 방랑시인이 된 내력
2. 논정가산충절사탄김익순죄통우천(論鄭嘉山忠節死嘆金益淳罪通于天)
3. 내 평생을 돌아보며(蘭皐平生詩)
4. 천지자만물지역려(天地者萬物之逆旅)
5. 희우정(喜雨亭)
1.1.1.

Ⅱ. 애정시편(愛情詩篇)
6. 베 짜는 모습을 보며(織錦)
7. 가련에게 준 시(可憐妓詩)
8. 회갑을 맞이한 노인에게(贈還甲宴老人)
9. 첫날밤에(初夜)
10. 명기 가련(名妓可憐)
11. 가인(佳人)
12. 이별(離別) ①
13. 이별(離別) ②
14. 김삿갓을 보내고 가련이 지은 시
15. 오디(桑實)
16. 평양기생(平壤妓生)
17. 송편(松餠)
18. 어두운 밤에 홍련을 찾아(暗夜訪紅蓮)
19. 별리(別離)의 정(情) ①
20. 별리(別離)의 정(情) ②
21. 별리(別離)의 정(情) ③
22. 가을바람에 미인을 찾아왔다가 만나지 못하고(秋風訪美人不見)
23. 회양 사또와의 이별 ①
24. 사또와의 이별 ②
25. 사모곡(思母曲)
26. 기생 금화에게 주는 시(贈妓)
27. 여걸 기생 금화(女傑 妓生 錦花)
28. 죽향(竹香)을 위로함
29. 강변 이별(江邊離別)
30. 아무개 여자에게 줌(贈某女)
31. 완월정(玩月亭)에서 홍련과 함께 지음
32. 길에서 처음 만나고(街上初見)<其一> 김삿갓이 명순에게 지어준 시
33. 길에서 처음 만나고(街上初見)<其二> 김삿갓의 애인 명순의 답 시
34. 길에서 처음 만나고(街上初見)<其三> 명순(明順)이 김삿갓에게 지어준 시
35. 만사(輓詞)
36. 시경을 외우는 어느 촌녀(村女)의 수답(酬答) 四首
37. 학성에 미인을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함(鶴城訪美人不見)
38. 마도에서(馬島)
39. 이씨 댁의 셋째 딸(李氏之三女吟)
40. 쟁계암(爭鷄巖)

