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퐁스 도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남프랑스 프로방스의 님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가 완전히 파산하면서 집안 형편이 어려워지자, 리옹의 앙페르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알레스 공립 중학교 교사가 되었다. 난폭한 학생들 때문에 힘들어하다가 학교를 그만두고 파리로 건너갔다. 1859년 첫 시집 《연인들》을 출간하여 좋은 평가를 받았다. 그 후 시인 미스트랄, 소설가 플로베르, 졸라, 공쿠르, 투르게네프 등과 교류했다. 모르니 공작의 비서가 되어 생활이 안정되자 작품 활동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고, 1862년 희곡 〈마지막 우상〉을 발표했다. 1868년 알레스 공립 중학교의 경험을 담은 첫 소설 《꼬마》를 출간했고 1869년에는 단편집 《풍찻간 편지》를 출간했다. 《풍찻간 편지》에는 도데의 대표적인 단편인 〈별〉, 〈아를의 여인〉 등이 실려 있다. 1870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이 일어나자 군대에 지원하여 비참한 전쟁을 몸소 겪었고, 1873년에 출간한 단편집 《월요일 이야기》에 패전국의 비애와 애국의 정열을 담은 〈마지막 수업〉, 〈소년 간첩〉, 〈기수〉 등을 실었다. 이외에도 섬세하고 감수성 풍부한 문체로 《타라스콩의 타르타랭》, 《자크》, 《나바브》, 《뉘마 루메스탕》 등 많은 작품을 남겼고, 1897년 12월 16일 척추 질환으로 고생하다가 56세로 생을 마감했다.
펼치기
전성희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노어노문학 전공. 고려대학교에서 「한국 도깨비담과 러시아 바바-야가담의 비교연구」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한?러 설화번역 및 출판양상 비교연구」 논문으로 박사학위 취득.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과 고려대학교 등에서 강의.
저서:『동화, 콘텐츠를 만나다』(공저), 상상박물관, 2010.
역서:『강변』(유리 본다레프 저), 열린책들, 1995.
『개미도시』(박미하일 저), 맵씨터, 2015.
『사과가 있는 풍경』(박미하일 저), 상상, 2018.
『밤은 태양이다』(박미하일 저), 상상, 2019.
논문:「민담 모티프의 변용 양상 연구-러시아 요술담의 바바야가를 중심으로」, 『比較文化硏究』, 2015.
「민담 모티프의 상징성 비교」, 『Acta Russiana』, 2011.
「한국에서의 러시아 민담 번역 현황」,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09.
펼치기
박현자 (그림)
정보 더보기
독학으로 일러스트를 공부했다. 초현실주의.신비주의 계열의 그림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주로 이미지 일러스트와 자연동화를 작업해왔다. 주요 작품으로 '놀라운 우리 겨레' 시리즈, <아가야, 네가 있어 행복하단다>, <별아기의 바다꿈>, <열두 달 이야기>, <꼴지로 태어난 토마토>, <일년이 열 두달이 된 이야기>, <마녀 헤로소의 모험>, 그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