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31574074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9-07-09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면서|독도연구의 새로운 출발점에 서서
독도시론|미국지명위원회가 일으킨 파문
2009년 7월의 독도사태 / 국제사회는 왜 일본의 주장을 수용하는가 / 우리나라 독도외교의 현주소 / 일본의 전략 : 물밑에서 그러나 집요하게 / 샌프란시스코조약과 리앙쿠르 암 / 붕괴되는 일본의 주장 / 적확한 논리와 활발한 홍보 필요 / 일본은 왜 독도를 자국의 영토라고 우기는가 / 갈등을 풀 열쇠는 무엇인가 / 그들이 미워도 그들을 알아야 이긴다 / 진정한 미래 지향적 관계를 모색하며
제1장 어느 나라가 독도를 영토로 삼았나
신라가 우산국을 복속시켰을 때의 삼국과 일본 / 나무로 만든 사자로 우산국을 복속시킨 이사부 / 울릉도 사람들은 독도를 왕래했을까 / 한일관계사로 본 삼국시대 이후의 울릉도와 우산도
-고대 왜의 군사력
제2장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울릉도와 독도
고려시대의 울릉도와 우산도 / 고려말 울릉도에 들른 왜구 / 조선과 수교한 일본 / 울릉도 공도정책을 추진한 태종 / 쇄환정책을 실천에 옮긴 김인우의 활약 / 대마도를 공격한 세종대왕 /『고려사 지리지』에 나타난 우산과 무릉 /『세종실록 지리지』에 나타난 우산과 무릉
왜구의 정체성
제3장 요도, 삼봉도 수색과 『신증동국여지승람』
실패로 돌아간 요도 수색작업 / 성종 때 벌어진 삼봉도 수색작업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나타난 우산도와 울릉도 / 세기 후반부터 세기 말까지의 조선과 일본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팔도총도’
제4장 에도막부와 울릉도 도해면허
울릉도(다케시마) 도해면허 / 조선의 무인도에 도해를 허가한 도해면허 / 에도막부와 돗토리번의 유착관계 / 독도(마쓰시마) 도해면허와 두 섬으로의 도해 /『은주시청합기』
-다케시마와 마쓰시마
제5장 울릉도 쟁계
사건의 발단 / 집권세력이 바뀐 조선 조정 / 조선 조정과 귤진중이 벌인 논쟁 / 년 만에 울릉도 등지에 파견된 장한상 / 에도막부가 울릉도와 독도에 대해 조사하다 / 에도막부, 울릉도 도해를 금지시키다
-조선과 일본의 대 대마도 관계
제6장 안용복의 제2차 도일과 울릉도 쟁계 종언
안용복, 울릉도에서 다시 일본어민들을 만나다 / 안용복의 제차 도일과 당시의 일본 / 요나고와 돗토리성의 안용복 / 안용복이 제차 도일을 감행한 동기 / 일본어민들을 쫓아간 안용복 / 년 오키 섬에 표착한 안용복 / 제차 도일을 통해 돗토리번으로 간 안용복 / 돗토리성에 체류한 안용복 / 대마도주의 아버지 소 요시자네와 안용복 / 안용복에 대한 조선 조정의 평가 / 년 에도막부는 조선인의 울릉도 출어금지를 요청했다 / 울릉도 도해금지령과 안용복 / 안용복 사건의 쟁점 / 울릉도 쟁계의 종언
-울릉도 쟁계의 종언을 고한 소 요시자네의 답서와 구상지각
제7장 울릉도 쟁계 이후의 울릉도와 독도
조선 조정의 울릉도 등지 수토 / 우산도가 현재의 독도임을 보여 주는 조선의 지도들 /『동국문헌비고』에 나타난 독도 / 일본의 왜곡된 논리 /『만기요람』의 우산도 / 하치에몽, 울릉도로 도해했다가 사형당하다
-에도막부 말에 울릉도를 노린 초슈번
제8장 울릉도 쟁계 이후의 일본지도
울릉도 쟁계 이후의 관찬 일본지도 / 에도시대의 중요한 민간지도들
-고대로부터 근세까지의 지도제작 방법과 역사성
부록|독도정책에 관한 제안
독도문제에 관한 국민의 이해도 제고 및 일체감 조성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