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법학일반
· ISBN : 9788930318716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0-04-30
책 소개
목차
편집자 서문
예시와 규약
서장: 법과 언어
1. 사법 제도
1) 전통법
2) 시리아법
3) 로마법
4) 보통법
2. 보통법의 법정 관계자
1) 판사
2) 치안 판사
3) 사무 변호사
4) 법정 변호사
5) 기타 법정 직원들
6) 용어의 구분
3. 커뮤니케이션
4. 책의 구성
제1장 문식성과 법
1.1. 도입
1.2. 음성 언어에 의한 사법 제도
1.3. 문식성으로의 이행
1.3.1. 계획성의 결과
1.3.2. 탈문맥화의 결과
1.3.3. 표준화의 영향
1.3.4. 예시
1.4. 경찰, 법정의 기록 - 문어와 구어의 상호 작용
1.5. 앞으로의 전망
제2장 정확성의 추구
2.1. 들어가며
2.1.1. 전문 용어의 사용
2.1.2. 입안과 해석
2.2. 어휘
2.2.1. 법률가
2.2.2. 경찰
2.2.3. 교도소
2.3. 문법
2.3.1. 입안과 해석
2.4. 발화 행위
2.5. 담화
2.5.1. 대명사
2.5.2. 정의된 대용형
2.5.3. 대상 지시어를 동반하는 핵심 명사
2.6. 해석
2.7. 지식의 문제
2.7.1. 지식이냐 담화냐
2.7.2. 교육자를 위한 과제
2.8. 마무리
제3장 상호 작용과 파워
3.1. 들어가며
3.1.1. 파워와 유대
3.1.2. 상호 작용의 규칙
3.1.3. 일차적 현실과 이차적 현실
3.2.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3.3. 호칭
3.3.1. 법률가
3.3.2. 경찰
3.3.3. 교도소
3.4. 과잉 상세 표현
3.5. 언어적 파워의 표시
3.5.1. 일관성과 결속성
3.5.2. 과도하게 복잡한 표현
3.6. 발화 순서의 교대
3.7. 심문
3.7.1. 심문의 두 가지 목적
3.7.2. 질문의 강제력
3.7.3. 질문 분석
3.8. 화용적 전략
3.8.1. 개인을 표적으로 한 전략
3.8.2. 증언 내용을 표적으로 하는 전략
3.8.3. 요약 - 화용적 전략
3.9. 마무리
제4장 스토리를 말하다
4.1. 들어가며
4.1.1. 장르
4.1.2. 장르의 유연성
4.1.3. 장르 안의 장르
4.2. 일차적 현실의 장르
4.2.1. 법적 장르
4.2.2. 재판 기록의 장르
4.2.3. 변호인 ? 의뢰인 상담 장르
4.2.4. 경찰의 취조 장르
4.3. 이차적 현실의 표상
4.3.1. 들어가며
4.3.2. 긴장 관계와 적합성
4.3.3. 이차적 현실을 표상하는 수단
4.4. 일차적 및 이차적 현실의 끼워 넣기.마스터 내러티브와 절차 장르의 상호 작용
4.4.1. 배심원 재판의 절차
4.5. 마무리
제5장 사법 제도의 커뮤니케이션 문제
5.1. 들어가며
5.2. 법의 언어의 어려움
5.3. 난해함의 근원
5.3.1.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5.3.2. 언어의 특징
5.3.3. 지식 스키마
5.4. 배심원 설시
5.5. 법률
5.6. 계약서
5.7. 경찰관의 경고
5.8. 마무리
제6장 언어로 인해 법적으로 불리한 입장
6.1. 들어가며
6.2. 아이들
6.3. 원주민 소수 집단
6.4. 제2 언어 화자
6.5. 청각 장애인
6.6. 사회 계층
6.7. 성폭행 사건의 여성 피해자
6.8. 마무리
제7장 격차 메우기
7.1. 들어가며
7.2.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줄이기 위한 대책
7.2.1. 정보의 제공
7.2.2. 중개역의 도입
7.2.3. 법적 절차의 수정
7.3. 사법 통역, 법무 번역
7.3.1. 들어가며
7.3.2. 통역사와 번역가의 필요성
7.3.3. 통역사, 번역가를 지원받을 권리
7.3.4. 통역사, 번역가의 수급
7.3.5. 사법 통역과 법무 번역의 과정
7.4. 마무리
제8장 언어에 관한 법
8.1. 들어가며
8.2. 언어권
8.3. 묵비권
8.4. 언어 범죄
8.4.1. 방법론
8.4.2. 위증
8.4.3. 뇌물 수수
8.4.4. 협박
8.5. 비방
8.5.1. 모욕적인 언어
8.5.2. 명예 훼손: 구두 비방와 문서 비방
8.6. 집단의 명예 훼손
8.6.1. 미움의 언어는 미움의 행동으로 직결되는가
8.6.2. 법률 제정
8.7. 마무리
제9장 언어 증거
9.1. 들어가며
9.2. 언어 증거와 윤리성 및 허용성
9.3. 커뮤니케이션의 증거
9.3.1. 방법론
9.3.2. 문자 표기와 음운
9.3.3. 전사 기록
9.3.4. 어휘
9.3.5. 문법
9.3.6. 담화
9.3.7. 사회 언어학
9.4. 작성자(필자) · 화자에 관한 증거
9.4.1. 발화 음성
9.5. 문어
9.5.1. 단어
9.5.2. 형태론
9.5.3. 담화
9.5.4. 사회 언어학
9.5.5. 표절
9.5.6. 작자 프로파일링
9.6. 마무리
참고논저
소송 사건 및 법안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