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30317948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18-07-20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문제 및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이론적 배경
1. 학습장애
1) 학습장애의 정의
2) 학습장애 정의의 어려움
2. 전통적 학습장애 정의: 능력―성취불일치 모형
3. 중재반응모형
1) 중재반응모형의 소개
2) 중재반응모형의 핵심 요소
4. 교육과정중심측정(Curriculum-Based Measurement: CBM)
1) CBM의 소개
2) CBM의 특징
3) CBM의 3가지 종류
4) CBM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결과 정리
5. 보편적 선별(Universal Screening)을 위한 검사
1) 보편적 선별의 정의
2) 보편적 선별검사의 특성
3) 보편적 선별검사와 CBM
4) 중재반응모형과 보편적 선별검사
5) 보편적 선별검사의 예측 타당도(predictive validity) 분석방법
6) CBM을 활용한 보편적 선별검사의 연구결과 82
제3장 연구방법
1. 연구 대상자
2. 검사도구
1) 어절 선택 CBM
2) 타당도 검사
3. 연구 절차
1) 분석방법
제4장 연구결과
1. 기술 통계치
2. Fuchs(2004)가 제안한 1단계 수준의 측정학적 적합성
1) 동형 검사 신뢰도와 타당도 결과
2) 예측 타당도
3) ROC 곡선 분석 결과
3. Fuchs(2004)가 제안한 2단계 수준의 측정학적 적합성
1) 무조건 모형 분석 결과
2) 조건 모형 분석 결과
제5장 논의
1. 연구문제 1의 논의: Fuchs(2004)가 제안한 1단계 수준의 측정학적 적합성
2. 연구문제 2의 논의: Fuchs(2004)가 제안한 2단계 수준의 측정학적 적합성
3. 연구의 제한점
4. 학습장애 분야의 연구자 및 초등학교 교사들을 위한 연구결과의 시사점
1) 보편적 선별검사의 개발
2) 초등학교 중ㆍ고학년에 적합한 보편적 선별검사의 개발
3) 기초학력 증진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는 초등학교에 적합한 검사
4) 집단검사로 수행될 수 있는 어절 선택 CBM의 특성
5) 예측변인으로 중요한 어절 선택 CBM의 초기값
6) 위험군 학생을 선별하기 위한 절단점 점수의 제공
7) 어절 선택 CBM의 비선형 발달 패턴의 가능성 탐색
8) 어절 선택 CBM과 읽기 이해의 관계
9) 보편적 선별 절차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분석방법의 제공
제6장 초등학교 현장에서 보편적 선별검사를 적용한 사례
1. 사전 준비 단계
1) 보편적 선별을 담당할 위원회 구성
2) 검사 워크샵 제공
2. 보편적 선별검사 실시
3. 위험군 학생을 위한 진전도 모니터링
1) 진전도 모니터링의 목적
2) 진전도 모니터링 절차
부 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