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일반문학론
· ISBN : 9788931001983
· 쪽수 : 281쪽
· 출판일 : 2002-08-30
목차
책머리에 = 5
제1부
구조주의를 넘어서
1. 형식과 메시지 = 21
2. 풍문으로서의 구조주의 = 22
3. 스토리와 담론 = 23
4. 비판과 동조 = 32
5. 권고와 기대 = 39
6. 전망과 마무리 = 43
서사 구조론의 양상들
1. 주관주의 시학과의 결별 = 45
2. 이원론적 서사 구조론 = 48
3. 이원론의 양상들 = 51
4. 또 다른 서사적 층위 = 58
5. 삼원적 서사 구조론 = 59
6. 결론과 전망 = 65
텍스트 유형론의 실용성과 활용성
1. 서사 텍스트의 유형적 특성 = 73
2. 검증이 필요한 이론들 = 75
3. 내러티브의 세 가지 유형 = 78
4. 모순된 이론적 입장 = 80
5. 이론의 실용성과 활용성 = 87
6. 사례 분석 = 91
7. 텍스트 유형을 규정하는 일이 뜻하는 것 = 93
서사 유형의 통합적 개념
1. 작가에서 저자로 = 99
2. 서사의 진화 과정 = 102
3. 소설에서 서사로 = 106
4. 변화된 환경 = 108
5. 이야기의 기능 = 110
6. 초구조 혹은 결론 = 115
서사의 이념
1. 규범적 서사 = 119
2. 공포의 텍스트 = 122
3. 저자의 죽음 = 125
4. 작가의 직분 = 130
5. 문학적 제도와 작가의 권력 = 139
6. 인식의 진실과 진실의 인식 = 145
7. 작가의 건재 = 148
서구 이론의 수용과 문제점
1. 문제 제기 = 153
2. 사태의 진실과 양비론적 입장 = 154
3. 주체의식인가, 배타주의인가 = 156
4. 구체적인 성과들 = 158
5. 남의 것과 우리 것 = 163
6. 진정한 과제 = 167
제2부
소설의 화자는 말하는 주체인가, 쓰는 주체인가
1. 서사 담론의 형식적 주체로서의 화자 = 173
2. 읽히는 목소리와 들리는 목소리 = 175
3. 화자의 진정한 정체 = 178
4. 근본적인 두 가지 유형의 발화 형식 = 184
5. 마무리 혹은 작가의 복권 = 188
주제에 대하여
1. 「살인자들」의 경우 = 193
2. 주제란 무엇인가 = 199
3. 신비평의 주제론 = 210
닫힌 서사에서 열린 서사로
1. 소멸한 개념 = 215
2. 플롯의 원리와 시간-논리 = 221
3. 19세기 소설과 플롯 = 226
4. 닫힌 서사와 열린 서사 = 229
5. 넉넉한 그릇 혹은 서사적 탄력 = 233
6. 거부된 플롯과 반스토리 = 236
통합된 문화적 현상으로서의 김내성 소설
1. 타성화된 관점 = 241
2. 한국문학사 기술의 현실 = 244
3. 문학사 기술과 가치의 문제 = 245
4. 반성의 대상으로서의 한국문학사 = 246
5. 가치 판단의 근거 = 254
6. 재미와 가치 = 256
7. 비속한 것의 승리 - 통합된 문화의 현실 = 258
8. 전망 = 261
닫힌 형식과 열린 상상력
1. 두 부류의 소설들 = 263
2. 장르의 양상들 = 265
3. 격식소설 = 269
4. 닫힌 형식과 열린 상상력 = 271
5. 경이로운 스토리의 세계 = 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