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마르크스주의 일반
· ISBN : 9788932015507
· 쪽수 : 366쪽
· 출판일 : 2004-11-18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감사의글
일러두기
1. 청년 헤겔파와 마르크스
제1장 19세기 초 독일의 지식인 운동
1) 글머리에
2) 1830년대 초의 프로이센 - 청년 헤겔파 운동의 배경
3) 청년 헤겔파 운동의 전개 - 그 파국적 대결을 중심으로
4) 맺음말
2. <독일 이데올로기>와 텍스트 편찬
제2장 <독일 이데올로기> 연구에 있어서 텍스트 편찬의 문제
1) 글머리에
2) <독일 이데올로기>, "1. 포이어바흐" 장 초고의 특수성
3) <독일 이데올로기>, "1. 포이어바흐" 장의 집필
4) <독일 이데올로기>, 특히 "1. 포이어바흐"장의 재현 문제
5) 새로운 텍스트 편찬을 위한 몇 가지 제언 - 결론을 대신하여
제3장 신 MEGA 1 / 5, <독일 이데올로기>의 구성
1) 글머리에
2) 신 MEGA 1 / 5의 출판을 위한 준비 개황
3) 신 MEGA 1 / 5에 구체화된 <독일 이데올로기>의 구성
4) <독일 이데올로기>의 구성안과 타우베르트의 해석에 대한 저자의 견해
5) 트리어 회의에서 논의된 중요 쟁점들
제4장 일본에서 출판된 <독일 이데올로기>, "1. 포이어바흐" 장의 신판에 대한 검토와 비판
3. <마르크스 - 엥겔스 전집>의 편찬
제5장 마르크스 - 엥겔스의 장서에 나타나는 난외방주의 의의와 이의 출판 문제
1) 글머리에
2) 마르크스 - 엥겔스 연구에 있어서 난외방주의 의의
3) 신MEGA에서의 난외방주의 재현
4) 난외방주본의 디지털화가 갖는 의미 - 결론에 대신하여
제6장 새로이 출발하는 <마르크스 - 엥겔스 전집>의 속간
1) 글머리에
2) 마르크스 - 레닌주의 연구소 발행 신MEGA의 한계
3) 통독 후, 과도기에 발행된 MEGA
4) 국제 마르크스 - 엥겔스 재단에 의한 새로운 MEGA의 출판 구상
5) 신MEGA 5 / 3(1998)의 출판이 가지는 의미
부록 : 신MEGA의 권별 편성과 편찬 작업 진행 현황
제7장 <마르크스 - 엥겔스 전집> 편찬 작업과 베를린의 학자들
4. 한국에서의 마르크스, 마르크스주의 연구
제8장 한국에 있어서의 진보주의의 수용과 전개
1) 글머리에
2) 1970년대의 민족주의, 민중주의
3) 정권의 정당성 우기와 진보적 학문의 공식화 - 1980년대
4) 1980년대 진보 학계의 마르크스주의 논쟁
5) 사회주의권의 몰락과 1990년대의 진보주의 - 결론에 대신하여
제9장 한국에서의 마르크스 - 엥겔스 연구
1) 글머리에
2) 초창기의 마르크스 - 엥겔스 연구
3) 1980년대의 반체제 운동과 마르크스 - 엥겔스
4) 1980년대 마르크스 - 엥겔스 저작의 번역과 그 특징
5) 1980년대 이후의 마르크스 - 엥겔스에 대한 연구 성과
6) 앞으로의 전망
부록 : 마르크스 - 엥겔스 저작의 한국어 번역
주요 용어 해설
수록 논문의 출전
찾아보기_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글은 1970년대 이래 4반세기에 걸치는 기간 중 우리나라에서 전개된 급진적 사회 운동이나 지적 운동을 그것이 전개된 당시의 사회적 상황과의 연계 하에 검토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저자가 말하는 '급진적' 사회 운동은 사회적 변혁을 시도하는 일련의 진보적 경향성을 보이는 운동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거기에는 마르크스주의적 지향이 강하게 반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 본문 219쪽