Ⅲ. 인간, 인생(人間, 人生)
41. 죽 한 그릇(粥一器)
42. 역발산(力拔山)
43. 회양 땅을 지나던 때에(淮陽過次)
44. 거짓말을 읊은 시(虛言詩) 二首 中 其一
45. 거짓말을 읊은 시(虛言詩) 二首 中 其二
46. 갓 쓴 어린 신랑을 조롱함(嘲幼冠者)
47. 서당 훈장을 훈계함(訓戒訓長)
48. 곱사등이(佝僂)
49. 한식날 북루에 올라(寒食曰 登北樓吟)
50. 노파(老嫗)
51. 수연시(壽宴詩)
52. 훈장(訓長)
53. 꽃을 피하기는 어려움(難避花)
54. 양반론(兩班論)
55. 춘흥(春興)
56. 지관을 조롱함(嘲地官)
57. 풍수를 조롱함(嘲地師)
58. 점쟁이(術客)
59. 혼자 읊음(自詠)
60. 걸인의 시체를 보고(見乞人屍)
61. 팔대가의 이름으로 쓴 시(八大家詩)
62. 시력이 약해진 눈(眼)
63. 게으른 여자(懶婦) ①
64. 게으른 여자(惰婦) ②
65. 게으른 여자(惰婦) ③
66. 옳은 것은 옳고 그른 것은 그르다(是是非非詩)
67. 즉흥시(卽吟)
68. 처와 첩에게 장난으로 쓴 시(戱贈妻妾)
69. 송아지 값 고소장(犢價訴狀)
70. 청상과부의 곡(哭)을 보고(輓歌)
71. 비(雨)
72. 추야(秋夜)에
73. 늙어서 읊음(老吟)
74. 새벽 종소리를 들으며(聽曉鐘)
75. 하루 종일 머리를 굽실굽실하는 손(盡日垂頭客)
76. 혼자 상심하며(自傷)
77. 잠꾸러기 여인(多睡婦)
78. 아내의 죽음을 애도함(喪配自輓)
79. 늙은 기생에게 주는 시(贈老妓)
80. 노인의 자조(老人自嘲)
81. 산을 구경하며(看山)
82. 가을밤에 우연히 읊음(秋夜偶吟)
83. 배 띄워 놓고 술에 취하여(泛舟醉吟)
84. 우연히 읊음(偶吟)
85. 우연히 감회에 젖어(偶感)
86. 물고기의 배에 장사지냄(魚腹葬)
87. 무덤에 대한 소송(山所告訴狀)
88. 대장장이의 소송을 씀(冶匠之訴題)
89. 무덤에 관한 다툼(墓爭)
90. 아내를 빼앗기고 소송을 제기함(義興人失其妻於本郡冊方爲定訴於本郡)
91. 변방에 나가(出塞)
92. 파격적으로 쓴 소장(破來訴題)
93. 조운경과 함께 누각에 올라(與趙雲卿上樓)
94. 사향(思鄉) ①
95. 사향(思鄕) ②
96. 향수(鄕愁)
97. 과음 경계(過飮 警戒)
98. 나무꾼(樵客)
99. 이사난(移徙難)
100. 물속에 비치는 자신을 보고
101. 승속문답(僧俗問答)
102. 사신(使臣)
103. 숨어사는 선비(隱士)
104. 괴촌 유선비에게 답함(槐村答柳雅士)

Ⅳ. 방랑, 걸식(放浪, 乞食)
105. 삿갓을 읊음(咏笠)
106. 인심이 박함(風俗薄)
107. 비를 만나 촌가에서 자며(逢雨宿村家)
108. 괴로운 가난(艱貧) 二首 中 其一
109. 괴로운 가난(艱貧) 二首 中 其二
110. 가난을 탄식함(貧吟)
111. 멱자시(覓字詩)
112. 세상을 경계함(警世)
113. 낙엽을 읊음(吟落葉)
114. 스무나무 아래에서(二十樹下)
115. 강좌수 축객시(姜座首 逐客詩)
116. 장단을 지나며(過長湍)
117. 체념(諦念)의 시(詩)
118. 해 저물어가는 강가 서재에 묵으면서(暮投江齋吟)
119. 산중 노인을 조롱함(嘲山老)
120. 광탄을 지나며(過廣灘)
121. 옥지(屋之)
122. 어려울 난자 시(難字詩)
123. 석백(石白)
124. 그대의 말(爾言)
125. 개성 남산에 올라가서(登開城南山)
126. 공씨 집을 욕하다(辱孔氏家))
127. 키 작은 사냥꾼에게
128. 스스로 탄식함(自嘆)
129. 가을을 읊음(秋吟)
130. 자신을 되돌아보며 우연히 읊음(自顧偶吟)
131. 저물어 강가 서재에서 읊음(暮投江齋吟)
132. 산골 훈장을 비웃음(嘲山村學長)
133. 절에서 푸대접을 받고
134. 농가에서 묵으며(宿農家)
135. 옥구 김진사(沃溝 金進士)
136. 진주 원당리(晋州 元堂里)
137. 윤가 마을을 욕함(辱尹哥村)
138. 관 쓴 연장자를 조롱함(嘲年長冠者) 二首 中 其一
139. 관 쓴 연장자를 조롱함(嘲年長冠者) 二首 中 其二
140. 계룡산에서 내려오는 중에게
141. 안락성을 지나면서 보다(過安樂見)
142. 주막에서 술 마실 것을 생각하며(艱飮野店)
143. 개성축객시(開城逐客詩)
144. 참외(甘瓜)를 얻어먹고
145. 산에서 놀며 읊음(遊山吟)
146. 찾아온 나그네와 함께 힐난하며(與訪客詰拒)
147. 스스로 탄식함(自嘆)
148. 길주 명천(吉州明川)
149. 사자운(四字韻)
150. 가난을 읊음(貧吟)
151. 탁주내기(濁酒來期)
152. 은다리를 건넘(渡銀橋)
153. 장주로 가면서(長州行)

