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의 이해 > 동양과학
· ISBN : 9788932012001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00-10-25
책 소개
목차
-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
- 책머리에
서론
1. 문제의 제기
2. ‘하늘(天)’에 대한 다양한 이해
I. 종교적·이념적 해석
II. 문물 자료에 나타난 하늘
제1부 천문의 원리와 실제 적용
제1장 하늘의 구획
1. 구야설과 구주설
2. 분야설
3. 『사기』 「천관서」의 오궁(五宮) 체계
제2장 천문 해석의 일반적 원리
1. 별자리
2. 오행성
3. 해와 달
4. 그 밖의 천문 현상
I. 잡성
II. 운기
III. 바람
제3장 천문의 역사적 사례─사전사험(史傳事驗)
1. 한대 이전의 천문 사례
2. 전한 시기의 천문 사례
I. 『사기』의 천문 기록
II. 『한서』의 천문 기록
3. 후한 시기의 천문 사례
제2부 역법의 변천과 그 기능
제4장 한대의 역법
1. 전한의 역법─태초력과 삼통력
2. 후한의 역법─사분력과 건상력
제5장 한대의 개력 과정과 그 성격
1. 전한의 개력
2. 후한의 개력
제6장 역법의 기능
1. 선진 시기
2. 제국 질서 속의 역법
제3부 천체구조론
제7장 원시적 천체구조
제8장 개천설의 천체구조
1. ‘1, 2차 개천설’의 재검토
2. 『주비산경』과 개천설의 관계
제9장 혼천설의 천체구조
제10장 개천설과 혼천설의 논쟁
1. 양웅과 환담의 개천설 비판
2. 왕충의 혼천설 비판
제11장 기타 다양한 천체구조론
1. 선야설
2. 한대 이후의 안천론·궁천론·흔천론
결론
- 부록 1 천문학 관련 연표
- 부록 2 별자리 동정표(同定表)
- 표와 그림의 출전
- 참고 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