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정책/비평
· ISBN : 9788931591002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1-01-2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제1장❙도시란 무엇인가
1. 도시를 말하다
2. 도시 경쟁력과 그 역할
3. 도시 경쟁력
4. 도시 경쟁력을 결정하는 네 가지 요소
제2장❙서울의 과거
1. 수렴의 공간
2. 조선 시대의 서울
3. 일제 강점기
4. 인구 폭발과 도시 문제
제3장❙서울의 현재
1. 망가진 서울
2. 흩어진 열정
제4장❙서울의 미래-새로운 꿈, 360만 평 창조 프로젝트
1. 후손들이 살아야 할 공간
2. 뉴 패러다임이 살아 숨 쉬는 곳
3. 새로운 공간 창조
4. 새로운 땅, 360만 평 창조 프로젝트(Seoul New Frontier Project)
제5장❙ 시행 구상 및 효과
1. 서울 뉴 프론티어 시행 구상
2. 기대 효과
3. 1석 3조, 팔당댐을 홍수 조절 전문 댐으로 전환
제6장❙ 서울이 대한민국을 살린다.
1. 대한민국은 도시국가
2. 수렴과 확산, 삶의 공존
3. 프로젝트 성공 조건
⚫ 글을 맺으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람들은 왜 좁은 공간으로 모여들기 시작했으며, 어떤 요인이 특정 공간으로 모여들도록 촉진했는가? 그 요인은 인위적인가, 자연적인가? (중략) 사회적인 기능의 분화가 경제적으로는 잉여 생산이라는 결과물을 낳았다. 실제 생산 활동에 종사하지 않아도 먹고 살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그런 기회는 사람들이 모여 들어와 살게 하는 촉진제 역할을 하였다. 잉여 생산력이 인간의 정주(定住)를 촉진한 것이다. -제1장 [도시란 무엇인가] 中
서울의 공간적 범위는 1392년 조선이 성립되고 일본에 의해 멸망하기 전까지 단 한 뼘도 늘어나지 않았다. 이는 세계 도시 역사상 전무후무한 일이었다. 공간이 확대된 것은 일제 강점기가 시작된 후인 1912년이었다. 600년 간 한양의 면적은 물론, 인구도 30만 명으로 정체되어 있었다. (중략) 일제 강점기에 들어오면서 경제 활동의 활성화와 함께 어느 정도의 자율과 확산으로 이어졌지만, 시선의 제한은 일제강점기에도 그대로였다. 시선의 제한이 성곽을 벗어나기는 했지만, 한강으로까지는 나아가지 못했다. -제2장 [서울의 과거] 中
지금까지 이어오던 서울의 성장 동력은 편향된 정치 집단이 서울시의 권력을 장악한 이후 급속도로 망가지기 시작하였다. 시 정부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에 대한 가치관이 정립되지 않은 정치 세력으로 인해 서울의 행정은 10년에 걸쳐 정치로 오염되기 시작하였고, 이제는 돌이키기 힘든 수준으로 망가져 버린 것이다. 2011년 이후 행정적 가치보다는 정치적 이념을 중시하며, 시 정부 권력을 행사한 자들로 인해 망가져 버린 서울을 진단한다.
-제3장 [서울의 현재]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