Ⅴ. 영물시편(詠物詩篇)
154. 붓(筆)
155. 그림자를 읊음(吟影) 二首 中 其一
156. 그림자를 읊음(吟影) 二首 中 其二
157. 눈(雪) ①
158. 눈(雪) ②
159. 눈(雪) ③
160. 은덕을 입음(蒙恩)
161. 설경(雪景) ①
162. 설경(雪景) ②
163. 설경(雪景) ③
164. 요강(溺罁)
165. 씨아(攪車)
166. 돈(錢) 二首 中 其一
167. 돈(錢) 二首 中 其二
168. 담뱃대(煙竹) ①
169. 담뱃대(煙竹) ②
170. 갓(冠)
171. 바둑(棋, 碁)
172. 종이(紙)
173. 벼루(硯滴)
174. 콩(太)
175. 발(簾)
176. 맷돌(磨石)
177. 목침(木枕)
178. 낙엽(落葉)
179. 안경(眼鏡)
180. 화로(火爐)
181. 등불(燈火)
182. 죽시(竹詩)
183. 장기 훈수(將棋訓手)
184. 설중한매(雪中寒梅)
185. 화롯불을 쬐며
186. 낙화를 읊음(吟落花)
187. 벌목(伐木)
188. 눈 오는 날(雪曰)
189. 장승(長丞)
190. 연적(硯滴)
191. 오래 묵은 나무(古木)
192. 등불(燈火)
193. 망건(網巾)
194. 원추리(萱草)
195. 정월 대보름날 밤의 달(上元月)
196. 문(門)

Ⅵ. 곤충, 동물(昆蟲, 動物)
197. 새(鳥)
198. 제비(燕子)
199. 개(犬)
200. 갈매기 시(白鷗詩)
201. 닭(鷄) ①
202. 닭(鷄) ②
203. 매(鷹)
204. 늙은 소(老牛)
205. 고양이(猫) ①
206. 고양이(猫) ②
207. 고양이(猫) ③
208. 벼룩(蚤)
209. 이(虱)
210. 개구리(蛙)
211. 잉어(鯉魚)

Ⅶ. 산천, 누각(山川, 樓閣)
212. 금강산(金剛山) ①
213. 금강산(金剛山) ②
214. 금강산(金剛山) ③
215. 금강산(金剛山) ④
216. 금강산(金剛山) ⑤
217. 금강산 백운봉(金剛山 白雲峰) ⑥
218. 금강산(金剛山) ⑦
219. 야귀승(夜歸僧)과의 문답(問答) ⑧
220. 금강산(金剛山) ⑨
221. 금강산의 경치(金剛景) ⑩
222. 금강산에 들어가서(入金剛) ⑪
223. 금강산(金剛山) ⑫
224. 금강산에 들어가(入金剛) ⑬
225. 시승과 함께 읊음(金剛山立石峰下庵子詩僧共吟) ⑭
226. 하운다기봉(夏雲多奇峰) ⑮
227. 금강산(金剛山) ⑯
228. 금강산(金剛山) ⑰
229. 구월산(九月山)
230. 관우를 모신 사랑(關王廟)
231. 안변 표연정(安邊飄然亭) ①
232. 안변 표연정(安邊飄然亭) ②
233. 비 내린 뒤의 경치(霽後回頭詩)
234. 안변 노고봉(安邊 老姑峰)
235. 안변 학성산(安邊 鶴城山)의 산성(山城)에서
236. 함흥 구천각에 올라(登咸興九天閣)
237. 최백담(崔白潭)과의 대련(對聯)
238. 개성 선죽교(開城 善竹橋)에서
239. 대동강 연광정(大同江 練光亭)에서
240. 매화유정(梅花幽情)
241. 청천강(淸川江) 가의 백상루(百祥樓)에서
242. 영남에서의 술회(嶺南述懷)
243. 석굴암(石窟庵)의 조각미(彫刻美)
244. 보림사를 지나며(過寶林寺)
245. 광한루에 올라(登廣寒樓)
246. 문성대(文星臺)에서
247. 묘향산시(妙香山詩)
248. 촉석루(矗石樓)
249. 오동 낙엽(梧桐落葉)
250. 함관령(咸關嶺)에서
251. 낙민루(樂民樓)
252. 송도를 지나며(過松都)
253. 대동강(大同江)
254. 부벽루(浮碧樓)에서
255. 강가의 집(江家)
256. 삼가정(三嘉亭)
257. 개잔령(開殘嶺)
258. 바로 눈앞에 보이는 경치(卽景)

Ⅷ. 파자, 육담(破字, 肉談)
259. 파자시(破字詩) ①
260. 파자시(破字詩) ②
261. 십사자(十四字)로 된 육담(肉談)
262. 김삿갓의 한역시(漢譯詩)
263. 젖을 빨다(嚥乳三章)
264. 빈집에서 읊음(吟空家)
265. 제삿집에 욕함(辱祭家)
266. 옥문(玉門)
267. 천탈관(天脫冠)
268. 서진사(徐進士)에게
269. 원생원(元生員)
270. 조롱하는 시(弄詩)
271. 패담시(悖談詩)
272. 파격시(破格詩)
273. 평양(平壤)
274. 사또의 답장 해독(答狀解讀)
275. 승속문답(僧俗問答)
276. 중과 선비를 조롱함(嘲僧儒)
277. 새벽녘 누각에 올라
278. 정사(情事)
279. 무제(無題)
280. 오랑캐 땅의 화초(胡地花草)
281. 천렵(川獵)
282. 불이 석 달 동안이나 꺼지지 않았다(火三月不滅)

Ⅸ. 언문 진서 혼용시(諺文 眞書 混用詩)
283. 국문 운자(國文韻字)
284. 매를 찾는 판결(求鷹判題)
285. 봄철에 시회를 연 곳에서 지음(開春詩會作)
286. 언문풍월(諺文風月)
287. 언문시(諺文詩) ①
288. 언문시(諺文詩) ②

부록 1. 한시의 첫 구 순서
부록 2. 참고서적
부록 3. 시선(詩仙) 김삿갓의 난고선생 유적비(蘭皐先生 遺蹟碑)

저자소개

김병연(김삿갓)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세기 초엽에서 중엽에 걸치는 시기에 허름한 삿갓을 쓰고 조선 팔도를 돌아다니면서 당시 양반 귀족들의 부패상과 죄악상, 비인도성을 풍자한 방랑시인이다. 본명은 김병연 호는 난고(蘭皐)이다. 인도주의적인 감정과 평민 사상에 기초하여 지배층에 대해서 강한 반항정신을 표현한 시를 많이 썼다. 1864년 3월 전라도 동복의 한 농가에서 58세로 객사했다.
펼치기
이명우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33년 (음력) 7월 10일 생 덕수중.상업고등학교 졸업 동국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경기도 평택시 안중고등학교 교사 충청남도 천안시 복자여자고등학교 교사 역임 1999년 2월 교직에서 퇴임 [저서] 2007. 1. 20. 韓國歷代 漢詩選集. 전2권. 집문당 2012. 3. 11. 가문의 긍지, 후손된 책임감. 대명사 2014. 2. 9. 夕露集. 대명사 (근간) 唐詩選. 대명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